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하는 동작을 일컬으며, 주로 복식 경기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러싱(rushing)
네트를 향해서 돌진하는 것과 같은 급속한 동작을 말한다. 또는 득점한 후, 서브권을 빼앗은 후에 신속하게 공격하는 경우 등에도 쓰인다.
런지(lunge)
주로 언더핸드로 셔틀콕을 클리어하거나 드롭 샷을 보내기 위해서 라켓을 쥔 손과 같은 쪽의 다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길게 내딛는 것을 말한다. 펜싱 선수가 상대를 공격할 때의 자세를 연상하면 된다. 여러 방향으로 발을 내딛으며 내딛었던 다리를 빨리 복귀하는 능력은 홈 포지션에서 그리 멀리까지 이동하지 않고도 셔틀콕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배드민턴 경기에서 매우 중요하다.
레디 포지션(ready position)
준비자세. 경기자가 어떤 방향으로든지 이동할 수 있도록 취하는 균형잡힌 자세이다. 체중은 앞꿈치에 두고 무릎은 구부리며 동체는 앞으로 기울인다.
레디알 플랙션(radial flexion)
전완의 엄지가 있는 요골 쪽으로 손목을 구부리는 동작을 말하며, 이 때문에 코트 전방에서 셔틀콕을 처리할 때 신속함을 제공하며 상대를 속일 수 있게 한다.
레프트 코트(left court)
‘left half court’가 정식 용어이며, 네트를 향해 코트의 왼쪽 절반 부분을 가리킨다.
렛(let)
예측하지 못한 우발적인 사고나 행동이 발생하여 경기가 중단될 때 선언한다. 렛이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우발적인 사건이 발생한 경우(다른 코트에서 셔틀콕이 들어온 경우, 관중이 출입문을 급히 열어서 선수가 자연광선때문에 정상적인 경기 진행에 방해받은 경우) ·서비스 외의 경우로서 경기 진행 중에 셔틀콕이 네트의 상단부에 걸리거나 네트를 넘어간 후 네트에 걸린 경우 ·서비스를 넣는 중에 서버와 리시버가 다같이 반칙을 한 경우 ·리시버가 준비되기 전에 서브를 넣은 경우 ·경기 중에 셔틀콕이 분리되어서 셔틀콕의 밑부분과 나머지 부분이 완전히 나뉘어진 경우 ·선심이 보지 못하고 주심도 판정할 수 없는 경우 ·옆 코트에서 경기하던 선수가 들어와서 경기에 지장을 초래한 경우를 들 수 있다. ‘렛’ 선언 직전에 렛 상황이 발생하면 서브한 선수의 서브권은 그대로 유효하므로 그 선수가 다시 서브를 넣어서 경기를 재개한다.
로브(lob)
셔틀콕을 네트 아래에서 상대 코트 후방으로 올려치는 것.
로우 디펜스(low defense)
수비수가 라켓 머리를 손보다 낮게 하여 셔틀콕을 걷어올리는 수비 형태.
로우 리턴(low return)
코트 후방 또는 코트 중간의 네트 높이 아래에서 셔틀콕을 치는 것. 이것은 네트를 가로질러 코트 전방에 셔틀콕을 빨리 떨어뜨리는 데 목적이 있다.
로테이션 시스템(rotation system)
복식 경기에서 공격과 수비시 취할 대형에 관한 움직임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경기하기 전에 파트너끼리 서로 의논하여 공격, 수비 플레이의 차례 및 맡을 구역을 정해 놓고 두 사람이 교대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수비 및 공격의 위치와 역할을 바꿔가면서 이동하는 방법이다. 이때 자기 팀이 공격할 때에는 ‘up and back system’을 취하고 수비시에는 ‘side by side system’을 취한다.
롱 서비스 라인(long service line)
서브 코트의 뒤쪽에 가로로 그은 경계선을 가리킨다. 즉 단식경기의 롱 서비스 라인은 백바운더리 라인과 일치하는 것에 반해서, 복식경기에서는 백바운더리 라인에서 앞으로 76cm 떨어진 선을 지칭한다. 롱 서비스 라인 뒤쪽에 떨어진 서브는 아웃이다.
롱 하이 서브(long high serve)
높고, 멀리 상대 코트의 백바운더리 라인 또는 롱 서비스 라인 가까이에 넣는 서브. 손에 들고 있는 셔틀콕을 떨어뜨려 허리선보다 낮은 지점에서 쳐야 한다. 허리선보다 높은 지점에서 치면 반칙이 된다.
리스트 스냅(wrist snap)
스트로크할 때에 손목을 끌어당기듯 하여 라켓으로 셔틀콕을 치는 순간 반동적으로 손목을 이용하여 타구하는 순간에 속도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말한다. 줄여서 ‘스냅’이라고 흔히 쓰인다.
리스트(wrist)
손목이라는 뜻. 가벼운 셔틀콕, 가벼운 라켓을 사용하는 배드민턴인 만큼 다른 구기보다 더욱 손목의 강인함과 유연성이 요구된다.
리시버(receiver)
상대 서버가 넘긴 셔틀콕을 최초로 받아치는 사람.
리어 코트(rear court:RC)
코트 후방으로 ‘back court’라고도 함.
리치(reach)
경기자가 미치는 거리
리턴(return)
날아온 셔틀콕을 되받아 치는 것.
리프트(lift)
수비의 목적으로 네트보다 아래에서 셔틀콕을 위로 향하여 치는 것을 지칭한다.
매치 업(match up)
짝짓기, 특히 성격, 체력, 체격 따위의 균형의 이룸을 말한다.
매치 포인트(match point)
서버가 이기면 승패가 판가름 나는 최후의 점수. 즉, 11점 혹은 14점을 지칭한다.
매치(match)
한판의 경기, 시합이라는 뜻. 배드민턴에서는 남녀 단식 경기·복식 경기·혼합복식 경기 모두 3게임 중에 2게임을 먼저 이긴 쪽이 그 경기에서 승리자가 된다.
맨즈 더블즈(Men’s doubles)
남자복식
맨즈 싱글즈(Men’s singles)
남자단식
무브(move)
전술적인 의도에서 행한 샷.
미드 코트(mid court)
코트의 중앙부. 쇼트 서비스 라인에서 코트 후방까지의 구역으로 대략적인 길이는 225cm정도이다.
미스 매치(miss match)
복식 경기에서 파트너 간의 짝짓기(match up)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믹스 더블스(mix doubles)
남녀가 팀을 이루는 혼합복식 경기.
믹스 업(mix up)
여러 가지 형태의 샷을 혼합하여 쓰는 경기 운영으로 상대가 받아치기 어렵도록 만든다.
바운스 스타트(bounce start)
무릎을 급격히 구부리면 대퇴사두근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신전자극이 발생한다. 근육의 갑작스런 신전자극은 반사적으로 다리를 펴게 하여 다리 근육 수축의 가속력을 약 30% 정도 증가시키므로 코트에서의 이동을 민첩하게 한다.
러싱(rushing)
네트를 향해서 돌진하는 것과 같은 급속한 동작을 말한다. 또는 득점한 후, 서브권을 빼앗은 후에 신속하게 공격하는 경우 등에도 쓰인다.
런지(lunge)
주로 언더핸드로 셔틀콕을 클리어하거나 드롭 샷을 보내기 위해서 라켓을 쥔 손과 같은 쪽의 다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길게 내딛는 것을 말한다. 펜싱 선수가 상대를 공격할 때의 자세를 연상하면 된다. 여러 방향으로 발을 내딛으며 내딛었던 다리를 빨리 복귀하는 능력은 홈 포지션에서 그리 멀리까지 이동하지 않고도 셔틀콕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배드민턴 경기에서 매우 중요하다.
레디 포지션(ready position)
준비자세. 경기자가 어떤 방향으로든지 이동할 수 있도록 취하는 균형잡힌 자세이다. 체중은 앞꿈치에 두고 무릎은 구부리며 동체는 앞으로 기울인다.
레디알 플랙션(radial flexion)
전완의 엄지가 있는 요골 쪽으로 손목을 구부리는 동작을 말하며, 이 때문에 코트 전방에서 셔틀콕을 처리할 때 신속함을 제공하며 상대를 속일 수 있게 한다.
레프트 코트(left court)
‘left half court’가 정식 용어이며, 네트를 향해 코트의 왼쪽 절반 부분을 가리킨다.
렛(let)
예측하지 못한 우발적인 사고나 행동이 발생하여 경기가 중단될 때 선언한다. 렛이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우발적인 사건이 발생한 경우(다른 코트에서 셔틀콕이 들어온 경우, 관중이 출입문을 급히 열어서 선수가 자연광선때문에 정상적인 경기 진행에 방해받은 경우) ·서비스 외의 경우로서 경기 진행 중에 셔틀콕이 네트의 상단부에 걸리거나 네트를 넘어간 후 네트에 걸린 경우 ·서비스를 넣는 중에 서버와 리시버가 다같이 반칙을 한 경우 ·리시버가 준비되기 전에 서브를 넣은 경우 ·경기 중에 셔틀콕이 분리되어서 셔틀콕의 밑부분과 나머지 부분이 완전히 나뉘어진 경우 ·선심이 보지 못하고 주심도 판정할 수 없는 경우 ·옆 코트에서 경기하던 선수가 들어와서 경기에 지장을 초래한 경우를 들 수 있다. ‘렛’ 선언 직전에 렛 상황이 발생하면 서브한 선수의 서브권은 그대로 유효하므로 그 선수가 다시 서브를 넣어서 경기를 재개한다.
로브(lob)
셔틀콕을 네트 아래에서 상대 코트 후방으로 올려치는 것.
로우 디펜스(low defense)
수비수가 라켓 머리를 손보다 낮게 하여 셔틀콕을 걷어올리는 수비 형태.
로우 리턴(low return)
코트 후방 또는 코트 중간의 네트 높이 아래에서 셔틀콕을 치는 것. 이것은 네트를 가로질러 코트 전방에 셔틀콕을 빨리 떨어뜨리는 데 목적이 있다.
로테이션 시스템(rotation system)
복식 경기에서 공격과 수비시 취할 대형에 관한 움직임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경기하기 전에 파트너끼리 서로 의논하여 공격, 수비 플레이의 차례 및 맡을 구역을 정해 놓고 두 사람이 교대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수비 및 공격의 위치와 역할을 바꿔가면서 이동하는 방법이다. 이때 자기 팀이 공격할 때에는 ‘up and back system’을 취하고 수비시에는 ‘side by side system’을 취한다.
롱 서비스 라인(long service line)
서브 코트의 뒤쪽에 가로로 그은 경계선을 가리킨다. 즉 단식경기의 롱 서비스 라인은 백바운더리 라인과 일치하는 것에 반해서, 복식경기에서는 백바운더리 라인에서 앞으로 76cm 떨어진 선을 지칭한다. 롱 서비스 라인 뒤쪽에 떨어진 서브는 아웃이다.
롱 하이 서브(long high serve)
높고, 멀리 상대 코트의 백바운더리 라인 또는 롱 서비스 라인 가까이에 넣는 서브. 손에 들고 있는 셔틀콕을 떨어뜨려 허리선보다 낮은 지점에서 쳐야 한다. 허리선보다 높은 지점에서 치면 반칙이 된다.
리스트 스냅(wrist snap)
스트로크할 때에 손목을 끌어당기듯 하여 라켓으로 셔틀콕을 치는 순간 반동적으로 손목을 이용하여 타구하는 순간에 속도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말한다. 줄여서 ‘스냅’이라고 흔히 쓰인다.
리스트(wrist)
손목이라는 뜻. 가벼운 셔틀콕, 가벼운 라켓을 사용하는 배드민턴인 만큼 다른 구기보다 더욱 손목의 강인함과 유연성이 요구된다.
리시버(receiver)
상대 서버가 넘긴 셔틀콕을 최초로 받아치는 사람.
리어 코트(rear court:RC)
코트 후방으로 ‘back court’라고도 함.
리치(reach)
경기자가 미치는 거리
리턴(return)
날아온 셔틀콕을 되받아 치는 것.
리프트(lift)
수비의 목적으로 네트보다 아래에서 셔틀콕을 위로 향하여 치는 것을 지칭한다.
매치 업(match up)
짝짓기, 특히 성격, 체력, 체격 따위의 균형의 이룸을 말한다.
매치 포인트(match point)
서버가 이기면 승패가 판가름 나는 최후의 점수. 즉, 11점 혹은 14점을 지칭한다.
매치(match)
한판의 경기, 시합이라는 뜻. 배드민턴에서는 남녀 단식 경기·복식 경기·혼합복식 경기 모두 3게임 중에 2게임을 먼저 이긴 쪽이 그 경기에서 승리자가 된다.
맨즈 더블즈(Men’s doubles)
남자복식
맨즈 싱글즈(Men’s singles)
남자단식
무브(move)
전술적인 의도에서 행한 샷.
미드 코트(mid court)
코트의 중앙부. 쇼트 서비스 라인에서 코트 후방까지의 구역으로 대략적인 길이는 225cm정도이다.
미스 매치(miss match)
복식 경기에서 파트너 간의 짝짓기(match up)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믹스 더블스(mix doubles)
남녀가 팀을 이루는 혼합복식 경기.
믹스 업(mix up)
여러 가지 형태의 샷을 혼합하여 쓰는 경기 운영으로 상대가 받아치기 어렵도록 만든다.
바운스 스타트(bounce start)
무릎을 급격히 구부리면 대퇴사두근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신전자극이 발생한다. 근육의 갑작스런 신전자극은 반사적으로 다리를 펴게 하여 다리 근육 수축의 가속력을 약 30% 정도 증가시키므로 코트에서의 이동을 민첩하게 한다.
추천자료
종교연합운동의 역사와 문제점 - 원불교 종교연합운동을 중심으로 -
[판소리][판소리문학][판소리사설][구비문학][판소리 의미][판소리 역사][판소리 성격][판소...
[러시아][구소련][러시아의 역사][러시아의 경제][러시아의 문화][러시아의 문화운동]러시아(...
[중국][중국역사][중국의역사]중국의 고대사(은, 주, 춘추전국, 진, 한, 위, 진, 남북조, 수,...
[신종교][신종교 범주][신종교 역사관][신종교 신명사상][신종교 연구][신종교와 반신종교운...
[기독교교육][기독교교육 교육운동][사이버시대][교회][기독교교육 교사역할]기독교교육의 의...
수도원운동의 역사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민주화운동, 민주화 항쟁, 발생배경, 계기, 전개과정, 역사, 성격,...
[세계의역사A] 간디의 비폭력불복종 운동 관련 자료 3건을 선정하고, 그 자료를 근거로 간디...
중일근대화(중국과 일본의 근대화), 중일관계(중국과 일본의 관계), 중일정보문화, 중일역사...
프랑스 68혁명과 신좌파 운동의 의의 (68혁명의 배경과 전개, 세계적‧역사적 운동...
[독점자본주의][독점][자본주의][독점자본주의 역사][노동시장][노동운동][의학][방송]독점자...
[서양교육역사] 서양교육의 역사적 기초(서양교육 발전과정) - 그리스-로마의 교육, 중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