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Feature Detection
Ⅱ Feature Detection 실험 준비
1. 실험가설
2. 실험설계 및 실험절차
○ 실험 설계와 절차
○ 본격적인 실험에서의 실험 절차
Ⅲ 실험 결과 및 분석
1. 가설 1,2의 실험 결과
2. 가설 1,2의 실험 분석
Ⅳ 끝맺는 말
-실험이 가져오는 결론과 논의점 및 실험한계점
-Feature Detection
Ⅱ Feature Detection 실험 준비
1. 실험가설
2. 실험설계 및 실험절차
○ 실험 설계와 절차
○ 본격적인 실험에서의 실험 절차
Ⅲ 실험 결과 및 분석
1. 가설 1,2의 실험 결과
2. 가설 1,2의 실험 분석
Ⅳ 끝맺는 말
-실험이 가져오는 결론과 논의점 및 실험한계점
본문내용
극이 많을수록 목표 자극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것은 목표 자극의 세부 특징을 검색해야 하는 횟수가 더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요약하여, 트레이즈만의 Feature-integration theory(세부특징통합이론)에 의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우리의 실험의 결과는 가설과 트레이즈만의 이론을 지지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의 수가 너무 적어 일반화가 어렵고, 실험의 대상이 ‘대학생’이라는 한 부류로 한정되어 있어 일반적인 결과로 설명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방해자극에 대한 세부특징의 유사성 여부는 모두에게 통합되기 힘들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설 2에서 설정한 방해자극의 횟수가 과연 유의미한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대표성을 지니는가에 대한 논의점도 있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표본이 많은 즉,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증명할 수 있는 평균수의 피험자를 통한 실험으로 더욱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실험 설계와 절차에서도 좀 더 구체적이고 이론에 부합하는 설정으로 확실한 결과를 이룰 수 있어야 하겠다.
요약하여, 트레이즈만의 Feature-integration theory(세부특징통합이론)에 의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우리의 실험의 결과는 가설과 트레이즈만의 이론을 지지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의 수가 너무 적어 일반화가 어렵고, 실험의 대상이 ‘대학생’이라는 한 부류로 한정되어 있어 일반적인 결과로 설명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방해자극에 대한 세부특징의 유사성 여부는 모두에게 통합되기 힘들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설 2에서 설정한 방해자극의 횟수가 과연 유의미한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대표성을 지니는가에 대한 논의점도 있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표본이 많은 즉,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증명할 수 있는 평균수의 피험자를 통한 실험으로 더욱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실험 설계와 절차에서도 좀 더 구체적이고 이론에 부합하는 설정으로 확실한 결과를 이룰 수 있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