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약물 오․남용의 정의
2. 약물 오․남용의 원인
3. 약물 오․남용의 동기 유형
4. 약물 오․남용의 실태
(1) 약물 오․남용의 실태
(2) 약물 법규 제정 년도
5. 약물 오․남용의 문제점
6. 청소년의 약물 오․남용
(1) 청소년의 약물 오․남용 실태
(2) 청소년기가 약물 오․남용이나 의존에 취약한 이유와 동기
(3) 청소년의 약물 오․남용의 동기를 7가지 유형
(4) 청소년 약물 오․남용의 문제점
7. 약물 오․남용의 예방
8. 약물 오․남용의 사회복지학적 대책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약물 오․남용의 정의
2. 약물 오․남용의 원인
3. 약물 오․남용의 동기 유형
4. 약물 오․남용의 실태
(1) 약물 오․남용의 실태
(2) 약물 법규 제정 년도
5. 약물 오․남용의 문제점
6. 청소년의 약물 오․남용
(1) 청소년의 약물 오․남용 실태
(2) 청소년기가 약물 오․남용이나 의존에 취약한 이유와 동기
(3) 청소년의 약물 오․남용의 동기를 7가지 유형
(4) 청소년 약물 오․남용의 문제점
7. 약물 오․남용의 예방
8. 약물 오․남용의 사회복지학적 대책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든 종교 단체가 약물남용의 심각성을인식하고 예방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홍보를 활성화하도록 한다
③ 교사 교육
청소년은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므로 양호교사와 상담교사를 비롯한 교사들을 교육시켜 현장에서 탄력적으로 예방교육을 할 수 있게 한다.
④ 공무원 교육
모든 공무원이 직무 교육 과정에 마약 및 약물 남용의 예방과목을 신설 이수하도록 하여 일선에서 청소년을 지도하도록 한다.
⑤ TV를 통한 홍보
청소년들의 행동 양식이 TV에 의해 좌우되는 현실이므로 TV방송사는 건전하고 유익한 청소년 프로그램을 방영하여야 한다.
현재 담배에 대해서는 일부 방송에서 피해에 대하여 방송하고 있다. 다른 남용성 약물에 대해서도 역시 폐해 등을 홍보하여 약물남용을 예방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하도록 한다.(모방범죄의 기능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계몽, 보도)
⑥ 시청각 교육용 프로그램의 제작, 보급
시청각 교육용 비디오를 제작하여 각급 학교에 배포하고 이를 이용한 예방 교육을 하도록 한다.
⑦ 계몽 포스터 및 홍보용 팜플렛의 제작, 배포
포스터 및 팜플렛을 제작하여 청소년들의 출입이 예상되는 유흥업소, 오락실, 숙박업소, 각급 교육기관, 대마초 재배 지역 등에 배포, 부착한다.
⑧ 마약류의 제조 사범 엄벌
마약류의 제조, 밀매 등의 사범을 엄벌한다.
2)장기 대책
① 정규 교과목 신설
현재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일부 과목에 약물남용에 대한 내용이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교과과정에 약물 남용에 대한 정규 교과목을 신설하여 교육을 하도록 한다.
② 전문가 양성
장기적인 마약 퇴치와 약물 남용에 대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보건 의료 분야의 대학과 보건 대학원에 마약 및 약물 남용 방지를 위한 전공 학과를 신설 운영한다.
③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에 약물남용 예방을 위한 교과목 신설
초중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 사범대학 등의 교직 과정에 마약을 포함한 약물남용 예방을 위한 과목을 신설, 이수토록 하여 이들이 일선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때 약물남용 예방 교육을 하도록 한다.
④ 대학에 마약과 약물의 오남용 예방을 위한 교과목 신설
각 대학의 교양과목으로 마약과 약물 남용에 대한 과목을 신설, 교육하여 이들이 약물남용의 예방 교육에 일조를 하도록 한다.
⑤ 기금의 조성
마약 및 약물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한정된 예산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 차원의 기금을 조성하여 전문 인력 양성, 홍보자료 개발, 외국과의 정보교류를 하도록 한다.
⑥ 입시 제도의 개선
교과서 중심의 지식 편중 교육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학교교육을 정상화한다. 또 청소년들이 입시의 강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형태로 입시 제도를 개선 또는 개정한다.
⑦ 청소년을 위한 시설 확충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청소년이 건전하게 여가를 보낼 수 있는 시설을 확충, 보완하도록 한다.
⑧ 유해 환경 추방
청소년에게 유해한 술, 담배, 본드, 부탄가스 등을 판매하는 업주들은 “돈만 벌면 된다”는 사고방식과 “내가 안 판다고 해결되나”라는 소극적인 생각을 버리고 청소년들의 미래가 자기들의 손데 달려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하며 자기 자녀도 결코 약물남용의 예외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한다. 아울러 기성세대들이 청소년 유해 환경을 추방하자는 사회 분위기와 국민적 공감대를 지속적으로 이루며 나가도록 해야 한다.
Ⅲ. 결론
약은 질병을 예방하고 진단하며 치료하기 위하여 제조된 것이다. 그러나 약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고 비의학적, 불법적으로 남용됨으로써 개인은 물론 사회에 해를 끼쳐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는 약물 오남용의 문제가 어른들의 문제만이 아니라 점차적으로 연령대가 줄어들면서 현재는 청소년들의 약물 오남용 문제가 어른들의 문제보다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약물의 오남용 문제는 어떤 개인이나 어느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이며 국가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 모두가 주체가 되어 약물의 오남용으로부터 가족과 이웃의 행복을 지키고 약물의 오남용이 없는 밝은 사회 건설을 위해 노력해야 하겠다.
우리 조의 발표로 인해 학우 여러분들이 약물 오남용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미래 사회복지사로서 위의 사회문제들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1. 신태웅 약물, 오남용, 신일상사, 2004년 5월 30일, pp.118~122, pp.139~141, pp.144~149
2. 원사덕이현경, 약물남용 예방론, 계축문화사, 2004년 8월 30일, pp.14~15, pp.55~60, pp.73~74
*Internet Cite*
1. http://blog.naver.com/kimch2222.do?Redirect=Log&logNo=140004877952
2. http://blog.naver.com/ghghgh06/80008080520
3. http://bokjimi.co.kr
4. cafe.naver.com/nosmokingnodrug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7
5. http://education.sangji.ac.kr/%7Ejbsong/gangi/daehag/munje/2004/001.htm
6. http://godislove.net/wwwb/data/jesus069106/%BE%E0%B9%B0%C0%CC%B6%F5.htm
*참고 하세요^^*
약물의 종류
날짜
투여방법
남용효과
아편
경구, 주사
도취감, 신체 조정력 상실, 사망
모르핀
경구, 주사
헤로인
경구, 주사
코카인
주사, 코 흡입
흥분, 정신혼동, 사망
메사돈
주사
도취감, 신체 조정력 상실, 사망
염산페치닌
경구, 주사
히로뽕
경구, 주사, 코 흡입
환시, 환청, 환촉, 피해망상, 사망
바르비탈류
경구, 주사
취한 행동, 뇌 손상, 호흡기 장애, 감각상실 등
벤조디아핀류
경구, 주사
취한 행동, 뇌 손상, 호흡기 장애, 감각상실 등
LSD
경구, 주사
환각, 환청, 환시
대마
경구, 흡연
도취감, 약한 환각
③ 교사 교육
청소년은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므로 양호교사와 상담교사를 비롯한 교사들을 교육시켜 현장에서 탄력적으로 예방교육을 할 수 있게 한다.
④ 공무원 교육
모든 공무원이 직무 교육 과정에 마약 및 약물 남용의 예방과목을 신설 이수하도록 하여 일선에서 청소년을 지도하도록 한다.
⑤ TV를 통한 홍보
청소년들의 행동 양식이 TV에 의해 좌우되는 현실이므로 TV방송사는 건전하고 유익한 청소년 프로그램을 방영하여야 한다.
현재 담배에 대해서는 일부 방송에서 피해에 대하여 방송하고 있다. 다른 남용성 약물에 대해서도 역시 폐해 등을 홍보하여 약물남용을 예방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하도록 한다.(모방범죄의 기능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계몽, 보도)
⑥ 시청각 교육용 프로그램의 제작, 보급
시청각 교육용 비디오를 제작하여 각급 학교에 배포하고 이를 이용한 예방 교육을 하도록 한다.
⑦ 계몽 포스터 및 홍보용 팜플렛의 제작, 배포
포스터 및 팜플렛을 제작하여 청소년들의 출입이 예상되는 유흥업소, 오락실, 숙박업소, 각급 교육기관, 대마초 재배 지역 등에 배포, 부착한다.
⑧ 마약류의 제조 사범 엄벌
마약류의 제조, 밀매 등의 사범을 엄벌한다.
2)장기 대책
① 정규 교과목 신설
현재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일부 과목에 약물남용에 대한 내용이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교과과정에 약물 남용에 대한 정규 교과목을 신설하여 교육을 하도록 한다.
② 전문가 양성
장기적인 마약 퇴치와 약물 남용에 대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보건 의료 분야의 대학과 보건 대학원에 마약 및 약물 남용 방지를 위한 전공 학과를 신설 운영한다.
③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에 약물남용 예방을 위한 교과목 신설
초중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 사범대학 등의 교직 과정에 마약을 포함한 약물남용 예방을 위한 과목을 신설, 이수토록 하여 이들이 일선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때 약물남용 예방 교육을 하도록 한다.
④ 대학에 마약과 약물의 오남용 예방을 위한 교과목 신설
각 대학의 교양과목으로 마약과 약물 남용에 대한 과목을 신설, 교육하여 이들이 약물남용의 예방 교육에 일조를 하도록 한다.
⑤ 기금의 조성
마약 및 약물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한정된 예산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 차원의 기금을 조성하여 전문 인력 양성, 홍보자료 개발, 외국과의 정보교류를 하도록 한다.
⑥ 입시 제도의 개선
교과서 중심의 지식 편중 교육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학교교육을 정상화한다. 또 청소년들이 입시의 강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형태로 입시 제도를 개선 또는 개정한다.
⑦ 청소년을 위한 시설 확충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청소년이 건전하게 여가를 보낼 수 있는 시설을 확충, 보완하도록 한다.
⑧ 유해 환경 추방
청소년에게 유해한 술, 담배, 본드, 부탄가스 등을 판매하는 업주들은 “돈만 벌면 된다”는 사고방식과 “내가 안 판다고 해결되나”라는 소극적인 생각을 버리고 청소년들의 미래가 자기들의 손데 달려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하며 자기 자녀도 결코 약물남용의 예외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한다. 아울러 기성세대들이 청소년 유해 환경을 추방하자는 사회 분위기와 국민적 공감대를 지속적으로 이루며 나가도록 해야 한다.
Ⅲ. 결론
약은 질병을 예방하고 진단하며 치료하기 위하여 제조된 것이다. 그러나 약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고 비의학적, 불법적으로 남용됨으로써 개인은 물론 사회에 해를 끼쳐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는 약물 오남용의 문제가 어른들의 문제만이 아니라 점차적으로 연령대가 줄어들면서 현재는 청소년들의 약물 오남용 문제가 어른들의 문제보다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약물의 오남용 문제는 어떤 개인이나 어느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이며 국가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 모두가 주체가 되어 약물의 오남용으로부터 가족과 이웃의 행복을 지키고 약물의 오남용이 없는 밝은 사회 건설을 위해 노력해야 하겠다.
우리 조의 발표로 인해 학우 여러분들이 약물 오남용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미래 사회복지사로서 위의 사회문제들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1. 신태웅 약물, 오남용, 신일상사, 2004년 5월 30일, pp.118~122, pp.139~141, pp.144~149
2. 원사덕이현경, 약물남용 예방론, 계축문화사, 2004년 8월 30일, pp.14~15, pp.55~60, pp.73~74
*Internet Cite*
1. http://blog.naver.com/kimch2222.do?Redirect=Log&logNo=140004877952
2. http://blog.naver.com/ghghgh06/80008080520
3. http://bokjimi.co.kr
4. cafe.naver.com/nosmokingnodrug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7
5. http://education.sangji.ac.kr/%7Ejbsong/gangi/daehag/munje/2004/001.htm
6. http://godislove.net/wwwb/data/jesus069106/%BE%E0%B9%B0%C0%CC%B6%F5.htm
*참고 하세요^^*
약물의 종류
날짜
투여방법
남용효과
아편
경구, 주사
도취감, 신체 조정력 상실, 사망
모르핀
경구, 주사
헤로인
경구, 주사
코카인
주사, 코 흡입
흥분, 정신혼동, 사망
메사돈
주사
도취감, 신체 조정력 상실, 사망
염산페치닌
경구, 주사
히로뽕
경구, 주사, 코 흡입
환시, 환청, 환촉, 피해망상, 사망
바르비탈류
경구, 주사
취한 행동, 뇌 손상, 호흡기 장애, 감각상실 등
벤조디아핀류
경구, 주사
취한 행동, 뇌 손상, 호흡기 장애, 감각상실 등
LSD
경구, 주사
환각, 환청, 환시
대마
경구, 흡연
도취감, 약한 환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