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비형식적 오류에 관하여
1. 힘에 호소하는 오류
2. 연민에 호소하는 오류
3. 군중에 호소하는 오류
4.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
5. 인신공격에 오류
6. 정황적 오류
7. 피장파장의 오류
8. 무지에 근거한 오류
9. 우연의 오류
10.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11. 거짓원인의 오류
12.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
13. 복합질문의 오류
14. 논점 이탈의 오류
15. 흑백사고의 오류
16. 애매어의 오류
17. 애매문의 오류
18. 강조의 오류
19. 결합의 오류
20. 분해의 오류
- 참 고 문 헌 -
1. 힘에 호소하는 오류
2. 연민에 호소하는 오류
3. 군중에 호소하는 오류
4.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
5. 인신공격에 오류
6. 정황적 오류
7. 피장파장의 오류
8. 무지에 근거한 오류
9. 우연의 오류
10.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11. 거짓원인의 오류
12.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
13. 복합질문의 오류
14. 논점 이탈의 오류
15. 흑백사고의 오류
16. 애매어의 오류
17. 애매문의 오류
18. 강조의 오류
19. 결합의 오류
20. 분해의 오류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데, 이런 식으로 구매력을 가지고 있는 소비 집단 의 주의를 끌기 위한 홍보문구는 대부분 강조의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9. 결합의 오류
일상생활 에서 결합의 오류에 예를 찾아보자면 a와 b는 각각 따로 있을 때는 몹시 조용하여 이들이 함께 있는 집단 A를 조용한 집단이라고 판단했는데 실상 a 와 b 는 함께 있으면 몹시 시끄럽고 집단 A는 몹시 시끄러운 집단일수 있다. 이럴 경우 나는 잘못된 판단을 내린 것이 되는데, 결합의 오류란 이런 식으로 개별적 개체의 특징을 그 개체가 모인 집단의 특징으로 확대 해석 할 때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20. 분해의 오류
분해의 오류는 결합의 오류와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집단의 특징을 집단을 구성하는 개체의 특징으로 대입 시킬 때 일어나는데 예를 들자면 역사문화학과는 역사를 공부하는 과이다.
A는 역사문화학과 학생이다. 그러므로 A는 역사공부를 한다. 이 명제에서 역사문화학과가 역사를 공부한다는 것과 A가 역사문화학과 학생이라는 것은 분명한 참이다. 하지만 역사문화학과의 모든 학생이 반드시 역사 공부를 한다고 볼 수는 없다. A는 역사의 별 흥미가 없었는데 어쩌다 보니 역사문화학과에 왔고 실재로 전과를 위해 다른 공부를 하고 있다고 할때 앞에 명제는 분해의 오류를 범했다고 볼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김득순 / 이야기 속의 논리학 / 새날 / 2005
김진영 / 새롭게 보는 논리학 / 책벌래 / 2000
서정선 / 논리학 첫걸음 / 서광사 / 2002
곽강제 / 논리학 / 박영사 / 2004
전영삼 / 논리학 입문 / 간디서원 / 2007
19. 결합의 오류
일상생활 에서 결합의 오류에 예를 찾아보자면 a와 b는 각각 따로 있을 때는 몹시 조용하여 이들이 함께 있는 집단 A를 조용한 집단이라고 판단했는데 실상 a 와 b 는 함께 있으면 몹시 시끄럽고 집단 A는 몹시 시끄러운 집단일수 있다. 이럴 경우 나는 잘못된 판단을 내린 것이 되는데, 결합의 오류란 이런 식으로 개별적 개체의 특징을 그 개체가 모인 집단의 특징으로 확대 해석 할 때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20. 분해의 오류
분해의 오류는 결합의 오류와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집단의 특징을 집단을 구성하는 개체의 특징으로 대입 시킬 때 일어나는데 예를 들자면 역사문화학과는 역사를 공부하는 과이다.
A는 역사문화학과 학생이다. 그러므로 A는 역사공부를 한다. 이 명제에서 역사문화학과가 역사를 공부한다는 것과 A가 역사문화학과 학생이라는 것은 분명한 참이다. 하지만 역사문화학과의 모든 학생이 반드시 역사 공부를 한다고 볼 수는 없다. A는 역사의 별 흥미가 없었는데 어쩌다 보니 역사문화학과에 왔고 실재로 전과를 위해 다른 공부를 하고 있다고 할때 앞에 명제는 분해의 오류를 범했다고 볼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김득순 / 이야기 속의 논리학 / 새날 / 2005
김진영 / 새롭게 보는 논리학 / 책벌래 / 2000
서정선 / 논리학 첫걸음 / 서광사 / 2002
곽강제 / 논리학 / 박영사 / 2004
전영삼 / 논리학 입문 / 간디서원 / 2007
추천자료
교육철학의 기초
경험론(經驗論)-의의.역사.비판과 평가
분석철학에 관한 연구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의 이해와 요점정리)
헤겔의 사상
설득의 대상은 무엇인가? -지식과 신념에서 파생된 이상과 현실의 문제-
과학관으로서의 STS와 과학의 윤리적 학습지도의 방법 및 전략
수학기초론의 대두와 전개
[묵자, 묵가] 묵자의 사상과 철학(묵자 사상)(묵가 사상)
철학의이해 핵심체크문제집
독일 관념론의 대성자 헤겔
소(小) 소크라테스학파의 사상을 이어받은 헬레니즘 철학
[교육과정] (1)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 교육철학, (2)교과중심 및 학문중심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