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 부엌에서 쓰러진 준하
Ⅱ. 생활 속에서 찾아보는 과학의 중요성 : 준하와는 달랐던 그들
1. 과학과 일상 : 숲 속에서 길 잃은 해미의 지혜
2. 과학과 건강 : 육상 선수 유미의 부상 탈출기
3. 과학과 국가 : 민정이의 취미는 과거와의 대화
Ⅲ. 과학을 바라보는 우리의 태도 : 쓰러진 준하를 바라보며
1. 우리의 실태 : 준하는 왜 쓰러졌는가
2. 교육의 실태 : 준하는 사고를 피할 수 없었는가
3. 정부의 실태 : 준하 가족은 무엇을 하고 있었나
Ⅳ. 과학발전을 위한 방안 : 쓰러진 준하를 위한 조치
1. 우리의 학습 : 같은 장소에서 쓰러지지 않았던 신지
2. 정부의 투자 : 신지는 엄마의 자랑거리
3. 사회의 관심 : 문희가 말하는 오늘의 사건
Ⅴ. 맺으며 : 준하의 쾌유를 바라며
Ⅱ. 생활 속에서 찾아보는 과학의 중요성 : 준하와는 달랐던 그들
1. 과학과 일상 : 숲 속에서 길 잃은 해미의 지혜
2. 과학과 건강 : 육상 선수 유미의 부상 탈출기
3. 과학과 국가 : 민정이의 취미는 과거와의 대화
Ⅲ. 과학을 바라보는 우리의 태도 : 쓰러진 준하를 바라보며
1. 우리의 실태 : 준하는 왜 쓰러졌는가
2. 교육의 실태 : 준하는 사고를 피할 수 없었는가
3. 정부의 실태 : 준하 가족은 무엇을 하고 있었나
Ⅳ. 과학발전을 위한 방안 : 쓰러진 준하를 위한 조치
1. 우리의 학습 : 같은 장소에서 쓰러지지 않았던 신지
2. 정부의 투자 : 신지는 엄마의 자랑거리
3. 사회의 관심 : 문희가 말하는 오늘의 사건
Ⅴ. 맺으며 : 준하의 쾌유를 바라며
본문내용
위한 인재 양성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소흘히 하고 있다. 과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런 현실을 극복할 방안들이 필요한 것이다.
과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개인적인 노력이 있어야 하는 것을 검토하였는데, 그 핵심은 과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원 들의 열정에서 찾았다. 과학을 진학을 위한 수단 정도로 생각하지 말고 일상과 함께하는 필수적인 지식으로 생각하고 학습해야 한다. 또한 과학 분야에 몸담고 있는 연구자들은 업적과 돈에 연연하지 말고, 순수한 열정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그런 노력들은 과학의 발전에 일조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정부는 과학 분야의 양적 확장만을 위한 정책을 세우지 말고, 질적인 향상을 위한 정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과학은 한 명의 천재에 의한 효과가 극명하게 들어나는 분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과학 분야에 지속적으로 인재가 유입되도록 과학 교육의 개선에 힘써야 한다. 그것은 교과서에서부터 교육 방식까지 전 과정에 걸쳐 이루어 져야 한다. 정부와 개인적인 노력 이외에도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 중하나가 언론기관과 기업의 노력이다. 언론 기관은 이공계 위기론을 부추기지 말고, 과학 분야의 중요성과 경쟁력을 부각시켜 주어야 할 것이며, 기업들은 이공계 전공자의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인재의 유입을 막고, 유입된 인재도 유출 시키고 있는 현재의 이공계 기피 현상은 과학의 발전을 더디게 한다는 필자의 생각과 달리, 의·약학 계열도 크게 보면 과학기술계로 포함할 수 있고 기초의과학 연구 분야에도 우수 과학 인재들이 진출하는 것을 부정적으로만 볼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또한 국가고시를 통한 공직 진출도 국가의 중요 의사 결정에 이공계 전공자가 참여함으로써 오히려 환영할 만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것은 과학 분야에 대한 범위를 어디까지 볼 것이냐에 따른 기준 차이와, 인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오는 결과라고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과학은 중요하며,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이공계 위기론이 과학 발전을 위한 또다른 서막인지, 과학 발전을 저해하는 것인지는 구체적인 학생들의 인식 조사와, 유출된 인재들의 앞으로의 업적들을 파악하여 결정해야 될 문제일 것이다. 이는 추후의 연구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염소 가스 중독으로 부엌에서 쓰러진 준하는 신지의 도움으로 무사히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병상에 있는 준하는 앞으로 같은 사고를 당하지 않으려면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을 위해서는 자신의 노력과 가족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다. 그런 노력들은 스스로가 찾아가야 하는 길이며, 자신과 가족의 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분석과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 준하의 빠른 쾌유를 바란다.
생활 속의 과학과 과학발전을 위한 제언
담 당 교 수 :
수 업 시 간 :
이 름 :
학 과 :
학 번 :
제 출 일 :
이 메 일 :
< 참 고 문 헌>
- 제임스 E. 매클렐란 3세(eds.)(2006), 『과학과 기술로 본 세계사 강의』,
전대호(역)(서울:모티브북, 2006.).
- 『상대성 이론』(서울:뉴턴코리아, 2007.).
- 『양자론』(서울:뉴턴코리아, 2007.).
- 『인체 21세기 해부학』(서울:뉴턴코리아, 2007.).
- 한인옥(출판년도 미상), 『하이탑 고등학교 과학』, 하권, 서울:두산동아.
- 한인옥(출판년도 미상), 『하이탑 고등학교 화학2』, 서울:두산동아.
- 『Newton』(서울:뉴턴코리아, 2004. 4.), p.28-41.
- 『Newton』(서울:뉴턴코리아, 2007. 3.), p.28-53.
- 『Newton』(서울:뉴턴코리아, 2007. 4.), p.56-57.
- 『Newton』(서울:뉴턴코리아, 2007. 5.), p.126-31.
-, SBS, 2006년 9월 11일 방영.
-, YTN, 2004년 2월 13일 방영.
- <과학영재고 추진 3곳 정부 반대로 허송세월>, 《조선닷컴》, 2007. 1. 13,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1/13/2007011300090.html.
- <기초연구 투자, 2010년까지 2조4,500억으로 확대>, 《과학기술부》, 2007. 5. 8,
http://most.korea.kr/most/jsp/most1_branch.jsp?_action=news_view&_property=b_sec_1&_id=155201963&.
- <북유럽 소국 에스토니아, IT대국 급부상>, 《조선닷컴》, 2007. 5. 1,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5/01/2007050100031.html.
- 이동근, <'사골국물' 인이 많아서 칼슘 섭취가 안된다?>, 《메디컬투데이》, 2007. 2. 8,
http://www.mdtoday.co.kr/inews.html?cate=12&no=18525&gn=md&word=사골국&page=.
- 박종구, <이공계 위기 극복하려면>, 《서울경제》, http://economy.hankooki.com.
- <이공계 출신 CEO가 상경계 출신보다 많다>, 《동아일보》, 2006. 4. 7,
http://blog.naver.com/ nanomate?Redirect=Log&logNo=110003187376.
- <이공계 새내기 42% 의학대학원 진학 고려>, 《매일경제》, 2007. 3. 19,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7&no=139341
- <의학대학원생 3명중 1명 KAIST등 공대 출신>, 《매일경제》, 2007. 3. 11,
http://news.mk.co.kr/ newsRead.php?year=2007&no=123183.
- <천재 못 키우는 교육이 문제다>, 《조선닷컴》, 2007. 6. 3,
http://news.chosun.com/site/data /html_dir/2007/06/03/2007060300486.html.
- <취업 성공률 현황>, 《잡코리아》, http://www.jobkorea.co.kr.
과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개인적인 노력이 있어야 하는 것을 검토하였는데, 그 핵심은 과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원 들의 열정에서 찾았다. 과학을 진학을 위한 수단 정도로 생각하지 말고 일상과 함께하는 필수적인 지식으로 생각하고 학습해야 한다. 또한 과학 분야에 몸담고 있는 연구자들은 업적과 돈에 연연하지 말고, 순수한 열정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그런 노력들은 과학의 발전에 일조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정부는 과학 분야의 양적 확장만을 위한 정책을 세우지 말고, 질적인 향상을 위한 정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과학은 한 명의 천재에 의한 효과가 극명하게 들어나는 분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과학 분야에 지속적으로 인재가 유입되도록 과학 교육의 개선에 힘써야 한다. 그것은 교과서에서부터 교육 방식까지 전 과정에 걸쳐 이루어 져야 한다. 정부와 개인적인 노력 이외에도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 중하나가 언론기관과 기업의 노력이다. 언론 기관은 이공계 위기론을 부추기지 말고, 과학 분야의 중요성과 경쟁력을 부각시켜 주어야 할 것이며, 기업들은 이공계 전공자의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인재의 유입을 막고, 유입된 인재도 유출 시키고 있는 현재의 이공계 기피 현상은 과학의 발전을 더디게 한다는 필자의 생각과 달리, 의·약학 계열도 크게 보면 과학기술계로 포함할 수 있고 기초의과학 연구 분야에도 우수 과학 인재들이 진출하는 것을 부정적으로만 볼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또한 국가고시를 통한 공직 진출도 국가의 중요 의사 결정에 이공계 전공자가 참여함으로써 오히려 환영할 만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것은 과학 분야에 대한 범위를 어디까지 볼 것이냐에 따른 기준 차이와, 인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오는 결과라고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과학은 중요하며,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이공계 위기론이 과학 발전을 위한 또다른 서막인지, 과학 발전을 저해하는 것인지는 구체적인 학생들의 인식 조사와, 유출된 인재들의 앞으로의 업적들을 파악하여 결정해야 될 문제일 것이다. 이는 추후의 연구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염소 가스 중독으로 부엌에서 쓰러진 준하는 신지의 도움으로 무사히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병상에 있는 준하는 앞으로 같은 사고를 당하지 않으려면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을 위해서는 자신의 노력과 가족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다. 그런 노력들은 스스로가 찾아가야 하는 길이며, 자신과 가족의 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분석과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 준하의 빠른 쾌유를 바란다.
생활 속의 과학과 과학발전을 위한 제언
담 당 교 수 :
수 업 시 간 :
이 름 :
학 과 :
학 번 :
제 출 일 :
이 메 일 :
< 참 고 문 헌>
- 제임스 E. 매클렐란 3세(eds.)(2006), 『과학과 기술로 본 세계사 강의』,
전대호(역)(서울:모티브북, 2006.).
- 『상대성 이론』(서울:뉴턴코리아, 2007.).
- 『양자론』(서울:뉴턴코리아, 2007.).
- 『인체 21세기 해부학』(서울:뉴턴코리아, 2007.).
- 한인옥(출판년도 미상), 『하이탑 고등학교 과학』, 하권, 서울:두산동아.
- 한인옥(출판년도 미상), 『하이탑 고등학교 화학2』, 서울:두산동아.
- 『Newton』(서울:뉴턴코리아, 2004. 4.), p.28-41.
- 『Newton』(서울:뉴턴코리아, 2007. 3.), p.28-53.
- 『Newton』(서울:뉴턴코리아, 2007. 4.), p.56-57.
- 『Newton』(서울:뉴턴코리아, 2007. 5.), p.126-31.
-
-
- <과학영재고 추진 3곳 정부 반대로 허송세월>, 《조선닷컴》, 2007. 1. 13,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1/13/2007011300090.html.
- <기초연구 투자, 2010년까지 2조4,500억으로 확대>, 《과학기술부》, 2007. 5. 8,
http://most.korea.kr/most/jsp/most1_branch.jsp?_action=news_view&_property=b_sec_1&_id=155201963&.
- <북유럽 소국 에스토니아, IT대국 급부상>, 《조선닷컴》, 2007. 5. 1,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5/01/2007050100031.html.
- 이동근, <'사골국물' 인이 많아서 칼슘 섭취가 안된다?>, 《메디컬투데이》, 2007. 2. 8,
http://www.mdtoday.co.kr/inews.html?cate=12&no=18525&gn=md&word=사골국&page=.
- 박종구, <이공계 위기 극복하려면>, 《서울경제》, http://economy.hankooki.com.
- <이공계 출신 CEO가 상경계 출신보다 많다>, 《동아일보》, 2006. 4. 7,
http://blog.naver.com/ nanomate?Redirect=Log&logNo=110003187376.
- <이공계 새내기 42% 의학대학원 진학 고려>, 《매일경제》, 2007. 3. 19,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7&no=139341
- <의학대학원생 3명중 1명 KAIST등 공대 출신>, 《매일경제》, 2007. 3. 11,
http://news.mk.co.kr/ newsRead.php?year=2007&no=123183.
- <천재 못 키우는 교육이 문제다>, 《조선닷컴》, 2007. 6. 3,
http://news.chosun.com/site/data /html_dir/2007/06/03/2007060300486.html.
- <취업 성공률 현황>, 《잡코리아》, http://www.jobkorea.co.kr.
추천자료
초고속 통신망 기술과 전망에 관한 연구(논문 작성용 자료 요청)
초고속 통신망 기술과 전망에 관한 연구(논문 작성용 자료 요청)
보고서 논문 레포트 작성에서 주의할 사항
미국 대학원 기말 논문(텀페이퍼 작성 및 수정 결과 예)
표준보육과정이나 누리과정에 대한 학술지 논문을 찾아 읽고 분석해 리포트를 작성해주세요(...
최근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선정, 주제와 관련된 문헌자료를 30개 이상 찾아서 목록을 작성하...
(우수 계획서로 선정된) 학위 논문 준비 계획서 작성 사례
질적연구조사에 대해 정리하고 질적조사방법을 수행한 논문 중 하나를 자료수집 및 분석을 주...
[국어국문학과 C형] 영화 ‘와즈다’, ‘소스’, ‘아빠와 함께’ 중 1편을 보고 영화 감상평을 ...
세계의역사(E형, 아웃 오브 아프리카),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1985)를 보고 감상평을 쓰되...
국회도서관이나 학술 사이트에서 사회복지 논문을 찾아 연구 계획서를 작성하시오. 연구 계획...
[2018 교과논리및논술3E] 영유아의 권리와 관련된 논문 1개 이상 기사 2개 이상을 읽고 주제...
유아미술과 관련된 논문을 3개 찾아서 그 논문을 찾은 동기를 작성 및 동기가 해소되었는지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