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응급의료 체계
1.응급의료체계로의 접근
2.응급의료 체계의 중요성
3.응급의료체계의 변천과정
4.선진국의 응급의료체계
5.우리 나라 응급의료체계의 실정
Ⅱ.응급심폐소생술
1. 심폐소생술의 목적
2. 올바른 심폐소생술의 기본
3. 심폐소생술의 방법
4. 호흡 및 심장박동 여부의 확인 방법
5. 기도의 유지방법
6.구강 대 구강 호흡 소생술(Mouth to Mouth)
7.심장마사지(Cardias Massage)
Ⅲ.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의 응급치료
1.기도폐쇄의 구분
2. 기도폐쇄환자에서의 응급조치 방법
3. 기도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의 응급조치 순서
1.응급의료체계로의 접근
2.응급의료 체계의 중요성
3.응급의료체계의 변천과정
4.선진국의 응급의료체계
5.우리 나라 응급의료체계의 실정
Ⅱ.응급심폐소생술
1. 심폐소생술의 목적
2. 올바른 심폐소생술의 기본
3. 심폐소생술의 방법
4. 호흡 및 심장박동 여부의 확인 방법
5. 기도의 유지방법
6.구강 대 구강 호흡 소생술(Mouth to Mouth)
7.심장마사지(Cardias Massage)
Ⅲ.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의 응급치료
1.기도폐쇄의 구분
2. 기도폐쇄환자에서의 응급조치 방법
3. 기도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의 응급조치 순서
본문내용
자가 숨을 크게 들여 마셔야 한다. 또한 공기가 나오는지, 환자의 호흡이 돌어왔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4)구강 대 구강 호흡법은 환자 자신이 완전히 정상적으로 숨을 쉴 때까지, 혹은 전문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계속되어야 한다.
*주의사항
1)숨을 불어 넣는 중에는 가슴이 오르락 내리락 하지 않으면 이는 숨구멍이 막혀 있다는 증거이다. 이때는 환자의 아래턱을 앞으로 당겨서 다시 시도하여야 한다.
2)환자가 입을 다쳐서 입을 통한 인공호흡이 어려운 경우에는 환자의 목을 받치고 있던 손을 떼어서 환자의 입을 막고, 환자의 코를 통해서 숨을 불어 넣어 주며, 숨을 불어 넣은 후에는 입을 막은 손을 떼어서 공기가 밖으로 나오도록 한다. 이 동작을 1분에 12회 반복한다
3)유아나 영아인 경우에는 머리를 어른에서와 같이 심하게 뒤로 젖히지 말아야 하며, 코와 입을 동시에 사용해서 1분에 20회 정도의 속도로 공기를 불어 넣어 준다.
7.심장마사지(Cardias Massage)
1)환자의 경동맥을 짚어서 맥박이 없을 경우에는 구강 대 구강 호흡법과 더불어 심장마사지를 한다.
2)환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히고, 시술자의 상체를 세우고, 무릎을 꿇은 자세로 환자의 가슴뼈 아랫부분을 손바닥의 손관절 부분을 이용하여 누른다.
3)누를때는 상체의 체중을 실어서 눌리는 부위가 약 5cm정도 내려가게 누른다.
4)혼자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2회 구강 대 구강 호흡법을 할 때, 15회 심장마사지를 하는 비율로 실시한다.
5)두 사람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는 한 사람은 구강 대 구강 호흡법만 하고, 다른 한 사람은 심장마사지만 받는다. 그 비율은 호흡 1회하고, 심장마사지 5회하는 식으로 실시한다.
*주의사항
1)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는 실시자가 흥분하여 심장마사지의 속도가 매우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되면 심장에 피가 채고이기도 전에 짜내는 결과가 되어 효과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적정속도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2)적정속도를 지키기 위해서 리듬에 맞추어 소리를 내어 하-나,두-울,세-엣,네-엣,다-섯 등의 구령을 하면 조금 용이하게 적정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의 응급치료
1.기도폐쇄의 구분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는 부분폐쇄와 완전폐쇄로 나눌수 있다. 기도가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환자에서는 일단 환자의 환기상태를 평가한다. 환자가 의식이 있고 말을 할 수 있거나 기침을 하면 기도가 부분폐쇄되어 있으며 비교적 환기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의식이 없거나 발성이나 기침이 불가능한 경우, 청색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도가 완전폐쇄되어 있거나 환기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표 1).
기도폐쇄가 의심되는 환자를 발견하면 즉시 응급의료체계에 구조를 요청한다. 환기상태가 양호하고 의식이 있는 환자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계속 기침을 하도록 유도한다. 지속적인 기침후에도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거나 발성이 불가능해지는 경우, 청색증이 발생 하는 경우, 의식이 혼미해지는 경우에는 완전폐쇄로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환기 상태가 나쁜 부분폐쇄 환자는 완전폐쇄 환자와 같은 방법으로 응급조치를 한다.
표 1. 기도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환기상태의 판단
환기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경우
의식이 있는 환자
발성이나 기침이 가능한 환자
천명음이 들리는 환자
청색증이 관찰되지 않는 환자
환기상태가 불량한 경우
의식이 없거나 혼미해지는 환자
청색증이 관찰되는 환자
발성이나 기침이 불가능한 환자
2. 기도폐쇄환자에서의 응급조치 방법
<구강내 이물의 제거>
이물질이 구강내에 위치하여 기도가 폐쇄된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로서 환자의 구강내에 구조자의 손가락을 넣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finger sweep)이 있다. 이 방법은 의식이 없는 환자에서 기도폐쇄가 의심될 때 최초로 시행되어야 한다. 손가락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때는 구조자의 검지를 환자의 구강 가장자리를 통하여 구강내 깊숙히 넣은후 환자의 구강을 훑어내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 때 구강내 이물질이 기도의 더 깊은 곳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따라서 구강내에 이물질이 있지만 손가락 끝에 만져지는 이물질을 손가락으로 꺼내려 하면 이물질이 밀려들어가 기도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환자가 의식이 있을 때는 절대로 손가락으로 이물질을 제거해서는 안된다. 훈련된 의료인인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보조기구(Kelly clamp 또는 Magill forceps)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임리히법>
이물질이 구강보다 깊은 곳에 위치하여 기도가 완전히 폐쇄된 환자에서 기도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추천되는 방법은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이다.
하임리히법은 환자의 검상돌기 직하부에 한 손을 주먹 쥔채로 대고 다른 한손으로 그 위를 잡은 후, 후상방으로 복부를 강하게 압박하는 방법이다. 하임리히법은 환자를 눠히거나 앉힌 상태에서도 할 수 있다. 임산부나 비만으로 인하여 하임리히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의 흉부압박과 같이 흉골의 중앙부를 압박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소아에서는 환아를 거꾸로 들고 등을 두드리는 방법이 도움이 된다.
3. 기도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의 응급조치 순서
환자가 의식이 없으면 구조를 요청한 후 두부후굴-하악거상법으로 기도를 유지한다. 호흡을 확인하고, 호흡이 없으면 인공호흡을 2회 시도하여 기도폐쇄여부를 확인한다. 인공호흡이 불가능하면 기도 유지 조작을 다시 한번 정확히 시행한 후, 다시 인공호흡을 2회 시도한다. 인공호흡이 계속 불가능하면 기도가 폐쇄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손가락으로 구강내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인공호흡을 시도한다. 계속 인공호흡이 불가능하면 하임리히법을 4-5회 시행하고 손가락으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인공호흡을 재시도한다. 기도가 계속 폐쇄되어 있으며 하임리히법, 손가락 이물제거, 인공호흡을 반복하여 시도한다. 의식이 있으면 기침을 유도하면서 환기상태를 관찰한다. 환자의 환기상태가 나빠지면 즉시 하임리히법을 시행한다. 환자가 의식을 잃으면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는 순서에 따라 응급조치를 한다.
4)구강 대 구강 호흡법은 환자 자신이 완전히 정상적으로 숨을 쉴 때까지, 혹은 전문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계속되어야 한다.
*주의사항
1)숨을 불어 넣는 중에는 가슴이 오르락 내리락 하지 않으면 이는 숨구멍이 막혀 있다는 증거이다. 이때는 환자의 아래턱을 앞으로 당겨서 다시 시도하여야 한다.
2)환자가 입을 다쳐서 입을 통한 인공호흡이 어려운 경우에는 환자의 목을 받치고 있던 손을 떼어서 환자의 입을 막고, 환자의 코를 통해서 숨을 불어 넣어 주며, 숨을 불어 넣은 후에는 입을 막은 손을 떼어서 공기가 밖으로 나오도록 한다. 이 동작을 1분에 12회 반복한다
3)유아나 영아인 경우에는 머리를 어른에서와 같이 심하게 뒤로 젖히지 말아야 하며, 코와 입을 동시에 사용해서 1분에 20회 정도의 속도로 공기를 불어 넣어 준다.
7.심장마사지(Cardias Massage)
1)환자의 경동맥을 짚어서 맥박이 없을 경우에는 구강 대 구강 호흡법과 더불어 심장마사지를 한다.
2)환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히고, 시술자의 상체를 세우고, 무릎을 꿇은 자세로 환자의 가슴뼈 아랫부분을 손바닥의 손관절 부분을 이용하여 누른다.
3)누를때는 상체의 체중을 실어서 눌리는 부위가 약 5cm정도 내려가게 누른다.
4)혼자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2회 구강 대 구강 호흡법을 할 때, 15회 심장마사지를 하는 비율로 실시한다.
5)두 사람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는 한 사람은 구강 대 구강 호흡법만 하고, 다른 한 사람은 심장마사지만 받는다. 그 비율은 호흡 1회하고, 심장마사지 5회하는 식으로 실시한다.
*주의사항
1)심폐소생술을 실시할 때는 실시자가 흥분하여 심장마사지의 속도가 매우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되면 심장에 피가 채고이기도 전에 짜내는 결과가 되어 효과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적정속도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2)적정속도를 지키기 위해서 리듬에 맞추어 소리를 내어 하-나,두-울,세-엣,네-엣,다-섯 등의 구령을 하면 조금 용이하게 적정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의 응급치료
1.기도폐쇄의 구분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는 부분폐쇄와 완전폐쇄로 나눌수 있다. 기도가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환자에서는 일단 환자의 환기상태를 평가한다. 환자가 의식이 있고 말을 할 수 있거나 기침을 하면 기도가 부분폐쇄되어 있으며 비교적 환기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의식이 없거나 발성이나 기침이 불가능한 경우, 청색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도가 완전폐쇄되어 있거나 환기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표 1).
기도폐쇄가 의심되는 환자를 발견하면 즉시 응급의료체계에 구조를 요청한다. 환기상태가 양호하고 의식이 있는 환자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계속 기침을 하도록 유도한다. 지속적인 기침후에도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거나 발성이 불가능해지는 경우, 청색증이 발생 하는 경우, 의식이 혼미해지는 경우에는 완전폐쇄로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환기 상태가 나쁜 부분폐쇄 환자는 완전폐쇄 환자와 같은 방법으로 응급조치를 한다.
표 1. 기도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환기상태의 판단
환기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경우
의식이 있는 환자
발성이나 기침이 가능한 환자
천명음이 들리는 환자
청색증이 관찰되지 않는 환자
환기상태가 불량한 경우
의식이 없거나 혼미해지는 환자
청색증이 관찰되는 환자
발성이나 기침이 불가능한 환자
2. 기도폐쇄환자에서의 응급조치 방법
<구강내 이물의 제거>
이물질이 구강내에 위치하여 기도가 폐쇄된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로서 환자의 구강내에 구조자의 손가락을 넣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finger sweep)이 있다. 이 방법은 의식이 없는 환자에서 기도폐쇄가 의심될 때 최초로 시행되어야 한다. 손가락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때는 구조자의 검지를 환자의 구강 가장자리를 통하여 구강내 깊숙히 넣은후 환자의 구강을 훑어내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 때 구강내 이물질이 기도의 더 깊은 곳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따라서 구강내에 이물질이 있지만 손가락 끝에 만져지는 이물질을 손가락으로 꺼내려 하면 이물질이 밀려들어가 기도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환자가 의식이 있을 때는 절대로 손가락으로 이물질을 제거해서는 안된다. 훈련된 의료인인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보조기구(Kelly clamp 또는 Magill forceps)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임리히법>
이물질이 구강보다 깊은 곳에 위치하여 기도가 완전히 폐쇄된 환자에서 기도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추천되는 방법은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이다.
하임리히법은 환자의 검상돌기 직하부에 한 손을 주먹 쥔채로 대고 다른 한손으로 그 위를 잡은 후, 후상방으로 복부를 강하게 압박하는 방법이다. 하임리히법은 환자를 눠히거나 앉힌 상태에서도 할 수 있다. 임산부나 비만으로 인하여 하임리히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의 흉부압박과 같이 흉골의 중앙부를 압박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소아에서는 환아를 거꾸로 들고 등을 두드리는 방법이 도움이 된다.
3. 기도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의 응급조치 순서
환자가 의식이 없으면 구조를 요청한 후 두부후굴-하악거상법으로 기도를 유지한다. 호흡을 확인하고, 호흡이 없으면 인공호흡을 2회 시도하여 기도폐쇄여부를 확인한다. 인공호흡이 불가능하면 기도 유지 조작을 다시 한번 정확히 시행한 후, 다시 인공호흡을 2회 시도한다. 인공호흡이 계속 불가능하면 기도가 폐쇄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손가락으로 구강내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인공호흡을 시도한다. 계속 인공호흡이 불가능하면 하임리히법을 4-5회 시행하고 손가락으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인공호흡을 재시도한다. 기도가 계속 폐쇄되어 있으며 하임리히법, 손가락 이물제거, 인공호흡을 반복하여 시도한다. 의식이 있으면 기침을 유도하면서 환기상태를 관찰한다. 환자의 환기상태가 나빠지면 즉시 하임리히법을 시행한다. 환자가 의식을 잃으면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는 순서에 따라 응급조치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