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성격장애 개념과 분류 및 치료
Ⅱ. 정신분열성 성격장애(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1. 특징
2. 원인
3. 감별 진단
4. 경과 및 예후
5. 치료
Ⅲ. 정신분열형 성격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1. 특징
2. 원인
3. 감별 진단
4. 경과 및 예후
5. 치료
Ⅳ. 사례 보고
Ⅱ. 정신분열성 성격장애(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1. 특징
2. 원인
3. 감별 진단
4. 경과 및 예후
5. 치료
Ⅲ. 정신분열형 성격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1. 특징
2. 원인
3. 감별 진단
4. 경과 및 예후
5. 치료
Ⅳ. 사례 보고
본문내용
교사들은 그를 다른 아이들과는 외떨어져 있는 외로운 사람으로 묘사했고, 학습의 측면에서는 7학년까지는 평균 수준의 성취도를 보였던 것으로 묘사했다. 7학년 때에 점차로 공부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 하지만 선생님께 꾸중을 듣거나 바보라고 급우들로부터 놀림을 당했을 때도 전혀 반항적이지 않았다. 그는 체육을 하는 것에 절대적으로 반대했고 다만 교장선생님 앞에 섰을 때 '나는 옷을 벗고 싶지 않아요'라고 중얼댈 뿐이었다.
병원에서 환자에게는 약간의 neuoleptics가 주어졌고 그는 즉시 심한 언어장애를 일으켰다. 다른 파트의 상급의사가 상담자로 불려왔다. 그는 기록들을 검토하고 40분 이상 시도된 상담 가운데에서 몇 마디 이상을 끌어내는데 실패한 후에 모든 약물요법을 중지할 것을 제안했다. 영구 불치라는 진단이 내려졌다. 환자는 보호된 연구회로 넘겨졌다.
Axis Ⅰ : V71.09No Diagnosis or Condition
Axis Ⅱ : 301.22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Servere (p.341)
Axis Ⅲ : None
Axis Ⅳ : Severity : 1-None
Axis Ⅴ : Current GAF:28
Highest GAF past year:28
이 환자는 아무런 정신병적 증세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단순 정신분열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하지만 매우 많은 부분적 증세("인격 결핍"증세)의 비교적 빠른 발전을 보여주었다. 정신과 의사는 환자의 소년기나 청소년기에 시작했을, 정신분열증에는 드문, 특징적 병전적 인격을 기록했을지도 모른다.
인식 능력의 감퇴와 더불어 학습 활동의 약화라는 형태로 나타난 "심적 활동성"의 감소는 이런 형태의 정신분열증의 특징적 증상의 하나로 보여진다. 신경과민이라는 부대적 현상과 더불어 인격의 정서적 결핍에서 주로 인격 간 교통의 회피로의 완만한 발전의 과정은 병 발전 단계의 하나로 생각된다.
"감정적 차가움"이라고 표현된 증가된 사회적 격리와 기대되는 가족성원들에 대한 애정 어린 반응의 부족, 상실 후의 그러한 반응의 부재 등은 병의 급진적 발전의 징후이다. 추상적이고 모호한 의문에 대한 강한 관심의 증가를 수반하는 생각의 특이함, "해괴한 논리", "이상한 몰두"들은 "철학적 중독"이라고 일컬어지는데 이는 정신분열증의 다른 형태와 구별이 불가능한 "찌꺼기의 상태"로 분명히 갈 정신분열증의 심각히 발전된 과정의 임상적 모습의 완성이다.
DSM-Ⅲ-R은 정신분열증이라는 진단을 위해서 정신병적 징후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단순 정신분열증"의 아류형은 아니다. Alexi의 병은 DSM-Ⅲ-R에서의 정신분열형 인격 장애의 많은 모습을 보여준다. 즉, 괴상한 믿음, 해괴한 행동, 수축된 정서, 확연한 사회적 격리. 이런 진단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보통 사람은 인격 장애에 있어서 안정된 과정을 기대하지만 반면에 Alexi의 경우 (단순 정신분열증)는 청소년기의 처음부터 모든 기능에 있어서 눈에 띄는 이상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상한 행동과 아동으로서는 매우 잘못된 사회적 관계의 과정이 주어졌을 때 소아과의사는 왜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라는 진단이 적당치 않은가 의아해 할지 모른다. 그 진단은 좀 더 구체적인 진단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에 의해 배제된다. 이 케이스는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과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의 개념과의 사이에 확연한 경계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병원에서 환자에게는 약간의 neuoleptics가 주어졌고 그는 즉시 심한 언어장애를 일으켰다. 다른 파트의 상급의사가 상담자로 불려왔다. 그는 기록들을 검토하고 40분 이상 시도된 상담 가운데에서 몇 마디 이상을 끌어내는데 실패한 후에 모든 약물요법을 중지할 것을 제안했다. 영구 불치라는 진단이 내려졌다. 환자는 보호된 연구회로 넘겨졌다.
Axis Ⅰ : V71.09No Diagnosis or Condition
Axis Ⅱ : 301.22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Servere (p.341)
Axis Ⅲ : None
Axis Ⅳ : Severity : 1-None
Axis Ⅴ : Current GAF:28
Highest GAF past year:28
이 환자는 아무런 정신병적 증세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단순 정신분열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하지만 매우 많은 부분적 증세("인격 결핍"증세)의 비교적 빠른 발전을 보여주었다. 정신과 의사는 환자의 소년기나 청소년기에 시작했을, 정신분열증에는 드문, 특징적 병전적 인격을 기록했을지도 모른다.
인식 능력의 감퇴와 더불어 학습 활동의 약화라는 형태로 나타난 "심적 활동성"의 감소는 이런 형태의 정신분열증의 특징적 증상의 하나로 보여진다. 신경과민이라는 부대적 현상과 더불어 인격의 정서적 결핍에서 주로 인격 간 교통의 회피로의 완만한 발전의 과정은 병 발전 단계의 하나로 생각된다.
"감정적 차가움"이라고 표현된 증가된 사회적 격리와 기대되는 가족성원들에 대한 애정 어린 반응의 부족, 상실 후의 그러한 반응의 부재 등은 병의 급진적 발전의 징후이다. 추상적이고 모호한 의문에 대한 강한 관심의 증가를 수반하는 생각의 특이함, "해괴한 논리", "이상한 몰두"들은 "철학적 중독"이라고 일컬어지는데 이는 정신분열증의 다른 형태와 구별이 불가능한 "찌꺼기의 상태"로 분명히 갈 정신분열증의 심각히 발전된 과정의 임상적 모습의 완성이다.
DSM-Ⅲ-R은 정신분열증이라는 진단을 위해서 정신병적 징후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단순 정신분열증"의 아류형은 아니다. Alexi의 병은 DSM-Ⅲ-R에서의 정신분열형 인격 장애의 많은 모습을 보여준다. 즉, 괴상한 믿음, 해괴한 행동, 수축된 정서, 확연한 사회적 격리. 이런 진단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보통 사람은 인격 장애에 있어서 안정된 과정을 기대하지만 반면에 Alexi의 경우 (단순 정신분열증)는 청소년기의 처음부터 모든 기능에 있어서 눈에 띄는 이상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상한 행동과 아동으로서는 매우 잘못된 사회적 관계의 과정이 주어졌을 때 소아과의사는 왜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라는 진단이 적당치 않은가 의아해 할지 모른다. 그 진단은 좀 더 구체적인 진단인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에 의해 배제된다. 이 케이스는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과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의 개념과의 사이에 확연한 경계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추천자료
[품행 장애][품행]품행 장애의 정의, 원인, 특성과 치료에 관한 고찰(품행장애의 정의, 품행...
이상심리학 성기능장애 중 여성오르가슴 장애 사례발표
이상심리학 성격장애 자가진단검사
이상심리학 - 수면장애
정서와 성격 (성격발달, 심리교육 원리, 인지행동적 프로그램 구성요소, 학생 자존감 발달지...
보육교사로서 발달에 이상이 있다고 여겨지는 유아의 부모에게 도움을 주는 과정 ⇒ 주의력결...
[심리치료와 상담]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엘리스 Ellis)의 정신병리 이론 - 비합리적 신념, 비...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비만(섭식장애)의 이해 - 비만의 진단과 특성 및 원인(유전적 요인,...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틱장애 (Tic Disorder) - 틱장애의 정의와 원인 및 특징(뚜...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유아기와 초기 아동기의 급식 및 섭식장애 - 이식...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폭력의 발생 원인(통제 수단, 의사소통의 방법, 문...
[이상심리학] 현대인이 생활에서 가지게 되는 불안(장애)에 대한 이해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특징(특성)과 문제, ADHD 진...
[영유아 발달장애] 영유아기 발달이상(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자폐성 장애, 정신지체,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