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D/A는 어떤 거래에 쓰이는가?
① D/A 의 정의
② 전개과정
2) L/C는 어떤 거래에 쓰이는가?
① L/C 의 정의
② 전개과정
3) L/C(신용장)거래와 D/A의 차이점
4) 대금결제방식의 장점
①D/A(추심결제)방식의 장점
②L/C(신용장)방식의 장점
5) 미국백화점의 진출 전략
6) 추후 거래 가능성
- 미국 소비자들의 LCD구매율
7) 결론
① D/A 의 정의
② 전개과정
2) L/C는 어떤 거래에 쓰이는가?
① L/C 의 정의
② 전개과정
3) L/C(신용장)거래와 D/A의 차이점
4) 대금결제방식의 장점
①D/A(추심결제)방식의 장점
②L/C(신용장)방식의 장점
5) 미국백화점의 진출 전략
6) 추후 거래 가능성
- 미국 소비자들의 LCD구매율
7) 결론
본문내용
29cm 이상의 평면 스크린 Tv 품목의 수입금액은 2004년 52억 5,869만 불에 달하여 전년 대비 122.09% 증가세를 나타나고 있다. 이 중 멕시코산은 약 32억만 불이 수입되어 저년 대비 151.64%라는 큰 폭의 증ㅇ가세를 보였고, 중국 및 일본산이 그 뒤를 따르고 있으며, 한국산은 약 3억만불어치가 수입되어 전년대비 0.33%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나) 고객 동향분석
미국 시장에서 Tv 제품에 대한 고개의 구매심리는 세 가지 중요한 요소, 즉 브랜드, 기술, 그리고 가격에 좌우되며 특히 PDP/LCD 같은 고가 제품은 브랜드와 기술이 많이 작용하고 있다. 일본 제품이 이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것은 브랜드에 충성하는 고객이 많은 기반을 닦아 놓아주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가정의 Tv 수상기에 대한 평균 지출액은 1997~2002년 사이에 7% 증가하였으며, 향수 수년간 HD-TV의 가격 하락으로 인한 수요증대를 예상하면 평균지출액은 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PDP-LCD TV 구매 고객층을 분석해보면 55세~64세의 소비자들로 일반 연령층보다 TV 구매에 30%를 더 지출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결혼한 부부들이 일반 가정보다 30% 더 지출하며, 18세 이상의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50%를 더 지출한다. 더불어 대학 학력 소지자는 미소지자에 비해 TV 구매 시 45%를 더 지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다) 경쟁동향 분석
Panasonic은 프리즈마 TV부문에 강점을 가지고 PDP 부문에서 1위, LCD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Panasonic은 기술을 앞세운 고가 제품으로 시장을 유리하게 공략하고 있으며 PDP.LCD TV 시장에서 기술과 브랜드는 시장 점유의 절대적인 요소임을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다. LCD TV 시장에서는 샤프가 21.11%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이 682%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PDP TV 시장에서는 Panasonic과 소니에 이어 LG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라) 유통 전략
미국 소비자들이 가장 손쉽게 제품 정보를 얻는 곳은 온라인 쇼핑몰로, 우선은 온라인 유통망에 제품을 노출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온라인에서 제품 정보를 얻은 후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제로 제품을 간찰하게 되므로, 매장에 자사 제품이 어떻게 진열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신경 써야 한다. PDP/LCD TV 제품의 유통경로로는 sears, Macy 등의 대형백화점이나, 월마트 등의 대형할인 소매점과 같은 대형 유통망에 상품을 납품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나 초기 접촉부터 납품결정에 이르는 기간이 길고 접촉자체가 어려운 점을 고려해야 한다.
더해 미국의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의 브랜드와 기술에 대해서 일본제품 만큼 높이 인식하고 있지 못하므로,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광고 전략이 필요하므로 백화점과 같은 고급 유통망에 진출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건이라 할 수 있다.
7) 결론
한국 전자제품은 일본 및 타국의 제품에 비해 기술 및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편이기 때문에 거래업체로부터 신뢰성을 받기는 어려운 위치다. 때문에 삼성전자가 기술 우위를 획득하고, 소비자들로부터 브랜드를 인정받기 이전에는 당연 L/C 방법으로 대금 결제가 이루어 질 수밖에 없다. 미국의 메이 백화점과 신용장 거래를 통해 수출을 성공시킨다면 다각적으로 사업 망을 펼치고 있는 메이 백화점의 유통망을 이용하여 미국의 각기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소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엄청난 돈을 들여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 인식도를 높이는 것만큼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PDP, LCD TV의 현지 수입관세 및 부가세는 HS Code 8528127201(대각선 길이 34.29cm 이상의 평면 스크린 TV) 품목 수입관세는 5%, 부가세(Sales Tax)는 실제 소매되는 주별, 지역별로 상이하며 대략 6%~10% 범위에서 과세된다. 또한 부과세 장벽에 대해서도 알아두어야 하는데 미국은 테러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CSI(consumer security initiative)라는 포장 물품 관리 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며 참여 항구에서만 미국으로의 수출이 가능하다. 한국에서는 부산이 현재 참여 중이다. 전자제품에 대해서는 美전파통신규격(강제규격)(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과 안전규격(비강제규격)(UL: Underwriters Laboratories) 인증을 받아야 한다.
나) 고객 동향분석
미국 시장에서 Tv 제품에 대한 고개의 구매심리는 세 가지 중요한 요소, 즉 브랜드, 기술, 그리고 가격에 좌우되며 특히 PDP/LCD 같은 고가 제품은 브랜드와 기술이 많이 작용하고 있다. 일본 제품이 이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것은 브랜드에 충성하는 고객이 많은 기반을 닦아 놓아주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가정의 Tv 수상기에 대한 평균 지출액은 1997~2002년 사이에 7% 증가하였으며, 향수 수년간 HD-TV의 가격 하락으로 인한 수요증대를 예상하면 평균지출액은 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PDP-LCD TV 구매 고객층을 분석해보면 55세~64세의 소비자들로 일반 연령층보다 TV 구매에 30%를 더 지출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결혼한 부부들이 일반 가정보다 30% 더 지출하며, 18세 이상의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50%를 더 지출한다. 더불어 대학 학력 소지자는 미소지자에 비해 TV 구매 시 45%를 더 지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다) 경쟁동향 분석
Panasonic은 프리즈마 TV부문에 강점을 가지고 PDP 부문에서 1위, LCD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Panasonic은 기술을 앞세운 고가 제품으로 시장을 유리하게 공략하고 있으며 PDP.LCD TV 시장에서 기술과 브랜드는 시장 점유의 절대적인 요소임을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다. LCD TV 시장에서는 샤프가 21.11%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이 682%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PDP TV 시장에서는 Panasonic과 소니에 이어 LG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라) 유통 전략
미국 소비자들이 가장 손쉽게 제품 정보를 얻는 곳은 온라인 쇼핑몰로, 우선은 온라인 유통망에 제품을 노출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온라인에서 제품 정보를 얻은 후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제로 제품을 간찰하게 되므로, 매장에 자사 제품이 어떻게 진열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신경 써야 한다. PDP/LCD TV 제품의 유통경로로는 sears, Macy 등의 대형백화점이나, 월마트 등의 대형할인 소매점과 같은 대형 유통망에 상품을 납품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나 초기 접촉부터 납품결정에 이르는 기간이 길고 접촉자체가 어려운 점을 고려해야 한다.
더해 미국의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의 브랜드와 기술에 대해서 일본제품 만큼 높이 인식하고 있지 못하므로,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광고 전략이 필요하므로 백화점과 같은 고급 유통망에 진출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건이라 할 수 있다.
7) 결론
한국 전자제품은 일본 및 타국의 제품에 비해 기술 및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편이기 때문에 거래업체로부터 신뢰성을 받기는 어려운 위치다. 때문에 삼성전자가 기술 우위를 획득하고, 소비자들로부터 브랜드를 인정받기 이전에는 당연 L/C 방법으로 대금 결제가 이루어 질 수밖에 없다. 미국의 메이 백화점과 신용장 거래를 통해 수출을 성공시킨다면 다각적으로 사업 망을 펼치고 있는 메이 백화점의 유통망을 이용하여 미국의 각기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소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엄청난 돈을 들여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 인식도를 높이는 것만큼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PDP, LCD TV의 현지 수입관세 및 부가세는 HS Code 8528127201(대각선 길이 34.29cm 이상의 평면 스크린 TV) 품목 수입관세는 5%, 부가세(Sales Tax)는 실제 소매되는 주별, 지역별로 상이하며 대략 6%~10% 범위에서 과세된다. 또한 부과세 장벽에 대해서도 알아두어야 하는데 미국은 테러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CSI(consumer security initiative)라는 포장 물품 관리 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며 참여 항구에서만 미국으로의 수출이 가능하다. 한국에서는 부산이 현재 참여 중이다. 전자제품에 대해서는 美전파통신규격(강제규격)(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과 안전규격(비강제규격)(UL: Underwriters Laboratories) 인증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