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이버 시범 마을 선정 기준 및 평창동 선정 배경
(1) 사이버 시범 마을 선정 기준
(2) 평창동 선정 배경
2. 사이버 마을의 추진 취지
(1) 서울시차원
(2) 평창동
3. 활성화 방안 방향, 분야별 역할
(1) 활성화 방안 방향
(2) 분야별 역할
4. 운영 평가
(1) 평가 취지
(2) 평가 기관
(3)평가 분야 및 방법
5. 홍보 방안
(1) 오프라인 홍보
6. 평창동 사이트 분석
(1) 사이버 시범 마을 선정 기준
(2) 평창동 선정 배경
2. 사이버 마을의 추진 취지
(1) 서울시차원
(2) 평창동
3. 활성화 방안 방향, 분야별 역할
(1) 활성화 방안 방향
(2) 분야별 역할
4. 운영 평가
(1) 평가 취지
(2) 평가 기관
(3)평가 분야 및 방법
5. 홍보 방안
(1) 오프라인 홍보
6. 평창동 사이트 분석
본문내용
사이버 마을 배너가 눈에 잘 띠지 않아서인지 찾기가 어려웠다.
한 가지 더 아쉬웠던 점은 링크가 많다는 것이다. 주민자체 센터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업무가 서류 발급 업무 뿐이라서 그런지 주요 항목(민원 신청)에 접근 시 링크 사이트가 많이 열린다.
6) 온오프라인 통합
가장 취약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웹 동호회와 마을 장터가 있기는 하지만, 홈페이지 개시 이래로 마을 장터에 올라온 홍보 글이 지금까지 3개에 불과하다. 웹 동호회도 평창동 사이트에 연결된 것이 아니라 종로구 커뮤니티에 속해 있으며 가입자도 가장 많은 동호회가 14명에 불과하고, 2~3명으로 구성된 동호회조차도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7) 정체성
지역의 특성상 미술관이 많고, 인근에 북한산 국립공원이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주민의 정체성 확립에 크게 기여한다. 주민에게 사이버 마을이 잘 홍보가 된다면 이런 점은 주민들에게 사이트에 대한 애착심을 심어줘서 자신이 살고 있는 동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고 사이트를 개선시켜나가는 데 큰 도움으로 작용할 것이다.
8) 규범
사이트 상에서 규정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없다. 외국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자신들의 임무와 사이트의 규정을 명시해 놓고 있지만 평창동 사이버 마을은 아직까지 규범을 소개하고 있지 않다.
9) 하위그룹 육성
하위그룹(여기는 민간 동호회도 포함된다)을 육성하는 것보다는 사이버 마을을 정착시키는 데 힘을 기울이는 단계이기 때문에 아직은 하위그룹 육성보다는 지속적인 수정, 보완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10) 개인의 정보 역량 육성
젊은 세대보다 나이든 중장년층에게 정보화 교육을 시켜서 사이버 마을에 접근하도록 하는 정보 리터러시 지원책은 아직까지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지금은 사이버 마을을 통한 정보 역량을 길러주는 것보다는 행정 서비스와 지역 정보 제공에 치중하고 있다.
2. 총평
민간 주도가 아닌 정부 주도의 커뮤니티 네트워크라서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체계가 깔끔하게 잘 잡혀 있다. 지역의 특수 사정을 활용하여 컨텐츠에 차별화를 두려 한 점과 행정 서비스의 편의를 고려한 점을 장점으로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몇 가지 아쉬운 점이 눈에 띤다. 정부 주도로 진행되다 보니 아직은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하고, 홍보가 잘 되지 않아서 이용자가 상당히 적으며, 차별되고 유용한 자체 컨텐츠가 부족하여 링크가 많다는 점은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한 가지 더 아쉬웠던 점은 링크가 많다는 것이다. 주민자체 센터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업무가 서류 발급 업무 뿐이라서 그런지 주요 항목(민원 신청)에 접근 시 링크 사이트가 많이 열린다.
6) 온오프라인 통합
가장 취약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웹 동호회와 마을 장터가 있기는 하지만, 홈페이지 개시 이래로 마을 장터에 올라온 홍보 글이 지금까지 3개에 불과하다. 웹 동호회도 평창동 사이트에 연결된 것이 아니라 종로구 커뮤니티에 속해 있으며 가입자도 가장 많은 동호회가 14명에 불과하고, 2~3명으로 구성된 동호회조차도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7) 정체성
지역의 특성상 미술관이 많고, 인근에 북한산 국립공원이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주민의 정체성 확립에 크게 기여한다. 주민에게 사이버 마을이 잘 홍보가 된다면 이런 점은 주민들에게 사이트에 대한 애착심을 심어줘서 자신이 살고 있는 동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고 사이트를 개선시켜나가는 데 큰 도움으로 작용할 것이다.
8) 규범
사이트 상에서 규정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없다. 외국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자신들의 임무와 사이트의 규정을 명시해 놓고 있지만 평창동 사이버 마을은 아직까지 규범을 소개하고 있지 않다.
9) 하위그룹 육성
하위그룹(여기는 민간 동호회도 포함된다)을 육성하는 것보다는 사이버 마을을 정착시키는 데 힘을 기울이는 단계이기 때문에 아직은 하위그룹 육성보다는 지속적인 수정, 보완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10) 개인의 정보 역량 육성
젊은 세대보다 나이든 중장년층에게 정보화 교육을 시켜서 사이버 마을에 접근하도록 하는 정보 리터러시 지원책은 아직까지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지금은 사이버 마을을 통한 정보 역량을 길러주는 것보다는 행정 서비스와 지역 정보 제공에 치중하고 있다.
2. 총평
민간 주도가 아닌 정부 주도의 커뮤니티 네트워크라서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체계가 깔끔하게 잘 잡혀 있다. 지역의 특수 사정을 활용하여 컨텐츠에 차별화를 두려 한 점과 행정 서비스의 편의를 고려한 점을 장점으로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몇 가지 아쉬운 점이 눈에 띤다. 정부 주도로 진행되다 보니 아직은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하고, 홍보가 잘 되지 않아서 이용자가 상당히 적으며, 차별되고 유용한 자체 컨텐츠가 부족하여 링크가 많다는 점은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추천자료
친환경적인 도시건설을 위한 연구
프뢰벨 -가베에 대해서-
스키의 역사(한국, 유럽, 일본)
빈곤 아동 교육의 현황과 대책
IPV4와 IPV6의 비교(2007년 최신자료)
보건교육 / 보건복지부지원 건강증진 사업 목록과 일 보고 결과물의 요약
우리나라 보건진료소의 현황과 조직, 역할과 기능, 한계에 대해 조사하고, 필요성
레포트_사회(인간과사회,세계화정보화가 한국사회 재구조화에 미친영향)
주민자치센터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배드민턴의 종류와 특징 및 규칙
배드민턴
김천시 지역사회복지계획
[NGO-녹색연합] 개념, 역할과 기능, NGO 녹색연합 주요사업, NGO 녹색연합 업무, NGO 비아 녹...
[다문화영화 감상문] 로니를 찾아서 (Where Is Ron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