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평: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읽고 >
1.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줄거리
2. 베르테르의 슬픔에 대한 문제인식
3. 순수한 베르테르의 사랑
4. 낭만주의 시대와 베르테르의 사랑
5. 괴테의 중심사상
- 참 고 문 헌 -
1.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줄거리
2. 베르테르의 슬픔에 대한 문제인식
3. 순수한 베르테르의 사랑
4. 낭만주의 시대와 베르테르의 사랑
5. 괴테의 중심사상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판단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12월 24일자 편지에서 “감자를 심거나 곡물을 팔러 말타고 시내에 가는 사람”이 “노예선의 사슬에 묶여 있는” 자신보다 더 나은 일을 하고 있다고 쓴다. 그리고 공사관에서 “서로 상대방 눈치를 살피는 구역질나는 무리들 틈에 섞여 사는 비참한 영광, 이 지겨움! 서로 한 걸음이라도 먼저 얻으려고 호시탐탐 노리고만 있는 그네들의 지위욕, 참으로 한심하고 딱한 그 욕망은 완전히 노골적”이라고 한다. 이어서 베르테르는 그가 제 3신분이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겪는 수모를 한편으론 이해하면서도 “신분차별이 내가 이땅에서 조그만 기쁨과 한 줄기 행복을 향유할 수 있는 길을 가로막아서는 안된다.”고 적는다. 자신의 현재를 즐기려는 의지가 매우 강력한, 다른 말로 시민적인 자기의식이 매우 뚜렷한 베르테르는 이제 귀족들의 면전에서 노골적으로 소외당하고 결국 쫓겨나는 심각한 좌절을 경험한다.
마침내 경직된 기존사회를 거부하는 베르테르는 사회적 억압에서 스스로를 해방하기 위해 자살에서 최종적인 해결책을 찾는다. 그의 자살은 스스로 선택한 자유와 이상이 현실에서 좌절됨을 뜻한다. 베르테르의 죽음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모순들을 자기의지에 의해 강제로 해결하려는 최후 수단이었고, 그래서 순수한 의미에서 더 비극적이다.
5. 괴테의 중심사상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라는 문학을 통해서 과연 괴테가 나타내고자 한 것은 무엇이며 그 의도는 어떠한 것인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사회와 인간의 대립이라는 근대사회의 기본적인 모순은 적어도 이 작품에서는 양립불가인 것처럼 보인다. 결혼이라는 제도와 남의 여자에 대한 사랑이 초래하는 윤리의 문제는 현실에서는 그 어떤 해결을 보지 못한다. 무엇인가를 시도하면 할수록 그 상심은 더욱 커져만 가는 것이다. 결혼제도와 윤리 문제가 비인간적이라면, 그것을 깨부수면 될 것 아닌가? 그러나 베르테르는 그렇게 하지 못한다. 아니 그럴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괴테에게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는 사회가 아니라 인간에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사회가 그렇다 하더라도 인간성의 회복은 가능하다는 믿음으로, 사회 변혁이 아닌 인간성 회복을 진정한 근본적인 변혁이라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 베르테르는 자살을 선택한다. 양립불가에서 현실적인 타협은 있을 수 없다. 그는 물론 이것을 인간적인,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인간의 권리라고 말하는 것이다. 작가는 이 죽음을 통해 인간과 사회의 근본적 대립을 독자들에게 보여준다. 괴테는 문학을 통해 인간성의 회복을 이루고자 한 것이다.
사실 괴테의 이러한 해결방식에는 많은 논쟁이 있을 수 있다. 사회와 인간의 대립에 있어 비인간화의 원인이 사회적인 것에 있음을 알고서도, 결국 근본적으로는 인간의 문제다라고 하는 것은 관념성과 이상주의 경향을 보여준다. 비인간성의 원인을 사회속에서 파악한 리얼리즘 정신, 그리고 인간적인 가치를 찾고자 하는 휴머니즘 정신 등도 살필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 요한볼프강폰괴테, 서유리역 / 젊은 베를테르의 슬픔 / 책만드는집 / 2006
마침내 경직된 기존사회를 거부하는 베르테르는 사회적 억압에서 스스로를 해방하기 위해 자살에서 최종적인 해결책을 찾는다. 그의 자살은 스스로 선택한 자유와 이상이 현실에서 좌절됨을 뜻한다. 베르테르의 죽음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모순들을 자기의지에 의해 강제로 해결하려는 최후 수단이었고, 그래서 순수한 의미에서 더 비극적이다.
5. 괴테의 중심사상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라는 문학을 통해서 과연 괴테가 나타내고자 한 것은 무엇이며 그 의도는 어떠한 것인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사회와 인간의 대립이라는 근대사회의 기본적인 모순은 적어도 이 작품에서는 양립불가인 것처럼 보인다. 결혼이라는 제도와 남의 여자에 대한 사랑이 초래하는 윤리의 문제는 현실에서는 그 어떤 해결을 보지 못한다. 무엇인가를 시도하면 할수록 그 상심은 더욱 커져만 가는 것이다. 결혼제도와 윤리 문제가 비인간적이라면, 그것을 깨부수면 될 것 아닌가? 그러나 베르테르는 그렇게 하지 못한다. 아니 그럴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괴테에게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는 사회가 아니라 인간에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사회가 그렇다 하더라도 인간성의 회복은 가능하다는 믿음으로, 사회 변혁이 아닌 인간성 회복을 진정한 근본적인 변혁이라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 베르테르는 자살을 선택한다. 양립불가에서 현실적인 타협은 있을 수 없다. 그는 물론 이것을 인간적인,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인간의 권리라고 말하는 것이다. 작가는 이 죽음을 통해 인간과 사회의 근본적 대립을 독자들에게 보여준다. 괴테는 문학을 통해 인간성의 회복을 이루고자 한 것이다.
사실 괴테의 이러한 해결방식에는 많은 논쟁이 있을 수 있다. 사회와 인간의 대립에 있어 비인간화의 원인이 사회적인 것에 있음을 알고서도, 결국 근본적으로는 인간의 문제다라고 하는 것은 관념성과 이상주의 경향을 보여준다. 비인간성의 원인을 사회속에서 파악한 리얼리즘 정신, 그리고 인간적인 가치를 찾고자 하는 휴머니즘 정신 등도 살필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 요한볼프강폰괴테, 서유리역 / 젊은 베를테르의 슬픔 / 책만드는집 / 2006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자살 문제
괴테의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에를 읽고...
자살에 대한 생각
뮤지컬 미녀와 야수
열하일기 독후감
라클로 위험한관계에 나타난 18세기 프랑스 사회
[독후감]죽음의 집의 기록(도스토예프스키)
괴테문학의 한국적 수용
[마케팅조사]프리미엄 초콜렛 '드림카카오' 마케팅전략 분석(리포트)
2008년 청소년에게 영향을 준 10대 사건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학)의 특성과 시대적 배경, 낭만주의문학(낭만파문학)의 흐름과 전개, ...
[독후감]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_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저
독일 연극
문학일반론 - 문예 사조(文藝思潮 - 문예 사조의 근원과 개념, 문예 사조의 전개와 그 특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