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 증폭기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산 증폭기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입력 베이스단에 외부 dc전원을 연결 시켜야 한다.
입력에 연결된 동일한 외부 저항 성분들은 베이스 전류가 적당히 흐르도록 해주지만,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다. 약간 다른 베이스 전류가 외부 저항을 통해 흐를 때 그것들은 불균등한 입력 전압차를 생성한다. 즉, 이것은 잘못된 입력 신호를 나타내는데, 증폭 되었을 때 이러한 소량의 입력 불균등은 출력 전압에서 오프셋을 생성한다. 데이터 표상에 나타난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두 개 의 입력 베이스 전류의 평균값임에 유의해야한다. 참고로 입력 바이어스 전류가 작을수록 불균등의 가능성은 줄어든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입력 오프셋 전류
입력 오프셋 전류는 공통 소스로부터 구동된 두 입력 전류간의 차이다. 741은 최대 20㎁의 입력 오프셋 전류를 가지며, 이것은 한쪽 베이스에서 흐르는 전류가 다른 쪽보다 최대 20㎁까지 발견될수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입력 오프셋 전류가 작을수록 연산 증폭기의 성능은 좋아진다.
입력 오프셋 전압
이상적으로는 두 입력단 사의 전압차가 0V일 때 출력 전압이 0이어야 하는데, 실제에 있어서는 출력 전압이 약간의 오프셋을 가진다. 이렇나 출력 오프셋은 내부 불일치나 허용량등에 의해 야기된다.
입력 오프셋전압은 정적 출력 전압을 0V로 하는 데 요구되는 두 입력단간의 차입력 전압이다. 한 예로 741의 최악 조건 입력 오프셋 전압은 5㎷이다. 그러므로 인가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출력 전압을 정확히 0V로 만들기 위해 5㎷의 차입력을 공급해야만 한다.
CMMR은 차동 증폭기에서 정의되는 상수이며, 실험14에서 언급하였듯이
(16-7)
으로 표현되며, 741의 CMMR은 약 30,000이다. 만일 동일한 공통모드와 차동모드 입력 신호가 주어진다면, 공통 모드 신호는 741의 출력단에서 차신호보다 30,000배 작을 것이다.
슬루율
연산 증폭기의 ac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특성들 중에 슬루율이 가장 중요한데, 그 이유는 대신호 동작 동작에 심각한 제한을 유발시키기 때문에다. 슬루율은 출력 전압이 변할 수 있는 최대 속도로서 정의되며, 일례로서 741은 0.5V/㎲보다 더 빨리 변할 수는 없는 것이다. 만일 우리가 741의 입력단에 걔단파 입력을 인가한다면, 출력 전압은 보여진 바와 같이 선형적으로 상승하는데, 출력 전압이 0V에서 10V 까지 변하는 데에는 20㎲가 소요된다. 일반적인 741 의 출력은 이러한 속도보다 더 빨리 변할 수는 없다.

키워드

연산,   증폭기,   루프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25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25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