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게 되며, 득점은 3점슛 라인의 안쪽에서의 필드 슛의 성공은 2점, 3점 슛 지역에서의 슛 성공은 3점, 자유투의 성공은 1점이 가산된다. 득점이 같을 때는 5분간의 연장전을 하며, 그래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가 날 때까지 반복한다.
선수 교대와 작전 타임
선수 교대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전 후반에 각 2회씩 연장시한에 한 번 작전 타임을 요구할 수 있다.
심판원
심판원은 규칙에 의해 경기진행을 지도 관할한다. 심판원은 2명(주심,부심)으로 구성된다.
3) 규칙
트래블링 : 공을 잡은 상태에서 축 발이 없이 세발이상 발을 딛었을때 적용되는 바이얼레이션이다.
더블 드리블 : 공을 드리블하다가 잡은 상태에서 다른 선수의 손을 통하지 않고 재차드 리블을 한 경우
24초 바이얼레이션 : 24초안에 공격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24초를 다써버리면 공수 가 교대된다. 림을 맞추거나 파울을 얻으면 다시 24초가 주어지는데, 룰이 바뀌어서 파 울을 당하면 14초가 주어진다.
8초 바이얼레이션 : 8초안에 공이 하프코트를 넘어가야 한다.
3초 바이얼레이션 : 골 밑 혹은 로우 포스트 라인 안에서 공격자 혹은 수비자들은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3초 이상 있으면 적용되는 룰이다.
골 텐딩: 공격자가 슛한 상태에서 일정의 각이 되면 공격자 팀이든 수비자 팀이든 그 볼 을 건드릴 수 없는 룰이다.
프리 스로우 : 반칙을 넣어 자유투를 쏠 때.
24초 바이얼레이션: 공격시간이 24초인데 24초안에 공격을 못하면 상대방 팀에게 공격 권을 넘겨주는 현상을 말한다.
인텐셔널 파울 : 상대팀의 완벽한 찬스에서 고의적인 반칙을 한경우를 말한다.
테크니컬 파울 : 심판한테 심하게 항의해서 얻는 파울이다.
♣ 각 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야한다.
주장을 포함하여 경기에 임할 수 있는 최대 12명의 선수.
코치, 만약 팀이 필요하다면 어시스턴트 코치 각 1 명.
특별한 임무를 지닌 최대 5명의 팀 관계자. 예를 들면 팀의 매니저, 의사, 마사지 사, 통계 요원, 통역 등을 말한다.
각 팀에서 5명씩의 선수가 경기 시간 중 코트에서 경기하여야 하며 또한 교체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때 교대선수는 선수가 되고 선수는 교대선수가 된다.
심판이 교대선수에게 코트에 들어오도록 신호를 할 때.
차지 타임 아웃 도중, 혹은 휴식기간 중 교대선수가 교체를 기록원에게 요청했을 때.
선수 교대와 작전 타임
선수 교대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전 후반에 각 2회씩 연장시한에 한 번 작전 타임을 요구할 수 있다.
심판원
심판원은 규칙에 의해 경기진행을 지도 관할한다. 심판원은 2명(주심,부심)으로 구성된다.
3) 규칙
트래블링 : 공을 잡은 상태에서 축 발이 없이 세발이상 발을 딛었을때 적용되는 바이얼레이션이다.
더블 드리블 : 공을 드리블하다가 잡은 상태에서 다른 선수의 손을 통하지 않고 재차드 리블을 한 경우
24초 바이얼레이션 : 24초안에 공격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24초를 다써버리면 공수 가 교대된다. 림을 맞추거나 파울을 얻으면 다시 24초가 주어지는데, 룰이 바뀌어서 파 울을 당하면 14초가 주어진다.
8초 바이얼레이션 : 8초안에 공이 하프코트를 넘어가야 한다.
3초 바이얼레이션 : 골 밑 혹은 로우 포스트 라인 안에서 공격자 혹은 수비자들은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3초 이상 있으면 적용되는 룰이다.
골 텐딩: 공격자가 슛한 상태에서 일정의 각이 되면 공격자 팀이든 수비자 팀이든 그 볼 을 건드릴 수 없는 룰이다.
프리 스로우 : 반칙을 넣어 자유투를 쏠 때.
24초 바이얼레이션: 공격시간이 24초인데 24초안에 공격을 못하면 상대방 팀에게 공격 권을 넘겨주는 현상을 말한다.
인텐셔널 파울 : 상대팀의 완벽한 찬스에서 고의적인 반칙을 한경우를 말한다.
테크니컬 파울 : 심판한테 심하게 항의해서 얻는 파울이다.
♣ 각 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야한다.
주장을 포함하여 경기에 임할 수 있는 최대 12명의 선수.
코치, 만약 팀이 필요하다면 어시스턴트 코치 각 1 명.
특별한 임무를 지닌 최대 5명의 팀 관계자. 예를 들면 팀의 매니저, 의사, 마사지 사, 통계 요원, 통역 등을 말한다.
각 팀에서 5명씩의 선수가 경기 시간 중 코트에서 경기하여야 하며 또한 교체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때 교대선수는 선수가 되고 선수는 교대선수가 된다.
심판이 교대선수에게 코트에 들어오도록 신호를 할 때.
차지 타임 아웃 도중, 혹은 휴식기간 중 교대선수가 교체를 기록원에게 요청했을 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