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인 용 문 헌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인 용 문 헌
본문내용
인 과제수행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환자의 회복정도에 따라 하지에 미치는 근활성도가 각각 달랐다는 점과 높이와 방향에 따른 측정의 순서와 횟수에 따라 생길 수 있는 학습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에 이와 유사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면, 위에서 언급한 제한점들을 적절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6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방향에 따른 잡기과제 수행 시 의자높이가 하지의 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환측 하지의 근활성도는 건측 방향으로 잡기 수행을 하였을 때 보다 환측 방향으로 잡기 수행을 하였을 때 더 높았고 의자 높이에 따른 차이는 120%일 때 근활성도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외측광근이 전경골근보다 더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그러나 전경골근에서는 근활성도가 몇몇의 환자에서만 높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에서 균형 훈련 시 잡기방향과 의자 높이에 따른 단계적인 과제 수행 훈련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 용 문 헌
김종만. 치료사를 위한 임상신경학. 2판. 정담, 2003:200-226.
김종만 등. 편마비 환자의 균형기능과 감각 조직화.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7;4(3):61-69
김효정, 박영숙. 재가 뇌졸중환자의 생활양식과 일상생활기능수행, 우울 및 건강상태 지각에 관한연구. Korean Public Health Assoc. 2003;127-139.
방요순, 송경현. 상지운동학습에 의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변화. 한국 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3;10(2):85-98.
전세일. 재활치료학. 계축문화사. 1998:248-255.
전중선. 뇌졸중의 전문적 재활치료에 대하여.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1998;7(1):43-62.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 2002.
Anderson TP, Baldrige M, Ettinger MR.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 complete stroke. In: Kottke FJ.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4th ed. Philadelphi. WB Saunder's Co. 1990.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3rd ed. London, Williams Heinnemann. 1990.
Brunnstrom S.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a: A Neurophysiological approach. New York, NY, Harper & Row, 1970:121.
Catherine M. Dean, Roberta B Shepherd, Roger D AdamS. Sitting balanceⅠ:trunk-arm coordination and the contribution of the lower limbs during self-spaced reaching in sitting. Gait and posture. 1999;10:135-146.
Catherine M. Dean, Roberta B. Shepherd, Roger D. Adams. Sitting balance Ⅱ: reach direction and thigh support affect the contribution of the lower limbs when reaching beyond arm's length in sitting. Gate and posture. 1999;10:147-153.
Catherine M. Dean, Roberta B. Shepherd. Task-Related Tra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Stroke. 1997;28:722-728.
Carr JH, Shepherd RB. A Motor Relearning Programme For Stroke. 2nd ed. Oxford, Butterworth-Heinemann, 1987.
Morgan P. The relationship between sitting balance and mobility outcome in stoke. Austral J Physiother. 1994;40:91-96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환자의 회복정도에 따라 하지에 미치는 근활성도가 각각 달랐다는 점과 높이와 방향에 따른 측정의 순서와 횟수에 따라 생길 수 있는 학습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에 이와 유사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면, 위에서 언급한 제한점들을 적절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6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방향에 따른 잡기과제 수행 시 의자높이가 하지의 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환측 하지의 근활성도는 건측 방향으로 잡기 수행을 하였을 때 보다 환측 방향으로 잡기 수행을 하였을 때 더 높았고 의자 높이에 따른 차이는 120%일 때 근활성도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외측광근이 전경골근보다 더 높은 근활성도를 보였다. 그러나 전경골근에서는 근활성도가 몇몇의 환자에서만 높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에서 균형 훈련 시 잡기방향과 의자 높이에 따른 단계적인 과제 수행 훈련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 용 문 헌
김종만. 치료사를 위한 임상신경학. 2판. 정담, 2003:200-226.
김종만 등. 편마비 환자의 균형기능과 감각 조직화.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7;4(3):61-69
김효정, 박영숙. 재가 뇌졸중환자의 생활양식과 일상생활기능수행, 우울 및 건강상태 지각에 관한연구. Korean Public Health Assoc. 2003;127-139.
방요순, 송경현. 상지운동학습에 의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변화. 한국 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3;10(2):85-98.
전세일. 재활치료학. 계축문화사. 1998:248-255.
전중선. 뇌졸중의 전문적 재활치료에 대하여.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1998;7(1):43-62.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 2002.
Anderson TP, Baldrige M, Ettinger MR.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 complete stroke. In: Kottke FJ.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4th ed. Philadelphi. WB Saunder's Co. 1990.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3rd ed. London, Williams Heinnemann. 1990.
Brunnstrom S.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a: A Neurophysiological approach. New York, NY, Harper & Row, 1970:121.
Catherine M. Dean, Roberta B Shepherd, Roger D AdamS. Sitting balanceⅠ:trunk-arm coordination and the contribution of the lower limbs during self-spaced reaching in sitting. Gait and posture. 1999;10:135-146.
Catherine M. Dean, Roberta B. Shepherd, Roger D. Adams. Sitting balance Ⅱ: reach direction and thigh support affect the contribution of the lower limbs when reaching beyond arm's length in sitting. Gate and posture. 1999;10:147-153.
Catherine M. Dean, Roberta B. Shepherd. Task-Related Tra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Stroke. 1997;28:722-728.
Carr JH, Shepherd RB. A Motor Relearning Programme For Stroke. 2nd ed. Oxford, Butterworth-Heinemann, 1987.
Morgan P. The relationship between sitting balance and mobility outcome in stoke. Austral J Physiother. 1994;40:91-96
추천자료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물리치료사의 역할.
[소아물리치료] 아동의 정상적인 운동발달
[신경계 물리치료 사례연구] 신경계case - 안면마비
[질환별 물리치료] PMD[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질환별 물리치료] 운동신경원 질환과 감각신경원 질환
[물리치료] 골프스윙동작에 관하여 관절과 근육의 쓰임
[물리치료] 골다공증 환자를 위한 운동
[물리치료] 상지 보조기 upper limb orthosis
[물리치료] 근력과 지구력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에 관해
[물리치료] 밸런스 테이핑 요법에 관해
[물리치료] 치매 예방 운동
[물리치료] 편마비의 정상적 움직임 패턴
[심폐물리치료] 폐 기능의 검사
[물리치료] 척주기립근[Erector Spinae Muscle]에 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