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주인공의 가족에서 일본의 군국주의를 엿본다.
3. 친척이모의 변화를 통해 국민성을 엿본다.
4. 주인공에게서 가족애를 엿본다.
5. 반딧불이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
6. 마치며
2. 주인공의 가족에서 일본의 군국주의를 엿본다.
3. 친척이모의 변화를 통해 국민성을 엿본다.
4. 주인공에게서 가족애를 엿본다.
5. 반딧불이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
6. 마치며
본문내용
서 최후를 맞이하진 않았을까? 죽은 후 세상이 달라지길 원하는 맘으로 말이다. 죽음은 어느 누구나 맞이하는 것이다. 비록 어린나이에 세상에 냉대로 인하여 빨리 마감한 삶이지만 반딧불의 모습으로 살아간 순수한 영혼이었음을 세타에게서 느껴 본다. 반딧불의 묘는 일본인으로서 살아가야 했을 아니 일본인으로서 당당히 죽음도 아깝지 않아야 했고 그 식구들 또한 그 삶을 기쁘게 받아들여야 함을 자신의 생각보다는 나라의 이념이 앞서야 했던 일본인들에게 주는 메시지는 아닐까? 나라를 위한 희생정신을 그리면서 오빠가 동생에게 희생했던 마음, 그리고 남매를 둘러싼 냉대했던 그들 모두에게 어느 정도 희생을 하면서 자신을 버리라는 메시지는 아니었을까? 반딧불의 묘를 본 나는 아무리 어려운 상황일 지라도 문화인으로서의 사람다움을 저버리지 않고 싶었고 이것이 최선의 선택일까를 생각하게 했으며 죽음의 의미를 되짚어본 좋은 기회였다. 그냥 바람이긴 하지만, 나 또한 그들의 유언에 동참하고 싶다. 때 묻지 않은 순수함이고 싶다. 약간의 희생을 보람으로 승화하며 죽음이후의 것을 접목시키고 싶다. 그리고 내 아들도 그런 숭고한 삶에 기꺼이 동참하여 영혼이 웃는 아이로 자라게 하고 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