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례, 다도] 일본의 차 문화와 역사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례, 다도] 일본의 차 문화와 역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一. 일본 차의 역사
1. 일본 차의 기원
2. 중요 인물 중심의 약사(略史)

二. 차의 종류

三. 다회의 양식
1. 건물 양식
2. 가구와 다구
3. 양식과 순서
4. 다회 양식의 근본 정신

五. 일본차의 현재모습
1. 차 문화 보호
2. 차 생산 동향
3. 차 소비량
4. 우리와 비교

본문내용

1. 일본 차의 역사
2) 중요 인물 중심의 약사(略史) - 센리큐(千利休, 천리휴, 1522~1592)
- 모모야마시대 사카이의 상인 집안 출신.
- 와비차의 경지를 구현, 집대성. 일본의 다성(茶聖).
- 차선일미(茶禪一味) 형식보다 차를 배우고 행하는 이의 마음을 더 중요시
두드러지지 않으면서 소박한 차 도구와의 조화
-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갈등으로 센리큐는 할복자살
→ 이후 자손들이 세 유파를 형성 오모테센케(表千家, 표천가)
우라센케(裏千家, 리천가) 무샤노코지센케(武子小路千家, 무자소로천가)
* 리큐와 이도다완(井戶茶碗, 정호다완) 리큐 이전은 대체 당물 중심의 다회였고
송나라의 천목다완(天目茶碗)이 다인의 비장품이었다. 그러나 주코 이후 ‘와비차가’
지향되었고 센리큐는 조선 찻사발의 아름다움을 발견해낸다. 이후 ‘이도다완’,
즉 조선의 분청사기는 다기의 극상품으로 인식된다.

키워드

  • 가격2,900
  • 페이지수54페이지
  • 등록일2007.08.17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25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