목차
제 12장 감염관리
1.감염의 회로
1)감염성 인자
2)저장소
3)출구
4)전파방법
5)입구
6)감수성이 있는 숙주
2.감염의 단계
1)잠복기
2)전구기
3)질병기
4)회복기
3.감염에 대한 신체의 방어기전
1)신체방어기전
2)염증을 통한 국소화
3)면역
4.병원감염
1)병원감염의 분류
2)병원감염의 발생원인
3)병원감염 예방 대책
4)감염통제에 관한 교육
5.감염조절과 예방에 관한 간호과정
1)간호사정
2)간호진단
3)간호계획
4)간호중재
5)간호평가
1.감염의 회로
1)감염성 인자
2)저장소
3)출구
4)전파방법
5)입구
6)감수성이 있는 숙주
2.감염의 단계
1)잠복기
2)전구기
3)질병기
4)회복기
3.감염에 대한 신체의 방어기전
1)신체방어기전
2)염증을 통한 국소화
3)면역
4.병원감염
1)병원감염의 분류
2)병원감염의 발생원인
3)병원감염 예방 대책
4)감염통제에 관한 교육
5.감염조절과 예방에 관한 간호과정
1)간호사정
2)간호진단
3)간호계획
4)간호중재
5)간호평가
본문내용
을 준비하고 CDC에서는 사용한 주사기의 바늘에 다시 뚜껑을 씌우는 것은 절대금지이다
④격리환자의 심리적 간호
격리는 감각결핍과 자존감의 상실을 가져올수 있으므로 교육과 지지를 통해 격리 대 상자와 가족에게 격리법을 잘 시행하도록 도와주어야함
(4)외과적 무균술
수술실, 분만실등에서 사용. 도뇨관삽입, 무균적 드레싱교환, 정맥내 카테터 삽입, 주사약 물준비과정에서 적용되며 대상자의 병실에서도 간호사가 사용한다.
-외과적 무균술의 기본원리
멸균된 물품만 다른 멸균된 물품에 닿을 수 있다
비멸균품은 비멸균영역과만 닿을 수 있다
멸균물품은 시술직전에 설치되야하고 그 시야안에 있어 멀리가거나 등을 돌리면 안됨
겸자의 끝은 항상 아래로 향하게 들어야한다
혹시 물품의 멸균이 의심되면 오염된 것으로 간주
구멍나거나 찢어진것도 오염
①모자와 마스크착용-내과적 무균술로 손씻기->머리카락안보이게 모자->마스크->마스크 의 위쪽에 안경이 올려져서 김이 서리는것을 최소화해야함)
②멸균가운 입기-모자, 마스크착용후 외과적 손씻기->멸균가운 착용(소매의 앞면과 목 아래부분과 가운의 앞면에서 허리 윗부분만 멸균영역)
③멸균장갑 끼기와 벗기
폐쇄법:수술실에서 사용시(방법알아두기)
개방법:병실에서 무균처치시( “ )
④멸균포장열기-멸균물품을 열기전에 손씻고 멸균된 포장은 적절한 방법, 순서로 개봉하 며 멸균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는 포의 가장자리 2.5cm만 만짐. 포위로 손을 뻗어 서는 안됨
⑤멸균겸자사용-겸자는 허리 높이 이상 두며 겸자가 용기나 멸균포장의 가장자리에 닿아 서는 안됨
⑥멸균용액붓기-용액의 병과 뚜껑의 바깥표면은 오염되어 있다. 뚜껑을 열고 라벨이 붙 은 쪽을 위로가게하여 병을 잡고 소량의 용액을 따라버려서 병입구를 깨끗이 한후 용액 이 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붓는다. 병끝이 멸균용기나 드레싱에 닿지 않도록 함
⑦멸균영역에 멸균물품 제공하기-멸균포장을 열고 안전한 거리에서 바깥포장이 멸균영역 에 닿지 않도록 멸균영역에 떨어뜨린다.
5)간호평가
간호사는 감염으로부터의 위협과 증상, 징후를 정확히 파악해야하는데 일차 건강제공자로 서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기위해 대상자를 사정 간호진단 결정, 계획, 중재를 통해 대상자 의 잠재적인 감염가능성을 줄이고 간호계획의 평가시 개별적인 안전요구가 효과적으로 충 족되고 있는지를 결정하여 계속적인 체계적 평가를 통해 간호사 자신의 안전한 작업환경 과 대상자의 안전한 환경 유지를 해야한다
④격리환자의 심리적 간호
격리는 감각결핍과 자존감의 상실을 가져올수 있으므로 교육과 지지를 통해 격리 대 상자와 가족에게 격리법을 잘 시행하도록 도와주어야함
(4)외과적 무균술
수술실, 분만실등에서 사용. 도뇨관삽입, 무균적 드레싱교환, 정맥내 카테터 삽입, 주사약 물준비과정에서 적용되며 대상자의 병실에서도 간호사가 사용한다.
-외과적 무균술의 기본원리
멸균된 물품만 다른 멸균된 물품에 닿을 수 있다
비멸균품은 비멸균영역과만 닿을 수 있다
멸균물품은 시술직전에 설치되야하고 그 시야안에 있어 멀리가거나 등을 돌리면 안됨
겸자의 끝은 항상 아래로 향하게 들어야한다
혹시 물품의 멸균이 의심되면 오염된 것으로 간주
구멍나거나 찢어진것도 오염
①모자와 마스크착용-내과적 무균술로 손씻기->머리카락안보이게 모자->마스크->마스크 의 위쪽에 안경이 올려져서 김이 서리는것을 최소화해야함)
②멸균가운 입기-모자, 마스크착용후 외과적 손씻기->멸균가운 착용(소매의 앞면과 목 아래부분과 가운의 앞면에서 허리 윗부분만 멸균영역)
③멸균장갑 끼기와 벗기
폐쇄법:수술실에서 사용시(방법알아두기)
개방법:병실에서 무균처치시( “ )
④멸균포장열기-멸균물품을 열기전에 손씻고 멸균된 포장은 적절한 방법, 순서로 개봉하 며 멸균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는 포의 가장자리 2.5cm만 만짐. 포위로 손을 뻗어 서는 안됨
⑤멸균겸자사용-겸자는 허리 높이 이상 두며 겸자가 용기나 멸균포장의 가장자리에 닿아 서는 안됨
⑥멸균용액붓기-용액의 병과 뚜껑의 바깥표면은 오염되어 있다. 뚜껑을 열고 라벨이 붙 은 쪽을 위로가게하여 병을 잡고 소량의 용액을 따라버려서 병입구를 깨끗이 한후 용액 이 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붓는다. 병끝이 멸균용기나 드레싱에 닿지 않도록 함
⑦멸균영역에 멸균물품 제공하기-멸균포장을 열고 안전한 거리에서 바깥포장이 멸균영역 에 닿지 않도록 멸균영역에 떨어뜨린다.
5)간호평가
간호사는 감염으로부터의 위협과 증상, 징후를 정확히 파악해야하는데 일차 건강제공자로 서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기위해 대상자를 사정 간호진단 결정, 계획, 중재를 통해 대상자 의 잠재적인 감염가능성을 줄이고 간호계획의 평가시 개별적인 안전요구가 효과적으로 충 족되고 있는지를 결정하여 계속적인 체계적 평가를 통해 간호사 자신의 안전한 작업환경 과 대상자의 안전한 환경 유지를 해야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화상(burn)의 간호진단 (#1 통증, #2 잠재성체액부족, #3 잠재성감염)
[쯔쯔가무시]쯔쯔가무시병(츠츠가무시병)의 감염과 전파, 발생양상과 쯔쯔가무시병(츠츠가무...
[살모넬라][식중독]살모넬라균의 정의, 살모넬라균의 특징, 살모넬라균 식중독의 감염과 전파...
간호의 기본 (비판적 사고,사정, 영양,배설,위생, 활동,수면, 안전,성,임종,상처,감염,투약 등)
QI 결과 보고서 : 손씻기 수행률 향상 - 간호사의 손씻기 수행도를 향상시켜 병원감염을 예방...
[조직관리][조직][조직관리 이론][조직관리 규정][조직관리 단계]조직관리의 이론, 조직관리...
[조직관리][맥그리거이론][조직관리 임금 분석]조직관리의 개념, 조직관리의 지침, 조직관리...
전치태반 모성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 3개입니다 - 1. 침습적 수술로 인한 감염 위험성, 2. ...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영유아의 치아관리(teeth care) - 치아관리에 관한 이해, 발달 단계...
동기부여이론 -매슬로우의 욕구5단계이론,앨더퍼의 ERG이론,머레이의 명시적 욕구이론,허즈버...
[정신건강과 간호 공통]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첫 단계는 자신의 스트레스를 인식하...
[정신건강과 간호 공통]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첫 단계는 자신의 스트레스를 인식하...
[간호학] 호흡기 질환 및 치료 (아동기 호흡기 질환의 특징 상기도문제 및 세기관지염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