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CA시술 받은 Angina case study (ICU)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TCA시술 받은 Angina case study (ICU)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질병소개
-정의, 증상, 진단검사, 치료, 예후

2.간호사정

3.간호진단/계획/수행/평가
-PTCA 시술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출혈
-침습적 절차와 질병과 관련된 불안

본문내용

험성: 출혈
#2. 침습적 절차와 질병과 관련된 불안
#3. PTCA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4. ICU care와 관련된 변비
#5.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
#1. PTCA 시술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출혈
주관적 자료
- “그거 하고 나니까 힘이 좀 없는 것 같아요.” (5/11)
- “조금 어질어질 하네요.” (5/14)
객관적 자료
- 5/10일과 5/14일 PTCA 시술
- 시술 후 8시간 동안 모래주머니 올린 후 ABR
- 항응고제 약물 투여 중 (후락시파린 등)
- RBC, Hb, Hct, aPTT에서 abnormal 결과
RBC : 521만/mm3 → 402만/mm3 → 410만/mm3
Hb : 15.1g/dL → 11.6g/dL → 11.2g/dL
Hct: 44.9% → 34.9% → 34.6%
aPTT: 34.6 sec → 93.8 sec → 45.6 sec
(WBC: 6710/mm3 → 7870/mm3 → 8200/mm3)
간호목표
대상자는 출혈의 징후가 없이 시술 부위가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간호계획
1. 카테터의 이동, 출혈과 혈관 치유의 지연을 예방하기 위해 환부 사지를 부동시키고 8시간동안 ABR을 유지한다.
2.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3. 환부 쪽의 사지의 말초 맥박을 측정하고 사지의 색, 체온과 감각을 관찰한다.
4. 점상출혈, 혈뇨와 요통의 호소에 대해 기록한다.
5. 환자 밑의 침대보에 혈액이 스며들었는지 자주 관찰하고 출혈이 있을 시 즉시 압박하고 보고한다.
합리적 근거
1. PTCA를 위한 카테터 삽입부위는 동맥으로 적절한 지혈을 해주지 않을 경우 상당량의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2. 활력징후에 있어 빈맥, 저혈압, 빠른 호흡, 낮은 체온 등은 출혈의 징후로 볼 수 있다.
3. 환부쪽 사지의 sen-
sory, motor, circulati-
on을 관찰하여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간호수행
1. 대상자는 시술 후 4시간 뒤 sheath를 제거하고 8시간동안 대상자의 서혜부에 모래 주머니를 대어주고 환부쪽 다리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였다. (5/10, 14)
2.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특히 시술에 갔다온 후 15분마다 1시간 동안 , 30분마다 2시간 동안,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5/10, 5/14)
3. 환부 쪽의 Dorsal pulse를 측정하고 사지의 색과 체온, 감각을 관찰하였고 모두 정상이었다. (5/10-11, 5/14-15)
4. 대상자는 5/14일 저녁 통증척도 5정도의 요통을 호소하였으나 약물을 투여하진 않았으며 점상출혈이나 혈뇨의 증상은 없었다. (5/14)
5. 자주 대상자의 침대보를 관찰하였으나 sheath 제거 후 대상자에게서 출혈 증상은 없었으며 따라서 침대보에 혈액이 스며들지 않았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출혈의 징후가 없이 안정된 활력징후를 보이다 병동으로 transfer
되었다. (5/15)
4.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2. 침습적 절차와 질병과 관련된 불안
주관적 자료
- “수술은 많이 어려운 건가요?”
- “수술은 어디로 하는 건가요?”
- “퇴원하고 회사도 다녀야하는데 또 심장이 아플까봐..”
- PTCA 시술이 개심술인 것으로 알고 있음
- “협심증으로 죽을 수도 있나요?”
객관적 자료
- 5/10일과 5/14일 PTCA 시술
- 입원 전 질병과 관련되어 Chest pain을 경험하였음.
- 안면을 찌푸리고 왼쪽 가슴을 쓸어내리며 이야기함
- 심장 질환을 겪고 있는 주변인이 없었음
간호목표
대상자는 불안을 표현하고 시술에 대하여 이해한다.
간호계획
1. 대상자가 불안을 말로 표현하도록 돕고 경청한다.
2. 시술의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3. 절차 전, 동안,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사건에 대해 설명하고 환자와 가족에게 수술 전 교육을 한다.
4. 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사정하고 협심증에 대해 교육한다.
- 퇴원 후 꾸준한 추후관리와 약물복용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식이, 운동 및 협심증의 위험요인에 대해 교육한다.
5. 대상자의 주변환경을 조용하게 하고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6. Chest pain에 대하여 nitroglycerin과 혈관확장제, 혈압강하제 등을 처방에 따라 투여한다.
합리적 근거
1.대상자에게 불안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긍정적으로 욕구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필요한 정보를 충족시킴으로써 무지에서 오는 불안감을 해소한다.
3. 외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불안의 증가를 예방하고 안정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와 면담을 통해 불안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지지하고 경청하였다.(5/13)
대상자는 들어본 적도 없는 시술에 대해 갑작스럽게 진행되고 있어 걱정이 된다면서 앞으로 사회생활이 가능할런지에 대해 궁금해 하였다.
2. 시술을 집도하는 주치의가 ICU로 찾아와 시술 방법을 소개하고 절차를 설명한 후 담당 간호사가 심장혈관 촬영실로 옮기기 전 다시 한번 설명하였다.(5/14)
3. 대상자와 대상자의 가족에게 시술 후 8시간 이상 모래주머니를 얹고 침상에 누워있어야 함을 알리고 시술 후 생길 수 있는 합병증 등을 설명하였다.(5/14)
4. 대상자가 협심증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사정하며 어떤 위험요인이 있고 증상이 어떤지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협심증은 매체를 통해 많이 들어봤지만 증상에 대한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었고 첫 증상이 있었을 때도 약물 때문인지 알았다며 이제 이해가 된다고 말하였다. (5/13)
5. 대상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v/s 측정시마다 불편한 것은 없는지 물어보고 소음을 줄이기 위해 알림음을 빨리 끄고 불필요한 간호는 하지 않도록 노력하였다.(5/10-5/15)
6. Syringe pump를 이용하여 hourly로 Nitroglycerin 주사를 투여하고 injection또는 PO medication으로 혈관확장제, 혈압강하제, 항지질제 등을 투약하였다.
(5/10-5/15)
간호평가
대상자는 정보를 얻고 나니 마음이 편해지는 것 같다고 표현하였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上, 현문사, 2004, 전시자 외 9인
임상간호매뉴얼, 현문사, 2004.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7.2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