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여자의 인생에 대한 연구
2. 인생주기 : 시대와 발달시기
3. 여자의 인생에서 성(性)의 의미
4, 청소년 인생 구조 : 가정 주부
5. 성인 초기 전환기 : 가정 주부
6. 성인 초기의 입문 인생 구조
7. 30대 전환기
8. 성인 초기의 절정 인생 구조
9. 중년의 전환기
2. 인생주기 : 시대와 발달시기
3. 여자의 인생에서 성(性)의 의미
4, 청소년 인생 구조 : 가정 주부
5. 성인 초기 전환기 : 가정 주부
6. 성인 초기의 입문 인생 구조
7. 30대 전환기
8. 성인 초기의 절정 인생 구조
9. 중년의 전환기
본문내용
은 삶의 근거지이고, 직업은 삶의 재미와 자극의 주요원천이다.
② 유형B : 가정을 삶의 핵심에 두고 있으나 가족에 대한 개입이 줄어든 기혼여성
- 웬디 루이스, 클레어 버맨, 엘레인 올슨, 캐이 라이언
- 가정을 유일한 중심요소로 삼고 있었으나 거기에 덜 헌신적이며, 외부 활동에 더 많이 개입했다.
- 직업은 가정을 벗어날 수 있는 합법적 수단이었으며 즐거움을 주는 활동일 뿐만 아니라 ‘실제의 성인세계’와 공적인 사건들을 접하고 유능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었다.
③ 유형C : 법적으로 또는 심리적으로 이혼한 여성
- 법적으로 이혼한 상태 : 베스로건, 사라쿠싱, 루스앨런
- 심리적으로 이혼한 상태 : 캐롤 오브라이언, 낸 크람멜, 에밀리 스위프트, 앤젤라 캐펄리, 린 맥페일
- 남편은 전통적인 결혼 기획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 여자들은 제각기 일차적으로는 가정주부로서의 생활을 유지하면서 한편으로는 더 큰 사회로 진출하기 위해 고투하였으나 갈등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 어려움은 내면의 전통적 가정주부 형상의 위력에서도 기인했지만, 우리 문화와 제도의 압력에서도 유래했다.
9. 중년의 전환기
-40에서 45세의 시대를 가리키며 성인 초기에서 중기로 시대를 전환 -> 30대의 절정 인생 구조를 끝내고 새로운 시대의 입문 인생 구조를 위한 기반을 형성. 전통적인 결혼 기획에서 새로운 형태의 결혼 생활이나 독신생활로 이동.
* 전통적인 결혼 기획의 성인 초기 형태를 끝맺음
- 보살핀다는 것에서부터 보다 자유로워지고 싶어함 -> 무한정 보살펴주고 끊임없이 다른 사람들에게 책임감을 느끼고 자기를 희생하는 것에 대한 의무감을 떨쳐버리고 싶어함
- 참다운 자기 자신이 되어서, 스스로 선택하고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것을 추구할 수 있는 권리를 원함
- 가정주부로서의 사명은 대체로 완료되었으며 짐이 덜어지고 큰 혜택이 있는 보다 자유로운 삶을 시작할 권리가 있다고 느끼지만 그에 대한 보상이 없어 침체에 빠짐
- 많은 가정 주부들이 실망감, 씁쓸함, 후회, 환멸 느낌
* 어머니 역할
- “빈 둥지 시기” : 첫 자녀가 집을 떠나기 전에 시작 ~ 마지막 자녀가 떠난 후
- 더 이상 돌볼 자녀가 없다는 상실감과 성인 생활의 토대인 주부 역할을 잃어 버렸다는 상실감 / 또는 자녀들이 성인이 될 나이가 지났음에도 계속해서 도움을 요청하는 것 때문에 지나치게 부담감을 느낌
- 점점 커지고 있는 해방감 -> 양육과 가사에 대한 책임이 감소함에 따라 개인적 흥미 추구할 자유를 느낌
- 어머니 역할에 대한 복합적이고 갈등적인 감정 : 자유롭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버려진 듯한 느낌, 슬픔, 의존성, 분노, 죄책감에 고통을 당했으며 또 한편으로는 안도감을 느끼고 자녀들이 떠나가는 것을 환영하고 재촉하기도 함
* 결혼
- 대부분 한정적이고 고통스럽기는 하나 가정주부로서의 삶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주는 결혼 생활을 중심으로 절정 인생 구조를 형성, 40대 초반에 결혼 생활에서 오는 문제들을 참아 내기가 힘들어짐
- 자기 마음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소망이나 태도가 무엇인지 자신도 뚜렷이 분별할 수가 없었을 뿐 아니라 남편과도 쉽게 의사소통 할 수 없었음
결혼 생활을 장기간 “원만하게” 이끌어 나간 여성들 (래이라이언과 제니아바텔로)
- 똑같은 배우자와 결혼 생활을 새롭게 - 새로운 관계와 새로운 기획을 - 재형성
- 두 여성 모두 결혼 생활을 약간 개선시키기를 원했으나 중요한 변화는 아무 것도 없음
중년의 전환기 동안 심리적으로 이혼한 여성들 (노라코울, 에밀리스위프트, 앤젤라카펠리)
- 더 이상 결혼 생활의 동반자라는 느낌 없음. 경제적으로 더욱 독립적이 되었으며, 개인적인 관계나 가정적인 책임, 사교 생활에 남편이 어떻게 하든 개의치 않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혼을 못한 이유는 이혼을 하면 자녀들에게 극심한 경제적인 역경을 초래할 것이 분명했기 때문에, 그리고 자신이 고립되고 취약해져서 지역 사회에서 소외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중년의 전환기 또는 그 직전에 이혼한 여성들
- 캐롤오브라이언 : 직업을 가진 독신 어머니로
- 린맥페일 : 재혼을 해서 두 번째 결혼/가족을 형성하기 시작
- 낸크람멜 : 직업적 경력을 시작하기 위해 학교로 돌아감
* 직업
직업 세계의 상급자가 되어서 직업을 삶의 중심부에 두려는 여성
- 30대에 노라코울과 제니아바텔로는 정규적으로 직장에 나갔으며 직업에 점점 더 자신을 투여, 낸크람멜은 전업주부이긴 하나 불만족한 가정 주부였는데 40세에 대학으로 돌아가
서 학위를 취득하기로 결심
- 그들은 자녀 돌보는 일을 계속하고 있긴 했으나 어머니 역할은 점점 비중이 줄어들었음
- 직업 세계에 자신을 투자하고, 거기에서 더 많은 것을 받으며, 새로운 방법으로 참여하고자함
직업을 인생의 보다 의미 있는 위치에 두려는 여성
- 캐롤오브라이언은 40세에 법적으로 이혼하고 일하는 독신 어머니가 되었고 앤젤라카펠리와 에밀리스위프트는 결혼 생활 속에 남아 있었으나 가정 생활의 황량함을 직업 세계에서 보상받기를 바라며 더욱 일에 전념
- 수입이나 책임감, 개인적 보상이 더 나아질 전망이 거의 없는 하급 수준의 직업에서 막연한 미래를 위해 체념하고 일함
- 심리적 은퇴 : 계속해서 직업을 붙들고 있으나 최소한도로만 주고받으며 매우 소극적으로 임하는 경우
직업을 추구하지 않고 여가 활동을 넓히려는 여성들
- 캐이라이언 : 남편이 일찍 죽으며 충분한재산을 가진 고독한 과부가 되어 혼자 살아가는 50대를 상상, 여가 활동은 시간을 보내는데 도움 되었으나 자아감 형성에는 도움 X
- 린맥페일 : 노동자 계층 세계의 맥락에서 보다 근심 없는 생활하기를 원함. 막내가 고등 학교 졸업해서 집 떠나면 남편과 서로 더욱 더 즐길 수 있는 때가 오기를 기다림.
* 중년의 전환기를 끝맺음
- 어머니 역할은 인생 구조에서 차츰 그 중요성이 덜해졌고, 결혼 기획이라는 용어가 변하고 있었으며, 결혼 관계는 수정되지 않으면 안되게 됨.
- 자신을 위한 보다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중년기라는 새로운 시대에 여성들이 어떤 새로운 결혼 기획을 창조할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음.
② 유형B : 가정을 삶의 핵심에 두고 있으나 가족에 대한 개입이 줄어든 기혼여성
- 웬디 루이스, 클레어 버맨, 엘레인 올슨, 캐이 라이언
- 가정을 유일한 중심요소로 삼고 있었으나 거기에 덜 헌신적이며, 외부 활동에 더 많이 개입했다.
- 직업은 가정을 벗어날 수 있는 합법적 수단이었으며 즐거움을 주는 활동일 뿐만 아니라 ‘실제의 성인세계’와 공적인 사건들을 접하고 유능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었다.
③ 유형C : 법적으로 또는 심리적으로 이혼한 여성
- 법적으로 이혼한 상태 : 베스로건, 사라쿠싱, 루스앨런
- 심리적으로 이혼한 상태 : 캐롤 오브라이언, 낸 크람멜, 에밀리 스위프트, 앤젤라 캐펄리, 린 맥페일
- 남편은 전통적인 결혼 기획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 여자들은 제각기 일차적으로는 가정주부로서의 생활을 유지하면서 한편으로는 더 큰 사회로 진출하기 위해 고투하였으나 갈등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 어려움은 내면의 전통적 가정주부 형상의 위력에서도 기인했지만, 우리 문화와 제도의 압력에서도 유래했다.
9. 중년의 전환기
-40에서 45세의 시대를 가리키며 성인 초기에서 중기로 시대를 전환 -> 30대의 절정 인생 구조를 끝내고 새로운 시대의 입문 인생 구조를 위한 기반을 형성. 전통적인 결혼 기획에서 새로운 형태의 결혼 생활이나 독신생활로 이동.
* 전통적인 결혼 기획의 성인 초기 형태를 끝맺음
- 보살핀다는 것에서부터 보다 자유로워지고 싶어함 -> 무한정 보살펴주고 끊임없이 다른 사람들에게 책임감을 느끼고 자기를 희생하는 것에 대한 의무감을 떨쳐버리고 싶어함
- 참다운 자기 자신이 되어서, 스스로 선택하고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것을 추구할 수 있는 권리를 원함
- 가정주부로서의 사명은 대체로 완료되었으며 짐이 덜어지고 큰 혜택이 있는 보다 자유로운 삶을 시작할 권리가 있다고 느끼지만 그에 대한 보상이 없어 침체에 빠짐
- 많은 가정 주부들이 실망감, 씁쓸함, 후회, 환멸 느낌
* 어머니 역할
- “빈 둥지 시기” : 첫 자녀가 집을 떠나기 전에 시작 ~ 마지막 자녀가 떠난 후
- 더 이상 돌볼 자녀가 없다는 상실감과 성인 생활의 토대인 주부 역할을 잃어 버렸다는 상실감 / 또는 자녀들이 성인이 될 나이가 지났음에도 계속해서 도움을 요청하는 것 때문에 지나치게 부담감을 느낌
- 점점 커지고 있는 해방감 -> 양육과 가사에 대한 책임이 감소함에 따라 개인적 흥미 추구할 자유를 느낌
- 어머니 역할에 대한 복합적이고 갈등적인 감정 : 자유롭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버려진 듯한 느낌, 슬픔, 의존성, 분노, 죄책감에 고통을 당했으며 또 한편으로는 안도감을 느끼고 자녀들이 떠나가는 것을 환영하고 재촉하기도 함
* 결혼
- 대부분 한정적이고 고통스럽기는 하나 가정주부로서의 삶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주는 결혼 생활을 중심으로 절정 인생 구조를 형성, 40대 초반에 결혼 생활에서 오는 문제들을 참아 내기가 힘들어짐
- 자기 마음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소망이나 태도가 무엇인지 자신도 뚜렷이 분별할 수가 없었을 뿐 아니라 남편과도 쉽게 의사소통 할 수 없었음
결혼 생활을 장기간 “원만하게” 이끌어 나간 여성들 (래이라이언과 제니아바텔로)
- 똑같은 배우자와 결혼 생활을 새롭게 - 새로운 관계와 새로운 기획을 - 재형성
- 두 여성 모두 결혼 생활을 약간 개선시키기를 원했으나 중요한 변화는 아무 것도 없음
중년의 전환기 동안 심리적으로 이혼한 여성들 (노라코울, 에밀리스위프트, 앤젤라카펠리)
- 더 이상 결혼 생활의 동반자라는 느낌 없음. 경제적으로 더욱 독립적이 되었으며, 개인적인 관계나 가정적인 책임, 사교 생활에 남편이 어떻게 하든 개의치 않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혼을 못한 이유는 이혼을 하면 자녀들에게 극심한 경제적인 역경을 초래할 것이 분명했기 때문에, 그리고 자신이 고립되고 취약해져서 지역 사회에서 소외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중년의 전환기 또는 그 직전에 이혼한 여성들
- 캐롤오브라이언 : 직업을 가진 독신 어머니로
- 린맥페일 : 재혼을 해서 두 번째 결혼/가족을 형성하기 시작
- 낸크람멜 : 직업적 경력을 시작하기 위해 학교로 돌아감
* 직업
직업 세계의 상급자가 되어서 직업을 삶의 중심부에 두려는 여성
- 30대에 노라코울과 제니아바텔로는 정규적으로 직장에 나갔으며 직업에 점점 더 자신을 투여, 낸크람멜은 전업주부이긴 하나 불만족한 가정 주부였는데 40세에 대학으로 돌아가
서 학위를 취득하기로 결심
- 그들은 자녀 돌보는 일을 계속하고 있긴 했으나 어머니 역할은 점점 비중이 줄어들었음
- 직업 세계에 자신을 투자하고, 거기에서 더 많은 것을 받으며, 새로운 방법으로 참여하고자함
직업을 인생의 보다 의미 있는 위치에 두려는 여성
- 캐롤오브라이언은 40세에 법적으로 이혼하고 일하는 독신 어머니가 되었고 앤젤라카펠리와 에밀리스위프트는 결혼 생활 속에 남아 있었으나 가정 생활의 황량함을 직업 세계에서 보상받기를 바라며 더욱 일에 전념
- 수입이나 책임감, 개인적 보상이 더 나아질 전망이 거의 없는 하급 수준의 직업에서 막연한 미래를 위해 체념하고 일함
- 심리적 은퇴 : 계속해서 직업을 붙들고 있으나 최소한도로만 주고받으며 매우 소극적으로 임하는 경우
직업을 추구하지 않고 여가 활동을 넓히려는 여성들
- 캐이라이언 : 남편이 일찍 죽으며 충분한재산을 가진 고독한 과부가 되어 혼자 살아가는 50대를 상상, 여가 활동은 시간을 보내는데 도움 되었으나 자아감 형성에는 도움 X
- 린맥페일 : 노동자 계층 세계의 맥락에서 보다 근심 없는 생활하기를 원함. 막내가 고등 학교 졸업해서 집 떠나면 남편과 서로 더욱 더 즐길 수 있는 때가 오기를 기다림.
* 중년의 전환기를 끝맺음
- 어머니 역할은 인생 구조에서 차츰 그 중요성이 덜해졌고, 결혼 기획이라는 용어가 변하고 있었으며, 결혼 관계는 수정되지 않으면 안되게 됨.
- 자신을 위한 보다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중년기라는 새로운 시대에 여성들이 어떤 새로운 결혼 기획을 창조할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음.
키워드
추천자료
<여성학> 인생은 아름다워의 페미니즘적 비평
여성 범죄 수사 인력(심리 과학 수사)
섹스어필광고의 효과와 심리(남성용, 여성용 설문지 첨부)
중년기 여성의 위기
국제결혼현상과 여성이민자가 겪는 갈등과 문제점
남성적,여성적 역할구분이 되지않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성역할변화에 따른 개인의 정체감을 ...
[심리학A+] 대중매체에 묘사된 남성과 여성- 사진 속 얼굴과 몸의 비율을 중심으로 대중 매체...
남녀의 심리사회적인 특징과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
여성이 하는 많은 일들이 사회적으로 정당한 인정을 받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이며, 일하는 여...
여성이 하는 많은 일들이 사회적으로 정당한 인정을 받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이며, 일하는 여...
여성이 하는 많은 일들이 사회적으로 정당한 인정을 받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이며, 일하는 여...
2016년 2학기 성사랑사회 중간시험과제물 D형(일하는 여성들이 겪는 어려움, 경험과사례)
성,사랑,사회=한국사회에서 일하는 여성이 겪는 어려움 가운데 여성이라서 겪게 되는 일들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