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행동주의 태동의 배경
2.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3.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
4. 행동수정 사례 및 분석
2.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3.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
4. 행동수정 사례 및 분석
본문내용
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과 원하지 않는 행동을 무시하는 방법을 처방해 주었으나 별로 실효를 거두지 못해서 두 번째 방법으로 좋은 행동에는 강화를 나쁜 행동에는 타임아웃 (나쁜 행동을 하면 5분 동안 격리)을 사용했다. 이 처방은 테디의 행동을 놀라울 정도로 향상시켰고 3개월간 계속된 처방 프로그램도 종결하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어머니는 아이를 통제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고, 그 후 테디에게 그러한 방법을 계속 하였으며, 누나인 마르타도 ‘강화’를 사용하여 좋은 행동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즉, 타인의 행동을 변화시키기를 원한다면 먼저 우리 자신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점을 테디의 사례에서 알 수 있다.
◎ 행동 수정에 사용된 처방 프로그램
첫 번째
어머니가 원하는 행동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과 원하지 않는 행동을 무시하는 방법(좋은 행동에만 관심을 보이고 나쁜 행동에는 무관심)
실효를 거두지 못함
두 번째
좋은 행동에는 강화를 나쁜 행동에는 타임아웃 (나쁜 행동을 하면 5분 동안 격리)을 사용
효과적임
① 현재의 행동과 원하는 행동이 관찰 가능하고 측정될 수 있도록 구체화되어야 한다.
② 효과적인 강화제를 찾아야 한다.
③ 필요한 치료 계획을 세운다.
④ 치료 전과 기간 중에 행동을 측정한다.(행동의 빈도나 비율 등)
⑤ 치료의 효율성을 점검한다.
2) 사례 해석
연습의 법칙
→
좋지 않은 행동들이 여러 해 동안 계속 허용 되어 학습된 점
↓
조작적 조건 형성
→
좋은 행동과 나쁜 행동 모두에 관심을 보이는 강화를 제공한 점
↓
변별
→
테디와 어머니에게 좋은 행동과 좋지 못한 행동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침(좋은 행동에 관심과 칭찬을 하고 나쁜 행동에는 타임아웃을 적용)
↓
일반화
→
테디의 어머니가 아이 다루는 방법을 일반화 하여 누나인 마르타의 행동도 좋게 변화시킴
3) 체계적 둔감화 기법에 의한 치료의 예
Wolpe의 상호제지이론에서 발전된 상담 기법으로, 불안이나 공포 같은 신경증적 행동도 이를 제지할 수 있는 다른 행동 (즐거운 상상, 행동 등)과 조건화됨으로써 치료 소멸될 수 있다는 것이다.
체계적 둔감화는 불안이나 공포를 야기하는 사물 또는 현장을 한번에 직접 대면하여 극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약한 것부터 강한 것까지 점진적으로 겪으면서 극복하게 한다.
① 먼저 내담자에게 공포나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을 분석하여 불안 위계목록을 작성한다.
② 근육 이완 훈련을 시키고 난 후 이완상태에 도달하면 불안 위계목록 중 가장 약한 것을 연상시킨다.
③ 내담자가 불안을 느끼지 않을 때까지 이완 훈련을 계속한다.
④ 전체적으로 불안 위계 목록의 약한 자극에 불안을 느끼지 않을 때까지 이완훈련을 계속한 후 다음 목록으로 이동함으로써 불안감이 치료된다.
그밖에도 조건화를 이용한 사례로 혐오치료와 프로그램학습, 완전학습을 들 수 있다.
☞ 이러한 행동주의는 너무 기계적이고 인간을 수동적인 존재로 간주하고 있으며 행동에 있어서 조건화로는 설명되지 않는 많은 현상들로 인해 다음의 사회인지 이론이 대두하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어머니는 아이를 통제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고, 그 후 테디에게 그러한 방법을 계속 하였으며, 누나인 마르타도 ‘강화’를 사용하여 좋은 행동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즉, 타인의 행동을 변화시키기를 원한다면 먼저 우리 자신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점을 테디의 사례에서 알 수 있다.
◎ 행동 수정에 사용된 처방 프로그램
첫 번째
어머니가 원하는 행동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과 원하지 않는 행동을 무시하는 방법(좋은 행동에만 관심을 보이고 나쁜 행동에는 무관심)
실효를 거두지 못함
두 번째
좋은 행동에는 강화를 나쁜 행동에는 타임아웃 (나쁜 행동을 하면 5분 동안 격리)을 사용
효과적임
① 현재의 행동과 원하는 행동이 관찰 가능하고 측정될 수 있도록 구체화되어야 한다.
② 효과적인 강화제를 찾아야 한다.
③ 필요한 치료 계획을 세운다.
④ 치료 전과 기간 중에 행동을 측정한다.(행동의 빈도나 비율 등)
⑤ 치료의 효율성을 점검한다.
2) 사례 해석
연습의 법칙
→
좋지 않은 행동들이 여러 해 동안 계속 허용 되어 학습된 점
↓
조작적 조건 형성
→
좋은 행동과 나쁜 행동 모두에 관심을 보이는 강화를 제공한 점
↓
변별
→
테디와 어머니에게 좋은 행동과 좋지 못한 행동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침(좋은 행동에 관심과 칭찬을 하고 나쁜 행동에는 타임아웃을 적용)
↓
일반화
→
테디의 어머니가 아이 다루는 방법을 일반화 하여 누나인 마르타의 행동도 좋게 변화시킴
3) 체계적 둔감화 기법에 의한 치료의 예
Wolpe의 상호제지이론에서 발전된 상담 기법으로, 불안이나 공포 같은 신경증적 행동도 이를 제지할 수 있는 다른 행동 (즐거운 상상, 행동 등)과 조건화됨으로써 치료 소멸될 수 있다는 것이다.
체계적 둔감화는 불안이나 공포를 야기하는 사물 또는 현장을 한번에 직접 대면하여 극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약한 것부터 강한 것까지 점진적으로 겪으면서 극복하게 한다.
① 먼저 내담자에게 공포나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을 분석하여 불안 위계목록을 작성한다.
② 근육 이완 훈련을 시키고 난 후 이완상태에 도달하면 불안 위계목록 중 가장 약한 것을 연상시킨다.
③ 내담자가 불안을 느끼지 않을 때까지 이완 훈련을 계속한다.
④ 전체적으로 불안 위계 목록의 약한 자극에 불안을 느끼지 않을 때까지 이완훈련을 계속한 후 다음 목록으로 이동함으로써 불안감이 치료된다.
그밖에도 조건화를 이용한 사례로 혐오치료와 프로그램학습, 완전학습을 들 수 있다.
☞ 이러한 행동주의는 너무 기계적이고 인간을 수동적인 존재로 간주하고 있으며 행동에 있어서 조건화로는 설명되지 않는 많은 현상들로 인해 다음의 사회인지 이론이 대두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1.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시오_매슬로우동기위계설, 욕구5단계이론 2.에릭슨의 ...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아동 청소년 상담 정신분석 이론] 프로이트의 기본이론, 주요개념, 지각의 수준과 성격의 구...
교육심리학4공통)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am...
교육심리학4]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에...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공통)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다중지...
교육敎育심리학4공통)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에릭슨의 성격발달8...
[교육敎育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에릭...
[교육심리학]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에...
[교육심리학]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에...
심리학입문)1) 성격 이론을 하나 이상 인용하고, 2) 그 이론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연구결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