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컨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링컨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I. 서론 2

II. 미국의 시대적 상황 및 정치적 구조분석 6
1. 미국의 시대적 상황
2. 정치적 구조분석
3. 리더십 환경분석

Ⅲ. 링컨의 생애를 통해 본 리더로서의 자질 16
1. 링컨의 생애
2. 리더로서의 자질

Ⅳ. 관계적 리더십 23
1. 정당과의 관계
2. 행정부와의 관계
3. 의회와의 관계
4. 언론과 대중과의 관계

Ⅴ. 남북전쟁과 정책적 리더십 31
1. 대외정책
2. 대내정책

Ⅵ. 링컨과 제임스 뷰캐넌의 정치 리더십 비교󰋯분석 39

Ⅶ. 결론 41
1. 링컨의 리더십의 한계점
2. 링컨의 리더십에 대한 분석
3. 시사점

참고 문헌 및 부록 46

본문내용

체성, 국민의식이 자라나게 된 전쟁이기도 하다.
미국의 3대 대통령 제퍼슨의 2차임기가 시작되던 1805년에 유럽대륙에서는 나폴레옹 전쟁이 일어났고, 영국과 프랑스의 전쟁이 시작되자 제퍼슨은 미국의 중립을 선언했다. 1807년까지 영국은 해군을 근 15만 병력의 수병과 해병이 승선하는 700여 척의 군함으로 증강했지만 영국 함대의 승무원들은 아주 가혹한 대우를 받았기 때문에 많은 영국 해군 수병들이 탈주하여 미국 선박에 피신했다. 이러한 경우 영국군 장교들은 미국 선박을 수색하여 영국 국민을 데려가는 것을 자기들의 권리로 간주했다, 이는 미국인들에게 큰 모욕감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영국군 장교들이 미국인 선원을 강제로 끌고가서 영궁 해군에 편입시키는 일이 흔히 있었다. 이에 제퍼슨은 영국군함들에게 미국의 영해에서 떠나도록 명령하는 포고를 발표하자 영국측은 더 많은 미국 선원을 강제로 끌고 가 영국 해군에 편입시키는 대응을 보였다. 제퍼슨은 영국 해군으로 하여금 물러서지 않을 수 없게 만들기 위해 경제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방법에 의존하기로 결정했고, 1807년 12월 미국의회는 금수령을 통과시켜 모든 대외교역을 금지했다. 이 조치로 해운업은 거의 몰락했고, 뉴잉글랜드와 뉴욕 주에서는 불만의 소리가 높아갔다. 국내에서 불만이 커지자 제퍼슨은 금수조치를 완화하여 국내 해운업자들을 달랬는데, 제퍼슨이 영국군함들에게 미국의 영해에서 다른 모든 국가와의 통상을 허용하는 ‘비교역령’에 서명했다.
1809년 제임스 매디슨이 제퍼슨의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되었고, 1810년 웨스트플로리다의 미국인 정착민들이 배펀루지의 스페인 요새를 장악하고는 이 지역을 합병하자고 연방정부에 요청했다. 메디슨 대통령은 기꺼이 동의하고 플로리다의 나머지 지역도 확보하려는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따라서 1812년 무렵에는 미국의 남부 및 북부 양쪽 국경 지대에서 전쟁의 열기가 치솟았다. 이 지역 백인 정착민들의 요구는 확고한 신념을 가진 워싱턴의 젊은 하원 의원들 사이에서 상당한 지지를 얻었고, 이들은 곧 ‘주전론자’라고 불리게 되었다. 1810년 의원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출신 당을 불문하고 영국과의 전쟁을 요구하는 사람들을 하원 의원으로 뽑았다. 매디슨은 여전히 평화를 선호했으나 점점 의회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고, 1812년 6월 18일 매디슨은 영국을 향한 선전 포고를 승인했다.
미-영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영국군에 수도 워싱턴을 점령당하고 백악관이 불타는 수모를 잠시 겪기도 했으나, 나폴레옹 전쟁 종결로 인해 미-영 전쟁도 함께 막을 내리게 되어 1814년 12월 전쟁 이전 상황으로의 복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강화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시기에 접어들면서 미국은 건국 초기의 몇 년 동안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정당 간의 경쟁이 어느 정도 가라앉았고, ‘감정 융화의 시대’로 진입할 채비를 갖추게 되었다.
(2) 미주리 타협
1819년 미주리가 연방에 하나의 주로 가입을 신청했을 무렵, 이미 미주리에는 노예 제도가 정착된 상황이었다. 건국 이래 새로운 주가 연방에 가입할 때는 남부와 북부가 각각 한 주씩 짝을 이루어 균형을 맞추었다. 1819년 당시 미국에는 11개의 노예제 거부 주와 11개의 노예제 인정 주가 있었다. 따라서 미주리의 연방 가입은 균형을 깨는 일이었다. 미국은 미주리가 노예 제도를 인정하거나 또는 아니거나의 둘 중 어떤 형태로 연방에 가입할 것인가를 놓고 논쟁에 휩싸였다. 의회는 제시 토머스의 주도 하에 절충안을 내놓았다. 토머스는 미주리를 노예 주로 만들기는 하되, 미주리 경계의 북쪽 지역에는 노예제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안을 내놓았다. 상원은
[표Ⅱ-1. 1821년 미합중국의 자유 주와 노예 주]
자유 주
노예 주
코네티컷 (1788 / 5)
앨라배마 (1819 / 22)
일리노이 (1818 / 21)
델라웨어 (1787 / 1)
인디애나 (1816 / 19)
조지아 (1788 / 4)
메인 (1820 / 23)
켄터키 (1792 / 15)
매사추세츠 (1788 / 6)
루이지애나 (1812 / 18)
뉴햄프셔 (1788 / 9)
메릴랜드 (1788 / 7)
뉴저지 (1787 / 3)
미시시피 (1817 / 20)
뉴욕 (1788 / 11)
미주리 (1821 / 24)
오하이오 (1803 / 17)
노스캐롤라이나 (1789 / 12)
펜실베니아 (1787 / 2)
사우스캐롤라이나 (1788 / 8)
로드아일랜드 (1790 / 13)
테네시 (1796 / 16)
버몬트 (1791 / 14)
버지니아 (1788 / 10)
[표 Ⅱ-1] 괄호 안의 연도는 미합중국 가입연도이지만, 최초의 13개 주의 경우에는 헌법 인준 연도. 다음 숫자는 가입순서.
토머스 수정 조항을 채택했다. 이 협정은 노예제를 둘러싼 남 북간의 대립을 한 때 무마하였으나, 1854년 캔자스-네브래스카법에 의해 사실상 무효화되었다. 1857년 드래드 스콧 판결에서 위헌으로 규정, 완전 폐기되어 남북전쟁을 유발하였다.
(3) 민주당 VS 휘그당 그리고 공화당
1830년대 민주당은 영토 확장이 야망 있는 미국인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휘그당은 급속한 영토 확대가 사회 불안을 가져올 수 있다고 염려하면서서부 확장에 신중을 기했으며, 미국이 상업과 제조업을 기반으로 열강의 대열에 올라서기를 희망했다. 북동부의 부유한 상인과 제조업자들, 남부의 부유한 대농장주들, 서부의 기업화된 농민과 신흥 상업 계층이 휘그당의 가장 강력한 지지기반이었고, 북동부의 소규모 상인과 노동자들, 압도적으로 농업 경제를 선호하던 서부인들은 민주당을 지지했다. 휘그당은 연방 의회와 주 및 지방 선거에서는 민주당과 비교적 대등하게 경합을 벌였으나, 대통령 선거에서는 20년이 넘는 당의 역사에서 겨우 두 번밖에 승리하지 못했다.
휘그당은 전쟁 영웅 전법을 또 다시 사용할 요량으로 멕시코 전쟁의 지휘관 윈필드 스콧을 영립했으나 그 전법도 통하지 않았고, 북부 민주당 의원 피어스는 남부의 입장을 지지하여 스콧을 쉽사리 따돌리는 데까지는 성공했으나, 남부 민주당 의원들을 달래려다 북부의 지지도 얻지 못하고 조정자적 위치도
  • 가격3,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07.08.0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2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