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조선왕조 법제상 상속인의 범위와 순위
2) 상속분
3. 결 론
- 참 고 문 헌 -
2. 본 론
1) 조선왕조 법제상 상속인의 범위와 순위
2) 상속분
3. 결 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의 자식처럼 완전한 상속인이 될 수 없었으며 부의 재산은 부의 가장 가까운 방계친족(보통 부의 형제자매)이 공동상속인으로 양도받았다. 이 규정은 분명히 첩의 자식의 상속자로서의 위치를 상승시킨 것이지만 동시에 고려의 수평적인 방계친족에 의한 상속관행을 재확인한 것이다. 그러나 조선의 상속법은 1485년의 경국대전에서 보다 발전되었다. 경국대전은 1405년의 첩의 자식들에 대한 차별된 몫을 계승하였고, 새롭게 승중자에 대한 우선적 처우를 했다. 또한 1405년의 상속자가 없을 경우 상속받을 수 있는 친족의 범위의 한계를 4촌까지로 규정한 것을 가장 가까운 방계친척의 일부(형제자매와 삼촌과 사촌)로 구별하였다.
- 참 고 문 헌 -
- 한국고문서학회 엮음 / 조선시대 생활사 / 역사 비평사 / 1996년
- 윤국일 / 신편 경국대전 / 신서원 / 1998년
- 박한남 / 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 집문당 / 2003
- 조성린 / 조선500년 신통방통 도사통 / 동서문화사 / 2007
- 한국고문서학회 / 조선시대 생활사 / 역사비평사 / 1999
- 김경훈 / 뜻밖의 한국사 / 오늘의 책 / 2004
- 신명호 / 조선의 왕 / 가람기획 / 1998
- 참 고 문 헌 -
- 한국고문서학회 엮음 / 조선시대 생활사 / 역사 비평사 / 1996년
- 윤국일 / 신편 경국대전 / 신서원 / 1998년
- 박한남 / 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 집문당 / 2003
- 조성린 / 조선500년 신통방통 도사통 / 동서문화사 / 2007
- 한국고문서학회 / 조선시대 생활사 / 역사비평사 / 1999
- 김경훈 / 뜻밖의 한국사 / 오늘의 책 / 2004
- 신명호 / 조선의 왕 / 가람기획 /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