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New Rules for the New Economy
By Kevin Kelly
Twelve dependable principles for thriving in a turbulent world
이제는 새로운 경제의 흐름이 생겨나고 있고 피터 드러커가 지적인 인력에 관해 처음으로 언급하였다. 지식 정보는 부를 형성해주는 강한 역할을 할 것이다. 컴퓨터는 단지 정보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켜 주었을 뿐 그 이상의 것을 가져다 주지는 못한다. 그렇지만 삶에서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였으며 모든 정보들이 모든 것들에 연결이 되었다.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Network Economy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새로운 체계들이 재설계되었다. 첫번째로 혁신을 통해 새로운 부의 흐름이 생긴다는 것이다. 두번째로 암묵지에 대한 환경적인 체계화이다. 세번째는 완벽하다고 알려진 것들을 버리고 암묵지에 대한 국내화가 필연적이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빠른 흐름의 Network Economy의 연결고리들을 강화하는 것이다. Network Economy가 한번 우리 삶속에 깊숙히 자리매김하게 될 때 아래의 12가지 방법들을 새로이 적용해야 할 것이다.
첫째는 1 The Law of Connection 이다.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칩은 우리 삶의 구석구석에 결코 빠지지 않고 있고 계속해서 발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삶의 영역에서 심심찮게 발견되고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값 또한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습게도 우리가 사고하는 것은 모두 신경의 작용이며 우리가 사용하는 칩조차도 플라스틱에 들어있는 신경에 불과하다. 이 같은 엄청난 역할들을 띈 지적인 시스템을 통해서 인공지능이 만들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리고 가장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중앙집중화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두번째는 2 The Law of Plentitude 이다. 모두를 연결시키고 나면 네트워크의 가치가 상승한다. 그래서 조금만 연결들을 늘리게 되면 모두에게 기하학적인 가치의 증가가 일어난다. 한 개의 사물만이 존재하면 가치가 적던 것이 여러 개로 늘어나면서 그 사이에 관계를 만들고 사용이 급증하면서 가치가 점점 더 높아지는 원리인 것이다. 또한 팩스의 경우 이것을 살 때에는 단지 200$이라는 값을 주고 사는 것이 아닌, 거기서 이루어지는 연결들을 통한 이윤까지도 구매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원칙에는 첫째는 희소가치이며 두번째는 사람들이 많이 갖고 있을 경우 가치가 하락하는 것이다. Network Economy는 본래의 산업에서와는 반대되는 개념인 것이다.
By Kevin Kelly
Twelve dependable principles for thriving in a turbulent world
이제는 새로운 경제의 흐름이 생겨나고 있고 피터 드러커가 지적인 인력에 관해 처음으로 언급하였다. 지식 정보는 부를 형성해주는 강한 역할을 할 것이다. 컴퓨터는 단지 정보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켜 주었을 뿐 그 이상의 것을 가져다 주지는 못한다. 그렇지만 삶에서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였으며 모든 정보들이 모든 것들에 연결이 되었다.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Network Economy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새로운 체계들이 재설계되었다. 첫번째로 혁신을 통해 새로운 부의 흐름이 생긴다는 것이다. 두번째로 암묵지에 대한 환경적인 체계화이다. 세번째는 완벽하다고 알려진 것들을 버리고 암묵지에 대한 국내화가 필연적이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빠른 흐름의 Network Economy의 연결고리들을 강화하는 것이다. Network Economy가 한번 우리 삶속에 깊숙히 자리매김하게 될 때 아래의 12가지 방법들을 새로이 적용해야 할 것이다.
첫째는 1 The Law of Connection 이다.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칩은 우리 삶의 구석구석에 결코 빠지지 않고 있고 계속해서 발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삶의 영역에서 심심찮게 발견되고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값 또한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습게도 우리가 사고하는 것은 모두 신경의 작용이며 우리가 사용하는 칩조차도 플라스틱에 들어있는 신경에 불과하다. 이 같은 엄청난 역할들을 띈 지적인 시스템을 통해서 인공지능이 만들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리고 가장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중앙집중화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두번째는 2 The Law of Plentitude 이다. 모두를 연결시키고 나면 네트워크의 가치가 상승한다. 그래서 조금만 연결들을 늘리게 되면 모두에게 기하학적인 가치의 증가가 일어난다. 한 개의 사물만이 존재하면 가치가 적던 것이 여러 개로 늘어나면서 그 사이에 관계를 만들고 사용이 급증하면서 가치가 점점 더 높아지는 원리인 것이다. 또한 팩스의 경우 이것을 살 때에는 단지 200$이라는 값을 주고 사는 것이 아닌, 거기서 이루어지는 연결들을 통한 이윤까지도 구매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원칙에는 첫째는 희소가치이며 두번째는 사람들이 많이 갖고 있을 경우 가치가 하락하는 것이다. Network Economy는 본래의 산업에서와는 반대되는 개념인 것이다.
추천자료
[케인즈학파][케인즈혁명][케인즈]케인즈혁명의 개념, 케인즈학파의 역사와 케인즈학파의 정...
[실리콘밸리][실리콘밸리 역사][실리콘밸리 무어의 법칙][실리콘밸리 위기, 해법]실리콘밸리...
넛지, 똑똑한 선택을 이끄는 힘을 읽고 - 변화하는 행동경제학 패러다임
통화주의, 합리적 기대가설, 공급중시 및 신제도학파 경제학
무어의 법칙,황의법칙
신자유주의의 의미, 신자유주의의 도입, 신자유주의의 특징, 신자유주의의 지속가능성, 신자...
파레토 법칙과 롱테일 법칙 - 온라인 서점 시장을 중심으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엔고의 연관성 -이에 따른 세계 경제의 파급효과 (서브프라임사태,...
열역학 제 1법칙 2법칙
학교, 직장 등 조직이나 집단의 상황에서 내가 겪은 경제적 동기부여와 사회적 동기부여의 경...
[공공선택론 公共選擇論] 시장실패 (Market Failure) - 신고전파 경제학과 시장실패, 공공재 ...
(해피)열역학 제 1법칙 제 2법칙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한국현대소설론] 구성론 - 구성의 정의와 법칙 및 유형(구성의 의의, 구성의 이해요인,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