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인간 이효석
Ⅱ. 문학가 이효석
1. 시대와 무관했던 탐미주의자
2. 서구지향적 모더니스트
3. 섬세한 감각의 예술가
4. 동반자 작가
Ⅲ. 이효석의 문학세계에 나타나고 있는 정신구조
1. 분열 - 인위적 환경으로서의 도시 생활의 생태와 결부
2. 화해 - 자연과의 결부
Ⅳ. 이효석 소설의 현대성
Ⅴ. 결론
<참고문헌>
Ⅱ. 문학가 이효석
1. 시대와 무관했던 탐미주의자
2. 서구지향적 모더니스트
3. 섬세한 감각의 예술가
4. 동반자 작가
Ⅲ. 이효석의 문학세계에 나타나고 있는 정신구조
1. 분열 - 인위적 환경으로서의 도시 생활의 생태와 결부
2. 화해 - 자연과의 결부
Ⅳ. 이효석 소설의 현대성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이후 그는 성의 문제를 그의 문학의 주된 제재로 다루게 된다.
그의 소설에 나타나는 이러한 변화과정은 성에 관한 구체적이고도 아름다운 표현을 통해 문학을 단순히 상품화하거나 저속화한 것으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의 소설에 나타난 이러한 변화는 인간을 이루고 있는 마음과 몸의 갈등에서 몸이 더 본연적인 인간의 모습이라는 결론을 내린 작가의 사유의 결과이며, 이것은 몸이 마음에 선행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몸 우의의 사고를 하고 있는 현대의 사유 방식과 같은 궤를 간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몸에 대한 관심은 199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나는 몸에 대한 관심과 일정한 유사성을 읽을 수 있다. 이념이 급격히 사라진 자리에 몸이 대신하는 것이 1990년대 소설의 한 경향이라면 이효석의 그것은 이념을 말할 수 없는 자리에서 몸을 말한 것으로 마찬가지인 것으로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효석은 이러한 점에서 문제적인 작가이다. 이념을 소설의 중심에 두었다가 그것에 한계를 느끼고 자연과 성을 나아간 그의 문학은 마음 우위의 사유에서 몸 중심의 사유로 나아가고 있는 현대의 그것과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나 1990년대 한국소설의 흐름의 한 면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부여받을 수 있다.
Ⅴ. 결론
한 작가가 평생 글을 쓰면서 살았다는 사실은 엄숙함을 더불지 않을 수 없다. 이효석은 평생 글을 쓰면서 산 작가이다. 그는 젊은 시절 한창 실의에 잠기기도 하였으나 창작 활동의 활기를 되찾아 초기에는 경향성이 짙은 작품을 발표하던 이효석은 <수닭>을 계기로 차츰 향토를 배경으로 한 서정적인 세계로 이행해 나갔다. <화분>에 이어 같은 작품으로 그는 자연과 인간의 본능을 시적 경지로 끌어 올렸다 는 평을 받았으며 <메밀꽃>은 한국단편문학의 기념비 적인 작품으로 남아있다.
이효석이 세상을 뜬 후 세 차례(1959년 춘조사, 1971년 성음사, 1983년 창미사)에 걸쳐 전집이 발간되었으며 수백여종에 달하는 작품집이 발간되었다. 그의 작품들은 서정성이 뛰어나 1948년 이후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모밀꽃 필 무렵", "산", "들", "돈(豚)" 등의 소설과 "낙엽을 태우면서", "화초", "청포도 사상" 등의 수필이 여러 차례 수록되었다.
우리는 그를 장편소설보다 단편소설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었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이국에 대한 동경을 소설화한 작가라고 평가를 내리고 있다. 앞으로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경향성이 짙은 초기 소설에서 차츰 서정적으로 변해가는 그의 소설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며, 그 소설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이용남 외.『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2005
이익성. 『한국현대소설비평론』태학사. 2006
이재선 「분열과 화해」
최병우「이효석 소설의 현대성」한국현대소설학회. 2005
http://www.bongpyong.co.kr
http://my.dreamwiz.com
http://www.seelotus.com
http://www.hyoseok.org
그의 소설에 나타나는 이러한 변화과정은 성에 관한 구체적이고도 아름다운 표현을 통해 문학을 단순히 상품화하거나 저속화한 것으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의 소설에 나타난 이러한 변화는 인간을 이루고 있는 마음과 몸의 갈등에서 몸이 더 본연적인 인간의 모습이라는 결론을 내린 작가의 사유의 결과이며, 이것은 몸이 마음에 선행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몸 우의의 사고를 하고 있는 현대의 사유 방식과 같은 궤를 간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몸에 대한 관심은 199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나는 몸에 대한 관심과 일정한 유사성을 읽을 수 있다. 이념이 급격히 사라진 자리에 몸이 대신하는 것이 1990년대 소설의 한 경향이라면 이효석의 그것은 이념을 말할 수 없는 자리에서 몸을 말한 것으로 마찬가지인 것으로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효석은 이러한 점에서 문제적인 작가이다. 이념을 소설의 중심에 두었다가 그것에 한계를 느끼고 자연과 성을 나아간 그의 문학은 마음 우위의 사유에서 몸 중심의 사유로 나아가고 있는 현대의 그것과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나 1990년대 한국소설의 흐름의 한 면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부여받을 수 있다.
Ⅴ. 결론
한 작가가 평생 글을 쓰면서 살았다는 사실은 엄숙함을 더불지 않을 수 없다. 이효석은 평생 글을 쓰면서 산 작가이다. 그는 젊은 시절 한창 실의에 잠기기도 하였으나 창작 활동의 활기를 되찾아 초기에는 경향성이 짙은 작품을 발표하던 이효석은 <수닭>을 계기로 차츰 향토를 배경으로 한 서정적인 세계로 이행해 나갔다. <화분>에 이어 같은 작품으로 그는 자연과 인간의 본능을 시적 경지로 끌어 올렸다 는 평을 받았으며 <메밀꽃>은 한국단편문학의 기념비 적인 작품으로 남아있다.
이효석이 세상을 뜬 후 세 차례(1959년 춘조사, 1971년 성음사, 1983년 창미사)에 걸쳐 전집이 발간되었으며 수백여종에 달하는 작품집이 발간되었다. 그의 작품들은 서정성이 뛰어나 1948년 이후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모밀꽃 필 무렵", "산", "들", "돈(豚)" 등의 소설과 "낙엽을 태우면서", "화초", "청포도 사상" 등의 수필이 여러 차례 수록되었다.
우리는 그를 장편소설보다 단편소설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었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이국에 대한 동경을 소설화한 작가라고 평가를 내리고 있다. 앞으로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경향성이 짙은 초기 소설에서 차츰 서정적으로 변해가는 그의 소설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며, 그 소설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이용남 외.『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2005
이익성. 『한국현대소설비평론』태학사. 2006
이재선 「분열과 화해」
최병우「이효석 소설의 현대성」한국현대소설학회. 2005
http://www.bongpyong.co.kr
http://my.dreamwiz.com
http://www.seelotus.com
http://www.hyoseok.or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