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적정 현금보유(optimal cash level)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2.8 84.0 75.6 50.4 42.0
(매출액의 14%)
임대료의 지급 28.0 28.0 28.0 28.0 28.0 28.0
법인세의 납부 54.0
부가가치세의 납부 67.0
기타비용의 지급 23.8 17.2 41.0 29.0 14.0 13.0
기계장치의 취득 60.0
소계(B) 370.0 430.0 627.0 523.6 308.4 263.0
순현금흐름(A-B) △5.4 △3.0 △111.8 53.3 224.9 126.4
기초의 현금 24.0 18.6 15.6 △102.6 △49.3 175.6
기말의 현금 18.6 15.6 △102.6 △49.3 175.6 302.0
최소현금보유금액 15.0 15.0 15.0 15.0 15.0 15.0
여유(부족) 현금 3.6 0.6 △117.6 △64.3 160.6 287.0
현금예산을 작성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영업활동으로부터 창출되는 순현금흐름과 기초의 현금을 더한 기말의 현금이 기업이 설정한 최소보유액과 비교하는 것이다. 기말의 현금이 최소 현금보유액보다 많으면 그 만큼은 여유현금이 되고 적으면 부족현금이 된다. 매월 여유현금만이 존재한다면 경영자는 매우 행복하겠지만 ‘간단한 기업’의 경우에는 8월과 9월에 현금이 상당히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10월과 11월에는 상당한 여유현금을 보유하게 된다. 이 여유현금은 우선 9월과 10월에 차입한 자금을 상환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최소 현금보유액을 초과하는 현금은 보다 수익성이 높은 자산에 투자하거나 이자율이 높은 차입금을 상환하는데 사용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2) 현금순환주기를 이용한 적정 현금보유 수준의 결정
운전자본정책은 기업의 유동자산 각 계정의 적정 보유수준 및 각 유동자산에 투자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가에 대한 기업의 기본적인 정책이다. 운전자본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은 운전자본을 구성하는 각 계정의 적정 수준(보유금액)을 결정하는 것이다. 각 계정의 적정 보유금액(잔액)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적정보유금액(잔액) = 일평균활동금액(일평균 잔액)×평균활동기간
가령 매출채권의 적정 보유금액을 계산한다면 일평균신용매출액에 매출채권회수기간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재고자산의 적정 보유금액을 계산한다면 일평균매출원가에 재고자산보유기간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한편 현금의 적정보유수준에 대해서는 기업의 현금지출액이 평균적으로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일평균현금지출액에 현금순환주기를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현금순환주기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매입한 원재료등의 매입대금 지급일로부터 제품의 판매에 따른 매출채권을 회수하기까지 기간이다. 즉, 현금순환주기는 투자한 현금이 영업활동을 통하여 다시 회수되기까지의 기간이며 이 기간에 일평균현금 지출액을 곱하여 이것이 곧 적정 현금보유수준이 된다. 일평균 현금지출액은 기업이 영업활동와 관련한 1년간의 현금 지급액을 365로 나누어 계산한다. 적정현금보유 수준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적정 현금보유 수준 = 일평균 현금지출액×현금순환주기
(일평균현금지출액 = 매출원가+판매비와 관리비+법인세 납부액-감가상각비등/365)
기업이 영업활동과 관련하여 1년간 지출한 현금은 재료비, 노무비, 경비 지급액과 판매비와 관리비 지급액 및 법인세 납부액 등이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현금지출액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실무적으로는 손익계산서 상의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및 법인세 납부액의 합계에서 감가상각비와 같은 비현금비용을 차감한 것을 현금지출액으로 보고 일평균현금지출액을 계산할 수 있다.
적정현금보유 수준은 현금순환주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현금순환주기가 긴 업종에 속한 기업일수록 보유하는 현금은 많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와 반대인 경우도 있는데 현금순환주기가 긴 업종의 경우 오히려 유동자산에서 현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고, 적정 현금보유수준과 실제 현금보유액간의 차이가 큰 것이다.
<삼성전자 2006년도 재무제표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재고자산 보유기간 = 기말재고자산 / 일평균매출원가
27.742일 =32,194.7억원/(423,597.5억원/365일)
매출채권회수기간= 기말 매출채권/일평균 매출액
11.403일=18,424.3억원/(589,727.6억원/365)
매입채무지급기간= 기말 매입채무/일평균 매출원가
16.338일= 18,961억원/(423,597.5억원/365일)
현금순환주기 = 재고자산 보유기간 +매출채권회수기간-매입채무지급기간
약 23일 = 27.742일 + 11.403일 - 16.338일
일평균 현금지출액 =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법인세 납부액-영업외비용)/365일
1,430억원 = 423,597.5억원 +96,790.7억원 +12,901.1억원 -11,271.5억원/365일
적정현금보유수준 = 일평균현금지출액 * 현금순환주기
32,890억원 = 1,430억원 * 23일
결론
우리조는 사례 발표 준비를 하면서 피가 제대로 순환하지 않는 사람이 정상적으로 살아 갈 수 없듯이 현금이 제대로 순환되지 않는 기업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는 점을 배웠다. 또한 국내의 많은 기업이 대내외의 경제적 불확실성에 대비해 상당기간 현금보유중심의 전략을 운용하면서 그에 따른 기회비용을 많이 발생시킨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적정한 현금보유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기업현금관리의 핵심이라고 생각이 된다.
그러므로 기업은 항상 적정수준의 현금만을 보유하여야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나 실무적으로는 적정수준의 현금보유액을 결정하기 어려우므로 기업의 현금예산과 현금순환주기를 고려하여 최저현금보유량과 최대현금보유량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참고문헌
김진봉, 장원기 『현대재무관리』, 1997
이성엽 『가치창조경영을 위한 신재무전략』, 2000
전삼진 『재무관리 이렇게 하면 된다』, 1998
한국증권연구원, “기업 현금성 자산 보유와 기업 가치에 대한 연구”, 2006
신용보증기금, “자금조달 및 운용방법”, 2001
삼성경제연구소, “기업현금보유수준”, 2005
LG주간경제, “국내기업의 현금보유 과도한가”, 2006.12

키워드

기업,   현금,   합병
  • 가격1,6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8.14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51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