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메밀이란?
2. 메밀의 구성
3. 메밀의 성분
4. 메밀의 생육
5. 메밀의 품종
6. 메밀의 파종방법
7. 메밀의 수확시기
8. 작부체계
9. 메밀의 함유된 Rutin
10. 메밀의 영양학적 우수성
11. 메밀의 효능
12. 메밀의 이용
13. 메밀의 가치
14. 메밀의 가공
15. 가공식품
2. 메밀의 구성
3. 메밀의 성분
4. 메밀의 생육
5. 메밀의 품종
6. 메밀의 파종방법
7. 메밀의 수확시기
8. 작부체계
9. 메밀의 함유된 Rutin
10. 메밀의 영양학적 우수성
11. 메밀의 효능
12. 메밀의 이용
13. 메밀의 가치
14. 메밀의 가공
15. 가공식품
본문내용
절에 메밀을 먹을 땐 따뜻하게 해서 먹는 것이 좋다.
14. 메밀의 가공
메밀 종실의 주성분은 전분이지만 조단백질도 12~15%로 많이 함유하고 있고, 라이신(5~7%)을 비롯한 아미노산 및 비타민 구성도 좋아서 고급 기호 건강식품으로 유명하다. 어린잎과 줄기는 채소로 이용되고 있으며, 청예생초는 단백질함량과 전분가도 높아서 가축사료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혈압강하제나 구충제로 쓰이는 루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메밀꽃은 관광과 좋은 밀원으로, 메밀 깍지는 베갯속으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메밀식품은 냉면, 막국수, 메밀묵, 총떡, 메밀부침, 메밀 수제비, 전병 등이 있고 요즘에 와서는 메밀라면, 메밀싹기름, 메밀채소, 메밀차, 메밀음료, 메밀막걸리로도 이용되고 있다. 원래 메밀은 겨울별미식이었으나 이제는 사시사철 즐겨먹는 음식이 되었고 음식점뿐만 아니라 웬만한 메밀국수 가계에 가봐도 메밀로 만든 국수와 가루를 쉽게 볼 수 있어 그 수요량이 얼마나 많은지 알수 있다. 또한 메밀 선호도를 반영하듯 라면에도 메밀라면이 나왔고 메밀이 30%정도 첨가된 국수도 다양한 이름으로 선보이고 있다. 일본에는 메밀로 과자, 어묵, 찐빵, 아이스크림까지 만들 정도로 메밀을 애용하고 있으며 구라파에서는 다이어트식품으로 메밀스넥이 여러종류 나오고 있고 메밀에 들어 있는 성분인 루틴(Rutin)을 추출하여 생약으로 생산하기도 한다. 또한 전에는 메밀을 종실사용 목적으로 재배하였으나 이제는 종실의 배와 배유보다 껍질과 식물체의 잎, 꽃, 줄기, 뿌리 등에 루틴성분과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성분들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게 알려져 식물체 전체가 건강식과 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음료수나 술을 만들기도 하고 부드러운 메밀잎은 차나 푸른채소로, 그리고 메밀 종자의 싹을 틔워 메밀싹기름이 생산되고 있으며 종실을 수확하고 남은 짚은 가축사료로 사용한다. 메밀꽃은 관광과 밀원으로 한몫하며 메밀꿀은 건강식품으로 으뜸이다. 때문에 농가에서는 메밀꿀과 채소를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재배하면 고소득을 올릴수 있다.
현대 물질 문명이 인간을 역습하는 상황에서 가장 자연에 가까운 것을 찾아 건강과 마음의 안정을 찾으려는 가치 우선의 웰빙 추세에서 사람들은 건강에 좋은 자연식품에 목말라하고 있다. 메밀이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게 되는 것도 그같은 필요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함이 없는 식품으로 과학적 근거가 밝혀졌기 때문이다.
메밀은 다른 곡류에 비해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 드레오닌. 라이신 등이 많고 글로블린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모세혈관 강화작용을 하는 비타민 P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 유도체인 루틴 성분이 매우 많이 들어있다. 그래서 고혈압 등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큰 식품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그 외에도 각종 성분이 많이 들어있다.
이렇듯 좋은 메밀이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고 병충해도 없어 농약으로부터 안전한 무공해 식품으로 인정받아 외국에선 메밀에 대한 연구와 가공식품이 개발이 활기차게 이뤄지고 있다. 일본에선 메밀 찐빵. 메밀 도너츠. 메밀 어묵. 메밀쿠키 등을 만들고 있고 유럽이나 미국에선 초콜릿 바. 스낵. 팬케이크,샐러드 . 롤케이크, 파스타 등 건강식품, 다이어트 식품으로 활용키 위한 메밀 연구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메밀가공 식품산업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메밀묵. 메밀국수. 메밀부침 ,메밀음료 등 전통적인 가공식품 보존 정도에 그치고 있다. 메밀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가공식품 생산도 이제 시작 단계에 접근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제분업체인 동아제분이 현대적 시설로 메밀가루와 그 가공식품 생산에 착수한 직후이라 메밀 가공식품 분야의 발전을 기대할 첫 삽질은 이뤄진 것으로 봐도 좋을 것 같지만 한 분야의 발전이 민간 업체 한 곳의 노력으로 만족할 만하게 성과를 거둘 것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캐나다의 경우 이미 40년전부터 메밀을 대단위로 재배, 메밀의 2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캐나다 농림부는 메밀의 기능성에 대한 조사에 포커스를 맞추고 식품, 비식품 분야에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준비과정에 들어갔다고 한다. 서리에 잘 견디고 전분 함량이 더 많은 신 품종 개발에 많은 진척을 이루고 있다.
미국은 자국내 메밀 수요는 적은 편이지만 현재 일본에 주로 수출하며 메밀을 이용한 건강식품 개발에 관심을 버리지 않고 있다. 메밀의 꿀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해서 미국의 일부 업체에선 꿀을 얻기위해 메밀 경작을 늘리고 메밀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메밀을 이용한 파스타, 100% 메밀가루 스낵, 또띠아 랩이 개발되었고 운동선수를 위한 에너지 바 등을 이미 생산하고 있기도 하다.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의 지리적 여건, 유휴농지 증가의 현실 속에서 우리 정부나 업계가 메밀의 경작과 그것을 이용한 식품개발, 메밀 전통식품을 퓨전화시키는 등 메밀 이용에 보다 더 큰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15. 가공식품
1) 한국 야쿠르트 건강 음료 무하유
용 량 : 175ml
가 격 : 1,000원
단 위 : 1Box 30EA
원재료 : 메밀추출액, 타우린, 쌀배아추출액, 겨우 살이 추출분말, 뽕잎 추출액
제품특징
- 메밀에서 추출한 루틴, 가바, 겨우살이 추출물, 뽕잎 추출물 등이 함유된 성인을 위한 건강음료
- 무하유 음료를 드신분들이 효과가 좋다는 의견을 많이 보내 주시고 있음
2) 맛과 기능성을 인정받아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달단 메밀차
메밀의 품종엔 보통종과 달단(타르타르)종이 있다. 달단종은 혈관을 강화하여 성인병을 예방하는 작용이 있어 주목받고 있는 비타민P라고도 불리는 루틴이 보통종보다 훨씬 많다. 달단메밀은 중국 서남부 원난성, 쓰촨성, 티베트 자치구, 내몽고 지구, 네팔 등의 고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일본에선 비교적 한냉한 이와테현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달단메밀에 대해선 중국 명나라 때에 쓰여진 약학서 `本草綱目\'에 약효가 소개돼 있고 그보다 앞서 나온 `政和政類本草\'란 약초서에도 “달단메밀은 위장을 튼튼하게 하여 기력을 돋운다”고 쓰여 있다. 또한 `中華大
14. 메밀의 가공
메밀 종실의 주성분은 전분이지만 조단백질도 12~15%로 많이 함유하고 있고, 라이신(5~7%)을 비롯한 아미노산 및 비타민 구성도 좋아서 고급 기호 건강식품으로 유명하다. 어린잎과 줄기는 채소로 이용되고 있으며, 청예생초는 단백질함량과 전분가도 높아서 가축사료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혈압강하제나 구충제로 쓰이는 루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메밀꽃은 관광과 좋은 밀원으로, 메밀 깍지는 베갯속으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메밀식품은 냉면, 막국수, 메밀묵, 총떡, 메밀부침, 메밀 수제비, 전병 등이 있고 요즘에 와서는 메밀라면, 메밀싹기름, 메밀채소, 메밀차, 메밀음료, 메밀막걸리로도 이용되고 있다. 원래 메밀은 겨울별미식이었으나 이제는 사시사철 즐겨먹는 음식이 되었고 음식점뿐만 아니라 웬만한 메밀국수 가계에 가봐도 메밀로 만든 국수와 가루를 쉽게 볼 수 있어 그 수요량이 얼마나 많은지 알수 있다. 또한 메밀 선호도를 반영하듯 라면에도 메밀라면이 나왔고 메밀이 30%정도 첨가된 국수도 다양한 이름으로 선보이고 있다. 일본에는 메밀로 과자, 어묵, 찐빵, 아이스크림까지 만들 정도로 메밀을 애용하고 있으며 구라파에서는 다이어트식품으로 메밀스넥이 여러종류 나오고 있고 메밀에 들어 있는 성분인 루틴(Rutin)을 추출하여 생약으로 생산하기도 한다. 또한 전에는 메밀을 종실사용 목적으로 재배하였으나 이제는 종실의 배와 배유보다 껍질과 식물체의 잎, 꽃, 줄기, 뿌리 등에 루틴성분과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성분들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게 알려져 식물체 전체가 건강식과 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음료수나 술을 만들기도 하고 부드러운 메밀잎은 차나 푸른채소로, 그리고 메밀 종자의 싹을 틔워 메밀싹기름이 생산되고 있으며 종실을 수확하고 남은 짚은 가축사료로 사용한다. 메밀꽃은 관광과 밀원으로 한몫하며 메밀꿀은 건강식품으로 으뜸이다. 때문에 농가에서는 메밀꿀과 채소를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재배하면 고소득을 올릴수 있다.
현대 물질 문명이 인간을 역습하는 상황에서 가장 자연에 가까운 것을 찾아 건강과 마음의 안정을 찾으려는 가치 우선의 웰빙 추세에서 사람들은 건강에 좋은 자연식품에 목말라하고 있다. 메밀이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게 되는 것도 그같은 필요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함이 없는 식품으로 과학적 근거가 밝혀졌기 때문이다.
메밀은 다른 곡류에 비해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 드레오닌. 라이신 등이 많고 글로블린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모세혈관 강화작용을 하는 비타민 P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 유도체인 루틴 성분이 매우 많이 들어있다. 그래서 고혈압 등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큰 식품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그 외에도 각종 성분이 많이 들어있다.
이렇듯 좋은 메밀이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고 병충해도 없어 농약으로부터 안전한 무공해 식품으로 인정받아 외국에선 메밀에 대한 연구와 가공식품이 개발이 활기차게 이뤄지고 있다. 일본에선 메밀 찐빵. 메밀 도너츠. 메밀 어묵. 메밀쿠키 등을 만들고 있고 유럽이나 미국에선 초콜릿 바. 스낵. 팬케이크,샐러드 . 롤케이크, 파스타 등 건강식품, 다이어트 식품으로 활용키 위한 메밀 연구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메밀가공 식품산업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메밀묵. 메밀국수. 메밀부침 ,메밀음료 등 전통적인 가공식품 보존 정도에 그치고 있다. 메밀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가공식품 생산도 이제 시작 단계에 접근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제분업체인 동아제분이 현대적 시설로 메밀가루와 그 가공식품 생산에 착수한 직후이라 메밀 가공식품 분야의 발전을 기대할 첫 삽질은 이뤄진 것으로 봐도 좋을 것 같지만 한 분야의 발전이 민간 업체 한 곳의 노력으로 만족할 만하게 성과를 거둘 것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캐나다의 경우 이미 40년전부터 메밀을 대단위로 재배, 메밀의 2차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캐나다 농림부는 메밀의 기능성에 대한 조사에 포커스를 맞추고 식품, 비식품 분야에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준비과정에 들어갔다고 한다. 서리에 잘 견디고 전분 함량이 더 많은 신 품종 개발에 많은 진척을 이루고 있다.
미국은 자국내 메밀 수요는 적은 편이지만 현재 일본에 주로 수출하며 메밀을 이용한 건강식품 개발에 관심을 버리지 않고 있다. 메밀의 꿀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해서 미국의 일부 업체에선 꿀을 얻기위해 메밀 경작을 늘리고 메밀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메밀을 이용한 파스타, 100% 메밀가루 스낵, 또띠아 랩이 개발되었고 운동선수를 위한 에너지 바 등을 이미 생산하고 있기도 하다.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의 지리적 여건, 유휴농지 증가의 현실 속에서 우리 정부나 업계가 메밀의 경작과 그것을 이용한 식품개발, 메밀 전통식품을 퓨전화시키는 등 메밀 이용에 보다 더 큰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15. 가공식품
1) 한국 야쿠르트 건강 음료 무하유
용 량 : 175ml
가 격 : 1,000원
단 위 : 1Box 30EA
원재료 : 메밀추출액, 타우린, 쌀배아추출액, 겨우 살이 추출분말, 뽕잎 추출액
제품특징
- 메밀에서 추출한 루틴, 가바, 겨우살이 추출물, 뽕잎 추출물 등이 함유된 성인을 위한 건강음료
- 무하유 음료를 드신분들이 효과가 좋다는 의견을 많이 보내 주시고 있음
2) 맛과 기능성을 인정받아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달단 메밀차
메밀의 품종엔 보통종과 달단(타르타르)종이 있다. 달단종은 혈관을 강화하여 성인병을 예방하는 작용이 있어 주목받고 있는 비타민P라고도 불리는 루틴이 보통종보다 훨씬 많다. 달단메밀은 중국 서남부 원난성, 쓰촨성, 티베트 자치구, 내몽고 지구, 네팔 등의 고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일본에선 비교적 한냉한 이와테현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달단메밀에 대해선 중국 명나라 때에 쓰여진 약학서 `本草綱目\'에 약효가 소개돼 있고 그보다 앞서 나온 `政和政類本草\'란 약초서에도 “달단메밀은 위장을 튼튼하게 하여 기력을 돋운다”고 쓰여 있다. 또한 `中華大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