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P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2. PDP의 역사
3. PDP의 분류
4. PDP의 특징
5. PDP의 표시 원리
6. PDP의 구조
6.1 DC PDP
6.2 AC PDP
7. PDP의 재료
8. PDP 제조 기술
8.1 PDP 제조 공정
8.2 페닝 가스 및 형광체
8.3 후막 인쇄 기술
9. PDP 구동방식
9.1 DC PDP 구동방식
9.2 AC PDP 구동방식
10. PDP의 기술과제 및 전망

본문내용

. 양극은 두 가지 종류의 전원 전압이 사용된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셀을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음극에서 스캔 펄스와 유지 전압을 인가할 때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전압의 변화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스캔 구동 LSI 칩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9.2 AC PDP 구동방식
9.2.1 ADS(Address Display Separated) 구동방식
Fujitsu가 개발한 ADS 구동방법은 초기화 동작, Address 동작, 유지 동작을 각각 별도로 행하기 때문에 구동 파형의 자유도가 크고, 고속 구동, 저 소비 전력 및 안정된 방전 동작 등의 특징이 있다. 그러나 개발 당시는 Contrast 비가 낮고 의사 윤곽 노이즈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최근에는 각종 파형의 개선 기술이 발달하여 텔레비전으로써 충분히 사용 가능한 수준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9.2.2 Alis(Alternate Lighting of Surface) 구동방식
기존 ADS 전극 구조에 새로운 구동 방식을 개발하여 고해상도를 구현한 것이 Fujitsu의 Alis 구동방식이다. 종래 방식에서는 주사 전극과 유지 전극이 1쌍으로 1Line의 주사선을 구성했다. 그러나 Alis 방식에서는 주사 전극과과 유지 전극이 1Line씩 건너뛰어 회로에 접속하게 되어 있다. 즉 짝수 및 홀수 Line 구동시의 주사 전극과 유지 전극 쌍이 바뀌면서 연결되는 방식으로써 비월 주사 방식이라고 불린다. 이 방식을 채용하면 고해상도시 구동 Drive IC의 수를 반으로 줄여 많은 가격 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이 방식은 전 면적으로 발광함으로 휘도 및 효율의 개선 효과가 있게 되나 패널의 높은 제조 Uniformity 확보가 요구되고 비월 주사에 따른 Flicker 또는 고해상도의 신호 입력 시 데이터 손실이 우려된다.
9.2.3 AWD(Address while Display) 구동방식
Fujitsu의 ADS 구동방식과 달리 Addressing과 표시 방전이 섞여 있는 방식이다. LG에서 개발한 이 방식은 표시 발광 시간이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모든 시간 동안이기 때문에 낮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어서 Switching 손실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ADS 방식에 비해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고해상도 구현시 Addressing 시간 확보가 용이함으로 매우 유리한 구동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항상 동시에 Line을 Writing한 후에 선택된 화소를 지움으로써, 불필요한 미소의 광이 발생하여 Contrast 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9.2.4 고주파 구동방식
종래와는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서 고효율화를 목표로 개발된 방식으로 LG전자의 고주파 방전 구동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표시 방전을 위해 수십 ㎒의 고주파를 사용하여 이온의 운동을 억제한 후, 전자의 운동을 활성화함으로써 방전 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수 ㏐/W를 넘는 Set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은 순수 고주파 방전 효율 자체로는 종래 방식의 약 10배 이상이 된다. 아직은 여러 가지 과제가 남아 있지만 CRT에 대비한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10. PDP의 기술과제 및 전망
PDP의 경우 이미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품목이기에 기술 과제 역시 기초적인 Research 보다는 상품의 특성 개선에 맞추어져 있다. 중요과제로는 고휘도 및 고효율화, 화질개선, 저가격화 등을 등 수 있다. 현재 양산되는 PDP의 경우 Module 효율은 2㏐/W 미만이고 Peak 위도는 1000㏅/㎡ 수준이다. PDP가 가정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3㏐/W 이상을 달성하여 소비전력을 200W 미만으로 낮추어야 한다. 휘도는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PDP Set에서는 전면에 필터가 존재하기에 500㏅/㎡ 미만이며, 이를 최소 700㏅/㎡ 이상 상승시켜야 한다.
PDP의 화질은 현재 CRT에 동등하거나 근접한 수준으로 평가되나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면 기존 480Scan Line(Panel의 가로방향 Line 수)에 소비된 시간으로 768 혹은 1080 Scan Line에 화상을 구현하여야 한다. 한시적으로 Panel을 양분하여 두 개의 독립된 화상을 한번에 구현하는 방법(Dual Scan)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가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기에 지속적으로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명암비의 경우, 암실에서는 3000:1(Peak휘도 : Balck휘도)을 나타내나 명실에서는 100:1 수준을 나타내기에 개선이 요구된다. 이외의 의사윤곽 및 잔상 문제 등을 개선해 나가야한다.
PDP는 경쟁 디스플레이인 LCD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사용하기에 생산시설 투자비나 Panel 제조단가가 싸다는 장점이 있으나, 생산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재료나 생산설비 부분에서는 한국의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외국제품/설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에 국산화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적용되는 부품의 경우, 아직까지는 LCD에 비해 수요가 적기에 Cost-down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다. LCD의 경우 04년도와 05년도에 걸쳐서 6세대와 7세대 생산시설이 가동되고 06년부터 대량/저가격의 40˝급 Panel이 나오리라 예상되고 있다. PDP는 향후 1~2년 안에 inch당 $50 수준으로 낮추어야만 시장 확대가 가능하리라 본다. PDP는 해결되어야 하는 몇 가지 과제를 안고 있지만, CRT에 가장 근접한 화질로서 40˝이상의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을 이미 선점하고 있기에 향후에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된다.
※ 참고 자료
Plasma Display Panel(PDP) / 박명호 / 전자공학회지 제24권 제12호
PDP 기술 동향 / 신동기 / 전자공학회지 제24권 제3호
PDP 연구개발 현황 및 시장 동향 / 박명호 / 전기전자재료학회지 제 13권 제8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기술과 현황 / 강정원 회 / 반도체및디스플레이학회지 제3권 제4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식 및 구동회로 / 권오경 / 전기전자재료학회지 제 13권 제8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기본 구조 및 동작원리 / 황기웅 외 / 전기전자재료학회지 제13권 제8호

키워드

피디피,   PDP,   PDP구조,   PDP재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7.04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