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술로 좋은 작품 들이 많이 나온다. 이러한 것을 우리는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좀 더 뛰어난 선진 기술을 배우고 우리 것으로 만들었을 때 우리는 좀 더 강한 문화가 형성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을 외면하거나 무조건 수용하기 보다는 우리 것으로 확실히 익혀서 만들어야한다. 그리고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일본의 문화를 알면 현재 우리가 일본과 대립하고 있는 문제들을 좀 더 손쉽게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일본의 나쁜 문화를 따르고 있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간혹 포르노나 안 좋은 것들이 좋은 것들을 따라 몰래 끼어들어 오고 있다. 이런 것들을 간혹 아직 확실한 정체성이 서지 않은 청소년들이 보고서는 잘못된 가치나 이념을 배울 수가 있다. 이러한 것은 정부적 차원에서 확실한 규제를 시켜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교육을 시켜야한다고 본다. 무조건 배척하는 건 좋지 않다. 흥선 대원군이 집권을 잡았을 당시에도 무조건 서양문물 등 외래의 것을 배척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우리나라의 발전이 뒤쳐지게 되었다. 나는 우리가 뚜렷한 정체성을 가지고 일본문화를 대한다면 개방이 나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앞으로는 더 나아가 일본문화 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를 대할 때도 무조건 배척하기보다는 우리 스스로 선별적으로 선택해 배워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출처
http://kusa.circle.hanyang.ac.kr/abouthy/일본문화개방.hwp
http://www.kyoungil.ac.kr
http://www.advertising.co.kr/data/sem/japan98/japan03.htm
▶출처
http://kusa.circle.hanyang.ac.kr/abouthy/일본문화개방.hwp
http://www.kyoungil.ac.kr
http://www.advertising.co.kr/data/sem/japan98/japan03.htm
추천자료
탈대중문화시대의 청소년 문화
저급한 대중문화와 가벼운 대중
대중문화와 문화적 기본권 신장
고급문화와 대중문화는 구별되어야 하는가?
[대중문화 분석] 한국 대중가요에 대한 분석 ( 시대적 흐름, 가사의 의미, 생산, 유통과정 등...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포스트모더니즘과 대중문화, 포스트모더니즘...
[상품미학][상품미학의 의미][상품미학과 가상성][상품미학과 대중문화][상품미학에 대한 비...
대중문화의 상업성과 문화의 효율성
대중문화 정의, 배경, 특징, 성격, 영향, 정보사회 도래, 문화적 변화, 미래 정보 사회, 변화...
[흐름][유통채널][대중문화][서양패션][환경담론][범죄사회학이론]유통채널의 흐름, 대중문화...
[현대의 서양문화 C형]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의 서양...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D형 대중문화의 이해 04, 대중문화와 지배 이데올로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