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를 뒤로 젖힌다.
② 반대로 시선을 배꼽을 보면서 허리를 위로 굴려 등 근육을 늘린다.
- 8초간 고정 3회 실시.
- 무리 없이 근육을 신전시키는 운동법이다.
3. 복근강화운동
① 양 무릎을 세우고 눕는다.
② 양팔을 무릎을 향해 뻗는 자세에서 상체를 일으켜 5초간 멈춰 있는다.
- 한 번 실시할 때 5~6회 반복, 총 2번 실시한다.
- 척주기립근, 외 내복사근 상체 전반적인 근육을 늘려준다.
3`. 복근강화운동
① 누운 자세로 머리 뒤로 깍지 끼고 천천히 상체를 들어 올리고 내리고를 반복한다.
- 3세트씩 실시
- 척주기립근, 외 내복사근 상체 전반적인 근육을 늘려준다.
4. 골반 올리기
① 누운 자세에서 양쪽 다리를 무릎 세운다.
② 천천히 엉덩이에 힘을 주며 힘을 위로 올린다.
- 한번 실시할 때 5~6회 반복, 총 2번 실시한다.
- 척주기립근을 강화시킨다.
5. 둔근신전운동
① 양쪽 무릎을 접어 가슴 쪽으로 끌어당겨 안는다.
② 그대로 고정한다.
- 그대로 20~30초간 고정, 3번 반복한다.
- 척주기립근을 강화시킨다.
6. 메켄지요법
- 엎드린 자세에서 양손을 지지하여 천천히
상체를 일으킨다. 이때 천천히 근육을 늘려야 무리가 없다.
팔꿈치를 펴고 허리를 세워서 지지한다. 5번 반복.
- 척주기립근이 지나치게 늘어났을 때 수축해 주는 운동이다.
※ 척주기립근을 이완시키는 방법.
1. 천천히 앉으면서 양 손으로 발목 후부를 감싸준다.
2. 체간을 굴곡 시킨다.
3. 두경부를 최대한 굴곡 시키면서 감싸 쥔 발목을 힘껏 당긴다.
이때, 복근부의 이완이 심한 환자는 복근의 수축 시 오히려 복부의 통증이 발생 할 수 있으며 복근의 수축력은 상지의 힘이 대신하게 된다.
4. 마지막 동작에서 약 5~10초간 정지한다.
5. 천천히 힘을 빼면서 준비 자세로 돌아간다.
- 척주기립근은 바른 자세로 앉아 등을 만졌을 때 척추를 중심으로
양쪽에 있는 근육이다. 허리를 굽히거나 펼 때 사용하는 근육으로 척추를 지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우선 어깨 넓이만큼 다리를 벌리고 양손을 허리 뒤에 댄다. 젖힐 수 있는 한껏 허리를 뒤로 젖힌다(사진). 이때 얼굴이 하늘을 향하도록 고개를 젖혀야 한다. 배만 쑥 내밀면 스트레칭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허리를 젖힐 때는 천천히 젖혀야 근육이 충격을 받지 않는다. 이 자세로 5초 정도 정지하며, 천천히 곧은 자세로 되돌아온다. 3회 반복 실시한다.
② 반대로 시선을 배꼽을 보면서 허리를 위로 굴려 등 근육을 늘린다.
- 8초간 고정 3회 실시.
- 무리 없이 근육을 신전시키는 운동법이다.
3. 복근강화운동
① 양 무릎을 세우고 눕는다.
② 양팔을 무릎을 향해 뻗는 자세에서 상체를 일으켜 5초간 멈춰 있는다.
- 한 번 실시할 때 5~6회 반복, 총 2번 실시한다.
- 척주기립근, 외 내복사근 상체 전반적인 근육을 늘려준다.
3`. 복근강화운동
① 누운 자세로 머리 뒤로 깍지 끼고 천천히 상체를 들어 올리고 내리고를 반복한다.
- 3세트씩 실시
- 척주기립근, 외 내복사근 상체 전반적인 근육을 늘려준다.
4. 골반 올리기
① 누운 자세에서 양쪽 다리를 무릎 세운다.
② 천천히 엉덩이에 힘을 주며 힘을 위로 올린다.
- 한번 실시할 때 5~6회 반복, 총 2번 실시한다.
- 척주기립근을 강화시킨다.
5. 둔근신전운동
① 양쪽 무릎을 접어 가슴 쪽으로 끌어당겨 안는다.
② 그대로 고정한다.
- 그대로 20~30초간 고정, 3번 반복한다.
- 척주기립근을 강화시킨다.
6. 메켄지요법
- 엎드린 자세에서 양손을 지지하여 천천히
상체를 일으킨다. 이때 천천히 근육을 늘려야 무리가 없다.
팔꿈치를 펴고 허리를 세워서 지지한다. 5번 반복.
- 척주기립근이 지나치게 늘어났을 때 수축해 주는 운동이다.
※ 척주기립근을 이완시키는 방법.
1. 천천히 앉으면서 양 손으로 발목 후부를 감싸준다.
2. 체간을 굴곡 시킨다.
3. 두경부를 최대한 굴곡 시키면서 감싸 쥔 발목을 힘껏 당긴다.
이때, 복근부의 이완이 심한 환자는 복근의 수축 시 오히려 복부의 통증이 발생 할 수 있으며 복근의 수축력은 상지의 힘이 대신하게 된다.
4. 마지막 동작에서 약 5~10초간 정지한다.
5. 천천히 힘을 빼면서 준비 자세로 돌아간다.
- 척주기립근은 바른 자세로 앉아 등을 만졌을 때 척추를 중심으로
양쪽에 있는 근육이다. 허리를 굽히거나 펼 때 사용하는 근육으로 척추를 지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우선 어깨 넓이만큼 다리를 벌리고 양손을 허리 뒤에 댄다. 젖힐 수 있는 한껏 허리를 뒤로 젖힌다(사진). 이때 얼굴이 하늘을 향하도록 고개를 젖혀야 한다. 배만 쑥 내밀면 스트레칭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허리를 젖힐 때는 천천히 젖혀야 근육이 충격을 받지 않는다. 이 자세로 5초 정도 정지하며, 천천히 곧은 자세로 되돌아온다. 3회 반복 실시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