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자궁 해부 & 생리
1.자궁의 해부구조
▪인대 구성
2.자궁의 기능
3.월경주기 (=자궁내막 주기)
B.난소 해부 & 생리
1.난소의 해부구조
2.난소의 기능
3. 난소의 주기(= 월경주기)
C.분만 & 골반
1.골반의 구조
2.골반의 분류
1.자궁의 해부구조
▪인대 구성
2.자궁의 기능
3.월경주기 (=자궁내막 주기)
B.난소 해부 & 생리
1.난소의 해부구조
2.난소의 기능
3. 난소의 주기(= 월경주기)
C.분만 & 골반
1.골반의 구조
2.골반의 분류
본문내용
를 제공한다.
② 가골반의 모양 & 경사 - 진골반의 성질을 알아보는데 도움을 준다.
③ 임신말기에 자궁을 지지해주고 태아를 적당한 시기에 진골반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진골반
(측정방법 : 내진, X-선 계측법, CT, MRI)
① 골반입구
- 태아의 머리가 진골반으로 들어가기 위해서 거쳐야만 하는 통로
a.전후경선(진결합선)
- (치골결합 상연 ~ 천골갑)까지의 일직선상의 연결된 길이
- (대각결합선 - 1.5cm)
- 태아 머리(선진부)가 진골반 내에 들어갈 수 있느냐 없느냐를 결정하는 입구의 가장 짧은 경선
b.산과적 결합선
- 치골결합의 내면과 천골갑간의 가장 짧은 거리
- 분만시 실제적으로 가장 짧은 경선
- (진결합선 - 0.5cm)
c.대각 결합선
- (치골결합 하연 ~ 천골갑)까지의 길이
- 대각결합선은 내진에 의해 직접 측정이 가능하며, 대체로 12.5 - 13cm
d.횡경선
- 골반입구의 양측 최대경선 13.5cm
② 골반강
- 골반입구와 출구사이에 있는 부위
③ 골반출구
- 옆면은 양측 좌골결절, 후면은 미골 하단의 정점, 앞면은 치골결합의 하단을 연결하는 4개의 점 을 잇는 다이아몬드형이다.
- 전후경선 : 출구의 가장 큰 직경
② 가골반의 모양 & 경사 - 진골반의 성질을 알아보는데 도움을 준다.
③ 임신말기에 자궁을 지지해주고 태아를 적당한 시기에 진골반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진골반
(측정방법 : 내진, X-선 계측법, CT, MRI)
① 골반입구
- 태아의 머리가 진골반으로 들어가기 위해서 거쳐야만 하는 통로
a.전후경선(진결합선)
- (치골결합 상연 ~ 천골갑)까지의 일직선상의 연결된 길이
- (대각결합선 - 1.5cm)
- 태아 머리(선진부)가 진골반 내에 들어갈 수 있느냐 없느냐를 결정하는 입구의 가장 짧은 경선
b.산과적 결합선
- 치골결합의 내면과 천골갑간의 가장 짧은 거리
- 분만시 실제적으로 가장 짧은 경선
- (진결합선 - 0.5cm)
c.대각 결합선
- (치골결합 하연 ~ 천골갑)까지의 길이
- 대각결합선은 내진에 의해 직접 측정이 가능하며, 대체로 12.5 - 13cm
d.횡경선
- 골반입구의 양측 최대경선 13.5cm
② 골반강
- 골반입구와 출구사이에 있는 부위
③ 골반출구
- 옆면은 양측 좌골결절, 후면은 미골 하단의 정점, 앞면은 치골결합의 하단을 연결하는 4개의 점 을 잇는 다이아몬드형이다.
- 전후경선 : 출구의 가장 큰 직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