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문속 번역투 찾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한문 기능어 ‘使’와 ‘因’이 전이된 경우
언해 번역의 영향으로 우리말로 전이된 대표적인 단어. 이들은 각각 ‘하여금’과 ‘인해’라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미국이 여기에 제동을 건 것은, 자국제약업체로 하여금 협정 체결 이후 한국에 한층... 
(한겨레신문, 2006. 3. 4. 사설 <국민 건강도 내던진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
미국이 여기에 제동을 건 것은, 자국 제약업체가 협정 체결 이후 한국에 한층...  
2) 격조사 ‘의’가 과도하게 쓰이는 경우
한국어 격조사 ‘의’는 비슷한 역할을 하는 일본어 격조사 ‘の’보다 생략하기 쉽고, 많은 경우 생략해야 더 자연스러울 때가 많으나 남용되는 경우가 많다.
‘번역투 관용어’ : 습관적으로 쓰는 직역의 형태
전치사 ‘from'의 의미 개재 : ‘-(으)로 부터’라는 표현의 남용. 직역한듯한 느낌을 주는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다.
3) 전치사 ‘through'의 의미 개재
‘-을/를 통하여’로 일관되게 나타나는 표현들은 어딘지 막연한 느낌. 우리말의 ‘-(으)로’, ‘-에서’ 등으로 표현해도 충분한 내용들이다. 4) ‘have'의 직역투
‘가지다’라는 표현이 문장에 어울리지 않는 경우에도
직역한 느낌을 주며 나타날 때가 많다
5) ‘nevertheless’ 부사 직역투
‘nevertheless’를 직역한 흔적으로 보이는 ‘-에도 불구하고’라는 표현은, 굳이 ‘불구하고’를 덧붙이지 않고 ‘-에도’라는 표현만으로도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07.07.04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18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