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이후의 수출전망 및 보건 산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월드컵 이후의 수출전망 및 보건 산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상반기 수출동향 및 하반기 전망
2. 해외시장에서의 우리상품의 경쟁력 분석
3. 월드컵의 경제적 효과
4. 월드컵 이후의 과제
5. 보건산업 분야 수출확대 방안

본문내용


동등
0%-
20%
높음
20-
30%
높음
30%
이상
높음
기계
미국대비
중동
일본대비
미국,
일본,
인니
중국,
중동,
화란
중국대비
일본
중국
화란
인니
대만대비
미국
자동차
일본대비
미국,
중동
영국,
캐나다
반도체
일본대비
홍콩,
인니
일본,
중국
대만대비
일본,
인니
미국
철강
일본대비
인니
일본,
중국,
홍콩,
중동,
중국대비
중국
홍콩
대만대비
대만
캐나다대비
미국
산업용
전자
일본대비
인니
일본,
중국,
대만,
중동
대만
중국대비
일본,
중국,
인니
대만대비
인니,
중동
미국
가정용
전자
일본대비
일본
미국,
인니
중동
중국대비
일본,
중국,
인니
미국,
중동
석유화학
일본대비
일본,
중국,
홍콩,
중동
중국대비
일본
중국
홍콩
섬유
중국대비
중동
인니대비
중동
나. 바이어/소비자의 우리제품 품질수준에 대한 인식
(선진국 대비)
□ 해외 바이어나 소비자가 인식하는 우리나라 수출상품의 품질수준은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 제품과 비교하면 어느 시장에서든지 대체로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
- 크게 낮다는 인식은 거의 없었음
- 산업별로는 반도체가 선진국과 “동등” 또는 “다소 높음”으로 나타 났으며 철강제품에 대한 인식도 선진국 수준. 반면 기계제품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개도국 대비)
□ 개도국 제품과 비교해서는 대부분의 시장에서 “다소 높음”이나 “크게 높음”으로 나타남
(종합)
□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바이어가 인식하는 우리제품의 품질수준은 선진국과 개도국의 중간단계에 있으나 선진국쪽에 훨씬 가까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남
[해외시장에서 경쟁국제품 대비 한국제품 품질]
품목
경쟁국
시장별 우리제품 품질에 대한 인식
크게
낮음
다소
낮음
동등
다소
높음
크게
높음
기계
(범용)
일본대비
인니
미국, 일본,
중국, 중동
화란
중국대비
미국, 일본,
중국, 중동
화란, 인니
대만대비
자동차
일본대비
영국,인니,
중동
미국, 캐나다
반도체
일본대비
미국, 일본,
중국
홍콩
중국대비
중국, 홍콩
대만대비
미국, 일본
철강
일본대비
중동
미국, 일본,
중국, 홍콩
중국대비
중국
홍콩,
대만대비
일본,
산업용
전자
일본대비
일본, 중국,
중동, 대만
중국대비
중국
대만대비
미국, 중동,
대만
가정용
전자
일본대비
미국, 일본,
중동
중국
중국,
중국대비
미국, 중국
중동
석유
화학
일본대비
일본, 중국,
홍콩, 중동
중국대비
일본, 중국
홍콩, 중동
섬유
중국대비
중동
인니대비
중동
3. 월드컵의 경제적 효과
□ 국가 브랜드 홍보 효과
ㅇ CNN, CBS 등 미국에서의 1경기 중계 홍보효과 900만$로, 전세계 환산시 엄청난 금액
ㅇ 한국에 대한 인지도 상승: 5월 63% -> 7월 %
□ 기업 이미지 제고 효과
ㅇ국가이미지제고는 레버리지 효과로 기업 이미지 제고로 이어져
- 기업 인지도 1% 제고위한 비용 1억$ 추산
□ 국민들의 자신감
ㅇ우리 축구팀의 4강 진입으로 국민들 사이에 할 수 있다는 자신감 충만
4. 월드컵 이후의 과제
□ 월드컵 효과를 경제 효과로 연계
ㅇ수출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 필요
- 해외 마케팅 활동 강화
ㅇ 월드컵 이미지의 지속 및 확산
- 제품 경쟁력 강화 (수출상품 일류화)
- 첨단 기술 분야 상품 개발
- 전통산업분야의 신기술 접목
- 새로운 디자인 개발 등
ㅇ기업 브랜드 홍보 강화
- 국가브랜드 -> 제품 가치 -> 기업 브랜드로 선순환
□ 국민적 에너지의 생산적 활용
ㅇ월드컵 기간 나타난 국민적 에너지를 업무와 생활에 확산
5. 보건산업 분야 수출 확대 방안
가. 주요 품목의 수출입 현황
MTI 2262 : 의약품
(단위 : US$천, %)
2000
2001
2002. 1-5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수 출
336,741
12.7
314,030
-6.7
127,555
5.8
수 입
898,116
14.1
1,075,277
19.7
489,119
17.5
무역수지
561,375
206,503
361,564
자료원: KOTIS
ㅇMTI 950 : 의료 위생용품
(단위: US$천,%)
2000
2001
2002. 1-5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수 출
25,324
28.4
28,160
11.2
13,535
28.5
수 입
51,093
22.4
69,958
36.9
35,833
29.4
무역수지
25,769
41,798
22,298
자료원: KOTIS
ㅇMTI 8147 : 의료용 전자기기
(단위: US$천,%)
2000
2001
2002. 1-5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수 출
233,609
52.5
240,393
2.9
79,067
-19.9
수 입
330,439
46.4
370,515
12.1
157,625
9.3
무역수지
96,830
130,122
78,558
자료원: KOTIS
ㅇMTI 8146 : X선 및 방사선 기기
(단위:US$천,%)
2000
2001
2002. 1-5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수 출
18,339
53.5
28,884
57.5
9,640
-20.0
수 입
166,379
46.4
137,348
-17.4
62,955
20.6
무역수지
148,040
108,464
53,315
자료원: KOTIS
나. 수출상의 문제점
□ 의약품
ㅇ국내 의약업계는 수입 원료를 기반으로 한 복제 의약품의 생산 혹은 유명 외국의약업체와의 라이선스 계약을 통한 생산 및 내수 판매에 치중
ㅇ수출을 위한 독자 신약 개발 노력 미흡
- 해외 임상 실험 등 대규모 투자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개발 중간 단계의 물질 수출에 의존
- 연구개발 예산 및 인력 또한 선진국에 비해 절대 열위
- 좁은 내수시장으로 신약 개발 투자 회수 가능성 희박
□ 의료 위생용품
ㅇ 대부분의 제조업체가 영세 규모
- 경쟁력 저하 및 마케팅 능력 부족
ㅇ 중국 등 개도국산의 추격
□ 의료기기
ㅇ 해외정보 및 마케팅 능력 부족
ㅇ 브랜드 인지도 열위
다. 수출확대 방안
ㅇ타겟 시장의 설정
ㅇ현지의 유능한 에이젠트 물색
- 공동의 마케팅 노력
ㅇ전시회 등 참여, 설명회 개최
ㅇ정부 입찰 참여 방안 모색
- IBRD, UNDP 등 차관 프로젝트
ㅇA/S 망 구축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1.30
  • 저작시기200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