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발성 난청case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돌발성 난청c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단명은? (좌측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
둘째날 21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 진단 하에 환자는 입원하여 치료를 받기로 하였다. 입원해서 시행한 일반혈액 검사, 일반 화학 검사, 면역혈청검사, 흉부 X선 검사, 심전도 검사, 어음판별력 검사, 전위유발 역치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혈액 검사
aPTT 33.529 ~ 45sec
PT INR1.040.8 ~ 1.2 INR
PT93%80 ~ 120%
WBC4.464.0 ~ 10.0 X 103/ul
RBC 4.924.2 ~ 6.3 X 107/ul
Hb 15.113 ~ 17 g/이
Hct43.539 ~ 52 %
PLT263 130 ~ 400 X 103/ul
일반 화학 검사
Glucose 8470 110 mg/dL
BUN 14.9525 mg/dL
Creatine1.10.51.4 mg/dL
Total albumin7.76.08.0 g/dL
AST(GOT) 1613.0 34.0 IU/L
ALT(GPT) 175.0 46.0 IU/L
면역혈청검사
HBsAg()
HBc Ab(+)
CMV Ab()
VDRL()
TFT : WNL
흉부 X선 검사 및 심전도
흉부 X선 검사:Mild cardiomegaly
심전도:정상
어음 판별력 검사
전위유발 역치 검사
Question
1. 이 환자를 어떻게 치료할 것이며 치료시 주의 할 점은?
(스테로이드를 근간으로 항염증제제와 열핵 순환 개선제 등을 사용하여 치료하며심장비대가 있으므로 스테로이드 사용 전 고혈압에 대해 다시한번 check 하고 heparin 사용에 따라 혈액응고 시간을 측정해 가면서 치료한다.)
2. 혈액검사, 어음 판별력 검사, 전위유발 역치 검사를 보고 돌발성 감각 신경성
난청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검사를 말하시오.
(측두 전산화 단층 촬영)
3. 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해 보시오.
(빠른 치료시기, 난청의 type, 난청의 정도, 환자의 연령등을 고려할 때 양호할
가능성이 높음)
둘째날 22
환자는 내원 다음날부터 prednisolone 60mg/day 을 5일간 PO로 복용하고 tapering 하면서 총 10일간 복용하였고, Zovirax 750mg/day 을 Intravenous로 5일간 투여하였으며 입원 후 6일째 퇴원하였다.
입원 중 측두 전산화 단층촬영을 실시하였으며 환자는 입원 3일째부터 주관적인 청력 호전과 이명의 감소를 느꼈다. 환자는 퇴원 후 2주째에 외래 내원하여 청력 검사를 다시 시행하였다.
Temporal MRI Images
T1 gadolinium enhanced axial view T2 weighted axial view
T1 gadolinium enhanced coronal view
순음 청력 검사 <퇴원 후 2주째 시행>
어음 판별력 검사 <퇴원후 2주째 시행>
Question
1. 이 환자의 진단명은? (좌측 청신경 종양)
2. 향후 이 환자의 치료는?
(1. 정기적인 추적관찰, 2. 수술적 제거, 3. 감마 나이프)
둘째날 23
치료경과
환자는 청력은 호전된 상태로 입원 기간 중 검사중에 발견된 좌측 청신경 종양에 대해서 이비인후과에 입원해서 중두개와 접근을 통한 종양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Question
1. 청신경 종양의 수술방법을 열거하고 이 환자를 중두개와 접근법을 통해서 수술한 이유를 말하시오. (중두개와 접근법, 경미로 접근법, 후 S자 정맥동 접근법등이 있으며 환자의 나이가 젊고 청력이 남아 있으므로 중두개와 접근법을 이용)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
정의: 12시간에서 3일 이내에 일어난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난청의 정도는 인접된 세 주파수 이상에서 30dB 이상
발생률 : 일년에 520/10만명,
우리나라의 경우 일년에 600700 명의 환자가 발생한다고 함
Etiology
infectious cause : viral infection
내이의 순환 장애설 (circulatory cause)
내이의 파열로 대표되는 traumatic causes
Autoimmune reaction
Acoustic tumor
Natural history and prognosis
모든 연령층에서 발병할 수 있으나 50대에서 가장 발병률이 높다
남녀의 차이는 없다
난청과 함께 이명을 흔히 경험하여 vestibular symptom 동반하는 경우는 40% 정도
양측귀의 돌발성 난청은 매우 드물다(<2%)
예후 인자
초기의 심한 청력손실
청력도형 (하강형이 상승형이나 U형보다 불량)
현훈의 동반
환자 연령 (15세 이하, 60세이상)
의 경우 예후가 불량하다 할 수 있다.
예후 예측 인자
발병부터 치료 시작까지의 기간
어음 명료도
고음역에서의 청력 역치
진단
자세한 병력 청취 및 청력 검사가 기본
확진할 수 있는 검사 법은 없음
청신경종의 10% 에서 돌발성 난청이 나타난다고 함
돌발성 난청환자의 10% (0.830%) 청신경이나 CPA 병변이 보일수 있다.
치료
infection 또는 immune reaction etiology 에 근거한
antiinflammatory 또는 immunosuppressive agent
P.O. steroid (prednislone 60mg /day for 5days)
Intratymanic steroid injection
Prostaglandin
내이 혈류의 circulatory disturbance etiology 에 근거한
vasodilator 또는 volume expander
Vasodiator : Carbogen, papaveine, Nicotinic acid, Pentoxifyline Bupeine(nylidrin) Naftridrofuyl(nafronyl) Thymoxamine, prostacylin
Stellate ganglion block
기타
diuretics : Hydrochlorothiazide
항응고제 : heparin, coumardin
Antiviral agent : Acyclovir, interferon alpha
이중 가잘 널리 사용되며 그 결과가 인정되는 것이 Steroid 임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8.23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5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