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괴짜 경제학,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본론- 괴짜 경제학의 의미와 의의
- 우리 삶속의 경제학, 그 해답을 찾아
- 괴짜 경제학, 나는 무엇을 느꼈는가?
결론- 괴짜 경제학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서
본론- 괴짜 경제학의 의미와 의의
- 우리 삶속의 경제학, 그 해답을 찾아
- 괴짜 경제학, 나는 무엇을 느꼈는가?
결론- 괴짜 경제학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서
본문내용
해답을 찾아
경제 번영은 폭력 범죄 감소와 연관 없어…비폭력 범죄와 관련
우선 경제번영이 왜 범죄 감소에 기여하지 않는 지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경제가 좋아지면 빈집 털이나 차량 절도와 같은 비폭력적인 범죄는 감소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실업률이 1% 감소하면 비폭력적인 범죄도 1%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할만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폭력 범죄는 경제와 연관성이 없다. 실제로 1960년대의 경우 경제가 미친 듯이 성장했지만 폭력 범죄율도 크게 증가했다.
치안 강화도 연관 없어: 경찰 대폭 늘린 뉴욕의 범죄 감소율 최악의 치안 LA와 비슷 그럼 치안 강화가 미국의 폭력 범죄 감소를 가져온 것일까?
미국에서 국민 1인당 경찰관 수는 1990년대에 14% 증가했고, 특히 뉴욕 시민 1인당 경찰관 수는 45%나 증가했다. 그런데 뉴욕의 경우 강력 범죄는 경찰 증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1990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했다.
또 뉴욕의 경찰관 증원율은 전국 평균의 3배 이지만, 강력범죄와 투쟁하는 다른 도시와 비교해볼 때 중간 순위에 불과하다.
정말 기이한 것은 최악의 치안정책으로 악명 높은 로스앤젤레스에서조차 뉴욕과 비슷한 비율로 강력 범죄가 줄어들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치안 강화와 강력 범죄 감소는 별 상관이 없다.
폭력 범죄가 줄어든 진짜 이유는 1973년에 시행된 낙태 합법화
그럼 대체 무엇이 미국의 폭력 범죄를 감소시킨 것일까? 스티븐 레빗은 1973년 1월 22일 미국 대법원이 판결한 낙태합법화가 폭력을 잠재웠다고 말한다. 언뜻 수긍하기 힘든 주장입니다. 겉은 사과인데 속은 오렌지인 \'괴짜경제학\'의 표지처럼 그가 제시한 진짜 이유는 매우 색다르다
케인즈나 통화주의자들이 주장하던 이론들과 달리확실한 통계를 바탕으로 사회의 여러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우리 대부분은 리스크를 평가하는 능력이 형편없다.
스스로를\'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컨설턴트\'라고 칭하는 피터 샌드먼은 단 한 건의 광우병 발병으로 미국 전역에 쇠고기 기피증이 일어났던 2004년 초반에 바로 이점을 지적했다.
\"사람들을 두렵게 만드는 리스크와 사람들을 실레로 죽음에 이르게 하는 리스크가 아주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샌드먼은 광우병과 일반 가정의 부엌에서 음식을 통해 확산되는 병원균을 비교한다.
\"통제할 수 없는 리스크가 통제할 수 있는 리스크보다 더 많은 분노를 일으키는 법이다. 광우병은 자신의 통제를 벗어난 영역에 있는 것으로 느껴진다. ...\" 샌드먼의 \'통제\'원리는 왜 대부분의 사람들이 차를 운전하는 것을 더 무서워하는지도 설명한다.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한다. 차를 통제하는 건 나니까, 나의 안전을 지키는 것은 나야. 하지만 비행기를 통제하는 건 내가 아니니까, 나의 안전이 무수한 외부 요인에 의해 좌주된단 말이야.... 차 운전과 비행기 탑승의 \'시간당\' 사망률은 거의 같다.
\'집에 책이 많으면 아이의 학교 성적이 좋은가?\'라는 질문을 던진다고 하자. 회귀분석은 그러한 질문에는 적절한 대답을 내놓지
경제 번영은 폭력 범죄 감소와 연관 없어…비폭력 범죄와 관련
우선 경제번영이 왜 범죄 감소에 기여하지 않는 지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경제가 좋아지면 빈집 털이나 차량 절도와 같은 비폭력적인 범죄는 감소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실업률이 1% 감소하면 비폭력적인 범죄도 1%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할만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폭력 범죄는 경제와 연관성이 없다. 실제로 1960년대의 경우 경제가 미친 듯이 성장했지만 폭력 범죄율도 크게 증가했다.
치안 강화도 연관 없어: 경찰 대폭 늘린 뉴욕의 범죄 감소율 최악의 치안 LA와 비슷 그럼 치안 강화가 미국의 폭력 범죄 감소를 가져온 것일까?
미국에서 국민 1인당 경찰관 수는 1990년대에 14% 증가했고, 특히 뉴욕 시민 1인당 경찰관 수는 45%나 증가했다. 그런데 뉴욕의 경우 강력 범죄는 경찰 증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1990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했다.
또 뉴욕의 경찰관 증원율은 전국 평균의 3배 이지만, 강력범죄와 투쟁하는 다른 도시와 비교해볼 때 중간 순위에 불과하다.
정말 기이한 것은 최악의 치안정책으로 악명 높은 로스앤젤레스에서조차 뉴욕과 비슷한 비율로 강력 범죄가 줄어들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치안 강화와 강력 범죄 감소는 별 상관이 없다.
폭력 범죄가 줄어든 진짜 이유는 1973년에 시행된 낙태 합법화
그럼 대체 무엇이 미국의 폭력 범죄를 감소시킨 것일까? 스티븐 레빗은 1973년 1월 22일 미국 대법원이 판결한 낙태합법화가 폭력을 잠재웠다고 말한다. 언뜻 수긍하기 힘든 주장입니다. 겉은 사과인데 속은 오렌지인 \'괴짜경제학\'의 표지처럼 그가 제시한 진짜 이유는 매우 색다르다
케인즈나 통화주의자들이 주장하던 이론들과 달리확실한 통계를 바탕으로 사회의 여러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우리 대부분은 리스크를 평가하는 능력이 형편없다.
스스로를\'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컨설턴트\'라고 칭하는 피터 샌드먼은 단 한 건의 광우병 발병으로 미국 전역에 쇠고기 기피증이 일어났던 2004년 초반에 바로 이점을 지적했다.
\"사람들을 두렵게 만드는 리스크와 사람들을 실레로 죽음에 이르게 하는 리스크가 아주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샌드먼은 광우병과 일반 가정의 부엌에서 음식을 통해 확산되는 병원균을 비교한다.
\"통제할 수 없는 리스크가 통제할 수 있는 리스크보다 더 많은 분노를 일으키는 법이다. 광우병은 자신의 통제를 벗어난 영역에 있는 것으로 느껴진다. ...\" 샌드먼의 \'통제\'원리는 왜 대부분의 사람들이 차를 운전하는 것을 더 무서워하는지도 설명한다.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한다. 차를 통제하는 건 나니까, 나의 안전을 지키는 것은 나야. 하지만 비행기를 통제하는 건 내가 아니니까, 나의 안전이 무수한 외부 요인에 의해 좌주된단 말이야.... 차 운전과 비행기 탑승의 \'시간당\' 사망률은 거의 같다.
\'집에 책이 많으면 아이의 학교 성적이 좋은가?\'라는 질문을 던진다고 하자. 회귀분석은 그러한 질문에는 적절한 대답을 내놓지
키워드
추천자료
유시민의 경제학 카페를 읽고
경제학 콘서트에 대한 내용요약 및 서평(A+독후감)
[독후감]경제학 에세이 '카론의 동전 한 닢' 을 읽고 쓴 독후감, 카론의 동전 한 닢에 대한 ...
[상식 밖의 경제학] 상식밖의 경제학 감상문
[상식밖의경제학] 상식밖의 경제학 독후감
부자의 경제학 빈민의 경제학 독후감
[독후감]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도미노 경제학 (가도쿠라 다카시 지음/박선영 옮김)
[독후감] 나쁜사마리아인들을 읽고.. “나쁜 사마리아 인들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를 읽고,
엔터테인먼트 경제학(ENTERTAINMENT ECONOMICS)을 읽고 감상문 및 느낀점
경제학관련 책읽고 독후감
[내용요약과 비판, 독후감] ‘몬스터 마을의 경제학’을 읽고 _ 사이카린 신세이 저
[미시경제학 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를 읽고 _ 토드 부크홀츠(Todd G. ...
[독후감상문(경제/경영)]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독후감상문(경제학/사회문제)]이만하면 충분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