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멘토링의 기본 이해
2.용어의 정리
3.멘토링의 기원
1)문학적 기원
2)역사적 기원
4.멘토링의 정의
5.멘토링의 종류와 유형
6.멘토링의 성경적 기초
7.멘토링의 방법
8.결론
2.용어의 정리
3.멘토링의 기원
1)문학적 기원
2)역사적 기원
4.멘토링의 정의
5.멘토링의 종류와 유형
6.멘토링의 성경적 기초
7.멘토링의 방법
8.결론
본문내용
를 받는다.
* 말보다는 삶으로 본을 보이라.-새 신자는 말보다는 멘토의 삶을 통해 변화된다.
* 상대방에 대한 진지한 사랑과 관심을 가지라.- 기술보다는 사랑이 더 중요하다.
* 먼저 잘 들어 주고 자세히 관찰하라-잘 들을 때 새신자의 필요를 빨리 발견할 수 있다.
* 시간과 약속을 잘 지켜라.-약속을 지킬 때 서로의 신뢰가 쌓인다.
* 언어사용에 주의하고 예의를 지켜라.-언어사용은 멘토의 인격을 나타내 줄 때가 많다.
* 물질과 시간을 투자하고 멘토링 양육에 최우선 순위를 두라.-투자하는 만큼 열매를
맺는다.
* 멘토의 모든 활동은 구역장의 지도와 감독을 받으라.-멘토 자신의 멘토가 순장임을
기억하라
* 함께 목표를 설정하라.-목표가 없으면 두 사람의 만남이 방향을 잃기 쉽다.
* 어떤 내용을 가지고 교제할 지에 대해 정하라.-미리 알 때 기대감이 생기고
준비가 된다.
* 정규적인 만남을 가지라.-정규적인 만남이 두 사람의 목표를 이룸에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기간을 정하고 시작하라.-일정한 기간이 정해질 때 지루함을 방지하며 계획 설정에
도움을 준다.
* 문제해결에 있어 말씀의 권위를 인정하고 말씀을 사용하라.-말씀에 기초할 때
온전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
* 외적인 요소로만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멘토링의 실패의 원인이다.
*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라.-소극적인 멘토는 새신자의 열심을 끌어내지 못한다.
* 2,3개월에 한 번씩 두 사람의 관계를 평가하라.-정기적인 평가는 방향 설정을
재정립해 준다.
* 멘토링 양육은 가능하면 동성끼리 한다.-서로에게 이성을 느끼는 사이라면
피하는 것이 좋다.
8.결론
멘토링을 생각할 때 떠오르는 것들은 신뢰이다. 멘토와 프로테제 간의 신뢰가 쌓이면 좋은 멘토링을 시작할 수 있다. 이것이 교회 개척과 함께 교회성장의 첫 단추가 될 것이다.
또한 멘토링의 관계는 도움의 관계이다. 멘토는 프로테제를 전인격적으로 도움으로서 주님의 제자가 되게 한다. 세움의 관계이다. 주님은 섬기러 이 세상에 오셨다.
멘토는 드러내는 자세와 주장하는 자세로서가 아니라 세워주고 섬기는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다. 지도의 관계이다. 충고의 관계가 아니다. 멘토는 때로 냉정하게 지도하고 충고해 주어야 한다. 설사 멘토링의 관계가 중단 될지라도 올바른 길로 가게 하기 위해서 위험요소가 있다할지라도 과감하게 충고해야 한다.
때로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조언을 아끼지 말며,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칭찬하는 것은 그를 인격적으로 대우하는 것이며 서로의 신뢰를 두텁게 할 수 있다. 관계 중심이다. 또한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눔의 관계이다. 교육의 관계가 아니라 양육의 관계이다. 모범을 보이는 관계이며 투자의 관계이다. 시간과 물질과 사랑의 투자를 해야 하는 것이 멘토링이다.
이 모든 것이 아름답다 할지라도 멘토링의 관계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하나님 앞에서 실시해야 하며 성령께 의지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멘토링은 하나님께서 이미 제정해 놓으신 것이며 우리는 그의 도구이기 때문이다.
* 말보다는 삶으로 본을 보이라.-새 신자는 말보다는 멘토의 삶을 통해 변화된다.
* 상대방에 대한 진지한 사랑과 관심을 가지라.- 기술보다는 사랑이 더 중요하다.
* 먼저 잘 들어 주고 자세히 관찰하라-잘 들을 때 새신자의 필요를 빨리 발견할 수 있다.
* 시간과 약속을 잘 지켜라.-약속을 지킬 때 서로의 신뢰가 쌓인다.
* 언어사용에 주의하고 예의를 지켜라.-언어사용은 멘토의 인격을 나타내 줄 때가 많다.
* 물질과 시간을 투자하고 멘토링 양육에 최우선 순위를 두라.-투자하는 만큼 열매를
맺는다.
* 멘토의 모든 활동은 구역장의 지도와 감독을 받으라.-멘토 자신의 멘토가 순장임을
기억하라
* 함께 목표를 설정하라.-목표가 없으면 두 사람의 만남이 방향을 잃기 쉽다.
* 어떤 내용을 가지고 교제할 지에 대해 정하라.-미리 알 때 기대감이 생기고
준비가 된다.
* 정규적인 만남을 가지라.-정규적인 만남이 두 사람의 목표를 이룸에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기간을 정하고 시작하라.-일정한 기간이 정해질 때 지루함을 방지하며 계획 설정에
도움을 준다.
* 문제해결에 있어 말씀의 권위를 인정하고 말씀을 사용하라.-말씀에 기초할 때
온전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
* 외적인 요소로만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멘토링의 실패의 원인이다.
*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라.-소극적인 멘토는 새신자의 열심을 끌어내지 못한다.
* 2,3개월에 한 번씩 두 사람의 관계를 평가하라.-정기적인 평가는 방향 설정을
재정립해 준다.
* 멘토링 양육은 가능하면 동성끼리 한다.-서로에게 이성을 느끼는 사이라면
피하는 것이 좋다.
8.결론
멘토링을 생각할 때 떠오르는 것들은 신뢰이다. 멘토와 프로테제 간의 신뢰가 쌓이면 좋은 멘토링을 시작할 수 있다. 이것이 교회 개척과 함께 교회성장의 첫 단추가 될 것이다.
또한 멘토링의 관계는 도움의 관계이다. 멘토는 프로테제를 전인격적으로 도움으로서 주님의 제자가 되게 한다. 세움의 관계이다. 주님은 섬기러 이 세상에 오셨다.
멘토는 드러내는 자세와 주장하는 자세로서가 아니라 세워주고 섬기는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다. 지도의 관계이다. 충고의 관계가 아니다. 멘토는 때로 냉정하게 지도하고 충고해 주어야 한다. 설사 멘토링의 관계가 중단 될지라도 올바른 길로 가게 하기 위해서 위험요소가 있다할지라도 과감하게 충고해야 한다.
때로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조언을 아끼지 말며,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칭찬하는 것은 그를 인격적으로 대우하는 것이며 서로의 신뢰를 두텁게 할 수 있다. 관계 중심이다. 또한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눔의 관계이다. 교육의 관계가 아니라 양육의 관계이다. 모범을 보이는 관계이며 투자의 관계이다. 시간과 물질과 사랑의 투자를 해야 하는 것이 멘토링이다.
이 모든 것이 아름답다 할지라도 멘토링의 관계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하나님 앞에서 실시해야 하며 성령께 의지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멘토링은 하나님께서 이미 제정해 놓으신 것이며 우리는 그의 도구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스포츠 예술로서 탈춤과 기독교 교육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스포츠예술
탈인습적 기독교 교육
개화기 기독교가 한국근대교육에 미친 영향-긍정및부정
21세기를 향한 기독교 교육
영성교육과정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접근
기독교 교육개론 정리
청소년의 신앙발달과 기독교 교육
코메니우스의 기독교 교육 사상 연구
피아제 이론의 유아 기독교 교육 적용
[기독교 부모교육] 교회학교 부모교육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과 발달심리학 이론과의 관계
기독교 교육
[기독교교육론] 솔로몬의 영적 지도력에 관한 연구 (솔로몬의 생애, 영적 리더십의 원천, 영...
『돈과 경제와 그리스도인』 _ 조성국 저 [기독교인간학과교육, 인간학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