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전자출판의 정의와 역사
1-1. 전자 출판의 정의
1-2. 전자 출판의 역사
2.전자 출판의 유형
2-1. 종이책 전자출판
2-2. 비종이책 전자출판
2-3. 전자출판의 장점
2-4. 전자출판의 단점
3.e-book
3-1.e-book이란?
3-2. e-book의 장점들
3-3. e-book의 단점
3-4. e-book 전용단말기의 역사
3-5. 우리나라 전자책의 현황
#e-paper14
4.전자출판물 인증제도
5.세계의 전자출판
5-1. 미국 사례
5-2. 유럽 사례
5-3. 일본 사례
참고자료
1.전자출판의 정의와 역사
1-1. 전자 출판의 정의
1-2. 전자 출판의 역사
2.전자 출판의 유형
2-1. 종이책 전자출판
2-2. 비종이책 전자출판
2-3. 전자출판의 장점
2-4. 전자출판의 단점
3.e-book
3-1.e-book이란?
3-2. e-book의 장점들
3-3. e-book의 단점
3-4. e-book 전용단말기의 역사
3-5. 우리나라 전자책의 현황
#e-paper14
4.전자출판물 인증제도
5.세계의 전자출판
5-1. 미국 사례
5-2. 유럽 사례
5-3. 일본 사례
참고자료
본문내용
텍스트로 간주한다. 단, 단독의 동영상 파일은 심의대상에서 제외한다.
제9조 (심의/결정)
심의/결정은 제품 1종당 3인의 인증위원을 정수로 하여 2인 이상의 찬성으로 한다. 만약 3인의 인증위원 중 2인 이상 인증 불가 의사를 표시하면, 새로 3인의 위원을 위촉하여 재심한다. 재심에서 2인이라도 불가 의사가 있으면 인증 불가를 최종 확정한다. 최종적으로 인증 불가를 받은 제품은 인증 불가 사유가 수정되지 않으면 인증 신청을 할 수 없다.
제10조(인증 심의기간)
특별한 사유가 발생하지 않는 한 인증 심의기간은 인증신청서 접수 및 인증심의료 입금 확인 후 최장 15일 이내로 한다.
제11조(인증 심의료)
인증 의뢰 제품의 1종당 심의료는 인증센터 운영위원회에서 정한다.
제12조(표시 의무)
인증서를 교부받은 발행사는 반드시 제품에 전자출판물 인증(EP) 마크 및 디지털식별번호(ECN, DOI 등), ISBN은 바코드를 부착하여 시판하여야 한다. 인증 마크, 디지털식별번호 및 ISBN 바코드의 부착 위치는 별지 제6호 서식에 따른다. 단, ISBN은 디지털식별자번호로 대치할 수 있다.
제13조(제출 의무)
유형물인 경우 인증을 받은 발행사는 인증마크를 부착하여 완성된 전자출판물 2부를 제품 제작일 15일 이내로 인증센터에 반드시 제출해야하며 온라인 전자출판물인 경우 인증된 최종 결과물의 파일 1부를 인증센터에 제출 또는 전송한다.
제14조(인증목록의 작성/배포)
인증센터 사무국은 인증서를 배부한 제품의 목록을 일정 기간을 두고 회사별, 주제 분야별로 작성하여 기간을 명시하여 공표해야 한다.
제15조(인증후 관리)
인증위원회는 인증 제품의 유통실태를 수시로 조사하여 인증 제품의 악용 여부 및 미인증 제품의 인증 마크 무단 사용 등을 파악하여 대응조치를 한다.
제16조(대응조치)
① 인증된 전자출판물의 악용 여부 및 미인증 제품의 인증 마크 무단 사용시 문화관광부, 재정경제부에 신고하며 운영위원회에서 제재조치를 결정한다.
② 인증된 전자출판물일지라도 전송권계약 및 저작권법에 관련한 사실이 허위임이 드러났을 경우 전자출판물 인증을 무효처리하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인증 신청한 출판사에게 있다.
제17조(규정의 개정)
이 규정의 개정은 한국전자출판협회 인증센터 운영위원회 2/3 이상의 찬성으로 제기하고 이사회 승인을 받아 개정한다.
[부 칙]
1. 이 규정은 2003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2. 2004년 8월 개정안은 2004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5. 세계의 전자출판KCTP, http://www.kctpi.re.kr/
5-1.미국 사례
세계 1위의 출판대국인 미국 출판산업의 특징은 대부분의 대형 출판사가 복합미디어 그룹의 자회사이며, 정부의 출판산업에 대한 특별한 정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만, 국가적인 규모에서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공공 프로젝트나 신기술의 개발과 활용 등의 경우 정부 관련기관의 주도 또는 협력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전자출판의 발전은 패키지형의 단계를 거쳐 온라인 전자출판, 특히 e-북의 단계에 본격적으로 접어들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e-북이 주도적인 출판 패턴으로 자리잡는 데 단말기 가격, 해상도, 컨텐츠 등 많은 장애물이 존재한다. 이외에도 아직은 완벽하지 않은 불법복제 방지문제, 이로 인한 콘텐츠 보유 출판사들의 비협조, e-북 기술의 표준화 및 콘텐츠 간의 호환성 문제 등이 e-북의 활성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한편, 전자출판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 회사와 출판·잡지사간의 전략적 제휴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5-2. 유럽 사례
유럽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정부 차원에서 출판산업에 대한 특별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지 않다. 다만, 국가적인 규모에서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공공 프로젝트나 신기술의 개발과 활용 등은 정부 관련기관의 주도 혹은 협력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영국은 93년에 이미 전자도서관 프로그램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국립도서관도 90년부터 파리 동쪽의 톨비악에 건립된 새 도서관을 디지털화하는 '톨비악 프로젝트'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프랑스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프랑스 에디션(France Edition)'이라는 국제적 홍보기구를 운영하여 프랑스 출판업계를 도와주고 있다. 독일의 경우, 전자출판의 제도적 정착을 위해 국가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에는 전자출판에 대한 연구영역 지원, 모든 도서관망을 하나의 정보망으로 형성시키는 출판정보화 사업 등이 포함된다.
5-3. 일본 사례
일본 출판계는 1997년도 이후의 극심한 불황에서 빠져 나오기 위한 출구로 인터넷을 활용한 웹비즈니스를 모색하고 있다. 인터넷 판매 등을 통한 판매 경로 다양화의 일환으로 출판사의 홈페이지 직판, 도매상의 인터넷을 이용한 서점·편의점 경유 또는 고객 직송, 소매 서점들의 개별 사이트 판매 및 서점조합 등의 독자적인 직판 사이트 개설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출판사 → 유통회사 → 서점'이라는 유통경로는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해 출판 컨텐츠를 유·무가로 서비스하는 양상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일본은 미국과 달리 패키지 전자출판물이 활성화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온라인 전자출판의 경우, 출판사는 물론 서점, 인쇄회사, 정보통신회사 등의 적극적인 참여로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온라인 출판과 기존 종이출판과의 공존관계가 상당 기간 이어질 전망이지만, 네티즌의 비약적 증가에 비례하여 출판시장에 새로운 지형도를 그려나갈 것으로 일본 출판계는 기대하고 있다.
참고 자료
- 김경미 「모바일 전자책 서비스」, 국회도서관, 디지털 도서관 통권 36호, 2004.
- 이용준, e-Book 콘텐츠 수익구조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통권 제48호, 한국출판학회, 2005.6.15. pp275~307
- 김병익, 무서운, 멋진 신세계-새로운 세기의 풍경들,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9, p.52.
- 바로북 홈페이지 (www.barobook.com)
제9조 (심의/결정)
심의/결정은 제품 1종당 3인의 인증위원을 정수로 하여 2인 이상의 찬성으로 한다. 만약 3인의 인증위원 중 2인 이상 인증 불가 의사를 표시하면, 새로 3인의 위원을 위촉하여 재심한다. 재심에서 2인이라도 불가 의사가 있으면 인증 불가를 최종 확정한다. 최종적으로 인증 불가를 받은 제품은 인증 불가 사유가 수정되지 않으면 인증 신청을 할 수 없다.
제10조(인증 심의기간)
특별한 사유가 발생하지 않는 한 인증 심의기간은 인증신청서 접수 및 인증심의료 입금 확인 후 최장 15일 이내로 한다.
제11조(인증 심의료)
인증 의뢰 제품의 1종당 심의료는 인증센터 운영위원회에서 정한다.
제12조(표시 의무)
인증서를 교부받은 발행사는 반드시 제품에 전자출판물 인증(EP) 마크 및 디지털식별번호(ECN, DOI 등), ISBN은 바코드를 부착하여 시판하여야 한다. 인증 마크, 디지털식별번호 및 ISBN 바코드의 부착 위치는 별지 제6호 서식에 따른다. 단, ISBN은 디지털식별자번호로 대치할 수 있다.
제13조(제출 의무)
유형물인 경우 인증을 받은 발행사는 인증마크를 부착하여 완성된 전자출판물 2부를 제품 제작일 15일 이내로 인증센터에 반드시 제출해야하며 온라인 전자출판물인 경우 인증된 최종 결과물의 파일 1부를 인증센터에 제출 또는 전송한다.
제14조(인증목록의 작성/배포)
인증센터 사무국은 인증서를 배부한 제품의 목록을 일정 기간을 두고 회사별, 주제 분야별로 작성하여 기간을 명시하여 공표해야 한다.
제15조(인증후 관리)
인증위원회는 인증 제품의 유통실태를 수시로 조사하여 인증 제품의 악용 여부 및 미인증 제품의 인증 마크 무단 사용 등을 파악하여 대응조치를 한다.
제16조(대응조치)
① 인증된 전자출판물의 악용 여부 및 미인증 제품의 인증 마크 무단 사용시 문화관광부, 재정경제부에 신고하며 운영위원회에서 제재조치를 결정한다.
② 인증된 전자출판물일지라도 전송권계약 및 저작권법에 관련한 사실이 허위임이 드러났을 경우 전자출판물 인증을 무효처리하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인증 신청한 출판사에게 있다.
제17조(규정의 개정)
이 규정의 개정은 한국전자출판협회 인증센터 운영위원회 2/3 이상의 찬성으로 제기하고 이사회 승인을 받아 개정한다.
[부 칙]
1. 이 규정은 2003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2. 2004년 8월 개정안은 2004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5. 세계의 전자출판KCTP, http://www.kctpi.re.kr/
5-1.미국 사례
세계 1위의 출판대국인 미국 출판산업의 특징은 대부분의 대형 출판사가 복합미디어 그룹의 자회사이며, 정부의 출판산업에 대한 특별한 정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만, 국가적인 규모에서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공공 프로젝트나 신기술의 개발과 활용 등의 경우 정부 관련기관의 주도 또는 협력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전자출판의 발전은 패키지형의 단계를 거쳐 온라인 전자출판, 특히 e-북의 단계에 본격적으로 접어들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e-북이 주도적인 출판 패턴으로 자리잡는 데 단말기 가격, 해상도, 컨텐츠 등 많은 장애물이 존재한다. 이외에도 아직은 완벽하지 않은 불법복제 방지문제, 이로 인한 콘텐츠 보유 출판사들의 비협조, e-북 기술의 표준화 및 콘텐츠 간의 호환성 문제 등이 e-북의 활성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한편, 전자출판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 회사와 출판·잡지사간의 전략적 제휴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5-2. 유럽 사례
유럽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정부 차원에서 출판산업에 대한 특별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지 않다. 다만, 국가적인 규모에서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공공 프로젝트나 신기술의 개발과 활용 등은 정부 관련기관의 주도 혹은 협력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영국은 93년에 이미 전자도서관 프로그램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국립도서관도 90년부터 파리 동쪽의 톨비악에 건립된 새 도서관을 디지털화하는 '톨비악 프로젝트'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프랑스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프랑스 에디션(France Edition)'이라는 국제적 홍보기구를 운영하여 프랑스 출판업계를 도와주고 있다. 독일의 경우, 전자출판의 제도적 정착을 위해 국가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정부 차원의 지원정책에는 전자출판에 대한 연구영역 지원, 모든 도서관망을 하나의 정보망으로 형성시키는 출판정보화 사업 등이 포함된다.
5-3. 일본 사례
일본 출판계는 1997년도 이후의 극심한 불황에서 빠져 나오기 위한 출구로 인터넷을 활용한 웹비즈니스를 모색하고 있다. 인터넷 판매 등을 통한 판매 경로 다양화의 일환으로 출판사의 홈페이지 직판, 도매상의 인터넷을 이용한 서점·편의점 경유 또는 고객 직송, 소매 서점들의 개별 사이트 판매 및 서점조합 등의 독자적인 직판 사이트 개설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출판사 → 유통회사 → 서점'이라는 유통경로는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해 출판 컨텐츠를 유·무가로 서비스하는 양상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일본은 미국과 달리 패키지 전자출판물이 활성화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온라인 전자출판의 경우, 출판사는 물론 서점, 인쇄회사, 정보통신회사 등의 적극적인 참여로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온라인 출판과 기존 종이출판과의 공존관계가 상당 기간 이어질 전망이지만, 네티즌의 비약적 증가에 비례하여 출판시장에 새로운 지형도를 그려나갈 것으로 일본 출판계는 기대하고 있다.
참고 자료
- 김경미 「모바일 전자책 서비스」, 국회도서관, 디지털 도서관 통권 36호, 2004.
- 이용준, e-Book 콘텐츠 수익구조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통권 제48호, 한국출판학회, 2005.6.15. pp275~307
- 김병익, 무서운, 멋진 신세계-새로운 세기의 풍경들,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9, p.52.
- 바로북 홈페이지 (www.barobook.com)
추천자료
조직의 제품혁신에 대한 조사 및 사례분석
테마파크(놀이공원)의 정의,역사,배경,현황 및 사례분석
M&A 정의 및 요약 정리 (사례분석 : 외환은행과 론스타)
[사회복지론A+]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필요성과 유형과 단체분석 및 사례분석
SNS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정의및 우리생활에미치는영향,기업들의활용 성공사례(카카오톡,스타...
(A+자료) 브랜드 마케팅의 정의 및 특징과 성공적인 브랜드 마케팅 사례분석, 경영전략, 마케...
빙그레 CRM(고객관계관리) 성공사례분석 빙그레와 CRM 문제점및 해결방안 - 기업소개, CRM ...
국제경영의 삼성전자, 미국진출 그 성공여부는? - 삼성전자 스마트폰 국제경영 사례분석 (삼...
대한항공 마케팅 성공사례분석과 대한항공 기업개요와 SWOT분석및 대한항공 서비스전략분석
대한항공 기업분석과 대한항공 경영전략과 전략적제휴 사례분석및 대한항공 미래전략제안 PPT
대한항공 기업분석과 환경분석및 대한항공 조직분석및 조직구조 개편사례분석과 대한항공 향...
무상급식 개념,유형및 무상급식 찬성,반대의견 정리와 해외사례및 무상급식에 대한 나의의견
[대한항공 사례연구] 대한항공 마케팅 SWOT,STP,4P사례분석및 대한항공 미래전략제언 PPT
독거노인 정의,발생원인분석* 독거노인 실태,사례분석* 독거노인 문제점과 해결방안제언및 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