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Speech)
☞ 언어를 통해 생각, 느낌이 전달된다.
말의 양, 속도, 질, 자발성, 목소리 크기, 얼버무리는지, 딱딱 끊어서 말하는지, 더듬기.
1. 언어 장애
(1) 언어의 압박(pressure of speech) : 중단시키기 어려운 빠른 언어
(2) 유창, 병적 다변증 (volubility, logorrhea) : 어휘수가 많은 조리 있는 논리적인 언어
(3) 언어의 빈곤(poverty of speech) : 대답이 단음절로 될 수 있다.
(4) 비자발적 언어(nonspontaneous speech) : 물었을 때, 직접 들었을 때만 대답한다.
(5) 언어내용의 빈곤(poverty of content of speech) : 양은 적당하지만 애매함, 무지, 상동증적인 말 때문에 별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6) 실음조(dysprosody) : 정상적인 운율의 소실
(7) 구음장애(dysarthria)
(8) 말더듬기(stuttering)
2. 실어증적 장애(Aphasic disturbances) : 언어 출력의 장애
(1) 운동성 실어증(motor aphasia, Broca's aphasia): 말하는 능력의 손상.
(2) 감각성 실어증(sensory aphasia, Wernike's aphasia): 이해하는 능력의 소실.
(3) 명사 실어증(nominal aphasia, Anomia): 대상에 대한 정확한 이름을 찾기가 어려움
지각 (Perception)
1. 지각장애
1. 환각(hallucination) : 실제 외적 자극과 무관한 그릇된 감각성 지각
a. 입면기 환각(hypnagogic hallucination), 출면기 환각(hypnopompic hallucination)
b. 환청(auditory hallucination) : 정신과 장애에서 가장 흔한 환각
c. 환시(visual hallucination) : 형태가 있는 모양(例, 사람) 또는 형태가 없는 것(例, 섬광)으로 구성된 시각에 관계된 그릇된 지각. 기질적 질환에서 흔함
d. 환후(olfactory hallucination)
e. 환미(gustatory hallucination)
f. 환촉(tactile hallucination): 例) 환상지(phantom limb)
피부에 벌레가 기는 듯한 감각(미주감: formication)
g. 기분과 일치하는 환각(mood-congruent hallucination)
例) 우울한 환자가 나쁜 사람이다고 말하는 소리를 듣는다.
조증 환자가 능력, 힘, 지식, 등이 있다고 말하는 소리를 듣는다.
h. 기분과 일치하지 않는 환각(mood-incongruent hallucination)
2. 착각(illusion) : 실제 외적 감각 자극의 그릇된 지각 또는 그릇된 해석
지남력 (Orientation)
1. 시간(time)
2. 장소(place)
3. 사람(person)
기억 (Memory)
1. 기억의 수준
(1) 즉각적(immediate): 인지된 내용의 수 초에서 수 분내의 재생산 또는 회상(수 분)
例) 숫자나 단어를 불러주고 따라하거나 3-5분 후에 시켜본다.
(2) 최근(recent): 과거 수 일의 사건들의 회상(수 시간에서 수 일)
例) 아침 식사 혹은 전날 저녁 식사로 무엇을 먹었는지 물어본다.
(3) 먼(remote): 먼 과거의 사건들의 회상 (수 년) 例) 아동기 때의 정보를 물어본다.
2. 기억장애
(1) 기억상실(amnesia) : 기질적 or 심리적 원인
a. 전향적(anterograde) : 한 시점 이후에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한 기억상실
b. 후향적(retrograde) : 한 시점 이전의 기억상실
(2) 기억착오(paramnesia)
a. 작화증(confabulation) : 사실이 아닌 경험들로 기억의 간격을 무의식적으로 채운다.
b. 기시감(Deja vu) : 새로운 상황이 이전 기억의 반복처럼 생각되는 인지의 착각
c. 미시감(Jamais vu) : 자신이 경험했었던 실제 상황에 대한 생소한 느낌
(3) 기억상실(blackout): 과음동안의 일에 대한 기억상실. 보통 가역적인 뇌손상을 가리킴.
지능 (Intelligence)
1. 치매(Dementia)
의식의 혼탁 없이 지적 기능의 기질적, 전반적 황폐화
실산증(acalculia) : 불안이나 집중력의 손상에 의한 것이 아닌 계산하는 능력의 소실
필기장애(agraphia) : 쓰는 능력의 소실. 초서 스타일의 글씨. 낱말 구조의 소실
2. 가성치매(Pseuodementia)
우울증에 의한 것이 가장 흔하다.
3. 구체적 사고(Concrete thinking)
의미의 뉘앙스를 이해함이 없이 제한된 은유의 사용. 일차원적 사고
4. 추상적 사고(Abstract thinking)
의미의 뉘앙스를 이해하는 능력. 은유와 이론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
5. 검사방법
(1) 속담풀이
(2) 유사점 및 차이점
(3) 7-serial: 100에서 7씩 빼기. 집중력 검사.
(4) 대통령이름, 수도, 최근 top news
판단(Judgement)
☞ 상황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그 상황 내에서 적절히 행동하는 능력
1. 검사판단력 (testing judgement)
길에서 주민등록증을 주우면?
우표가 붙여진 봉투를 주우면?
2. 정신사회 판단력(psychosocial judgement)
병식 (Insight)
① 질병의 완전한 부정
② 아프고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지만 동시에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③ 아픈 것을 인정하지만 그 원인을 타인, 외부의 요인, 기질적 요인들 탓으로 돌린다.
④ 병이 환자 내부의 알 수 없는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⑤ 지적병식(Intellectual insight) : 환자가 아프고 사회적 적응의 실패나 증상이 자신의 비합리적인 정서와 심리적 장애 때문이라는 것을 알지만 행동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⑥ 진정한 정서적 병식(True emotional insight) : 자신의 동기와 느낌, 인생에서 중요한 사람들에 대한 정서를 알고 행동으로 옮겨져 행동의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 언어를 통해 생각, 느낌이 전달된다.
말의 양, 속도, 질, 자발성, 목소리 크기, 얼버무리는지, 딱딱 끊어서 말하는지, 더듬기.
1. 언어 장애
(1) 언어의 압박(pressure of speech) : 중단시키기 어려운 빠른 언어
(2) 유창, 병적 다변증 (volubility, logorrhea) : 어휘수가 많은 조리 있는 논리적인 언어
(3) 언어의 빈곤(poverty of speech) : 대답이 단음절로 될 수 있다.
(4) 비자발적 언어(nonspontaneous speech) : 물었을 때, 직접 들었을 때만 대답한다.
(5) 언어내용의 빈곤(poverty of content of speech) : 양은 적당하지만 애매함, 무지, 상동증적인 말 때문에 별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6) 실음조(dysprosody) : 정상적인 운율의 소실
(7) 구음장애(dysarthria)
(8) 말더듬기(stuttering)
2. 실어증적 장애(Aphasic disturbances) : 언어 출력의 장애
(1) 운동성 실어증(motor aphasia, Broca's aphasia): 말하는 능력의 손상.
(2) 감각성 실어증(sensory aphasia, Wernike's aphasia): 이해하는 능력의 소실.
(3) 명사 실어증(nominal aphasia, Anomia): 대상에 대한 정확한 이름을 찾기가 어려움
지각 (Perception)
1. 지각장애
1. 환각(hallucination) : 실제 외적 자극과 무관한 그릇된 감각성 지각
a. 입면기 환각(hypnagogic hallucination), 출면기 환각(hypnopompic hallucination)
b. 환청(auditory hallucination) : 정신과 장애에서 가장 흔한 환각
c. 환시(visual hallucination) : 형태가 있는 모양(例, 사람) 또는 형태가 없는 것(例, 섬광)으로 구성된 시각에 관계된 그릇된 지각. 기질적 질환에서 흔함
d. 환후(olfactory hallucination)
e. 환미(gustatory hallucination)
f. 환촉(tactile hallucination): 例) 환상지(phantom limb)
피부에 벌레가 기는 듯한 감각(미주감: formication)
g. 기분과 일치하는 환각(mood-congruent hallucination)
例) 우울한 환자가 나쁜 사람이다고 말하는 소리를 듣는다.
조증 환자가 능력, 힘, 지식, 등이 있다고 말하는 소리를 듣는다.
h. 기분과 일치하지 않는 환각(mood-incongruent hallucination)
2. 착각(illusion) : 실제 외적 감각 자극의 그릇된 지각 또는 그릇된 해석
지남력 (Orientation)
1. 시간(time)
2. 장소(place)
3. 사람(person)
기억 (Memory)
1. 기억의 수준
(1) 즉각적(immediate): 인지된 내용의 수 초에서 수 분내의 재생산 또는 회상(수 분)
例) 숫자나 단어를 불러주고 따라하거나 3-5분 후에 시켜본다.
(2) 최근(recent): 과거 수 일의 사건들의 회상(수 시간에서 수 일)
例) 아침 식사 혹은 전날 저녁 식사로 무엇을 먹었는지 물어본다.
(3) 먼(remote): 먼 과거의 사건들의 회상 (수 년) 例) 아동기 때의 정보를 물어본다.
2. 기억장애
(1) 기억상실(amnesia) : 기질적 or 심리적 원인
a. 전향적(anterograde) : 한 시점 이후에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한 기억상실
b. 후향적(retrograde) : 한 시점 이전의 기억상실
(2) 기억착오(paramnesia)
a. 작화증(confabulation) : 사실이 아닌 경험들로 기억의 간격을 무의식적으로 채운다.
b. 기시감(Deja vu) : 새로운 상황이 이전 기억의 반복처럼 생각되는 인지의 착각
c. 미시감(Jamais vu) : 자신이 경험했었던 실제 상황에 대한 생소한 느낌
(3) 기억상실(blackout): 과음동안의 일에 대한 기억상실. 보통 가역적인 뇌손상을 가리킴.
지능 (Intelligence)
1. 치매(Dementia)
의식의 혼탁 없이 지적 기능의 기질적, 전반적 황폐화
실산증(acalculia) : 불안이나 집중력의 손상에 의한 것이 아닌 계산하는 능력의 소실
필기장애(agraphia) : 쓰는 능력의 소실. 초서 스타일의 글씨. 낱말 구조의 소실
2. 가성치매(Pseuodementia)
우울증에 의한 것이 가장 흔하다.
3. 구체적 사고(Concrete thinking)
의미의 뉘앙스를 이해함이 없이 제한된 은유의 사용. 일차원적 사고
4. 추상적 사고(Abstract thinking)
의미의 뉘앙스를 이해하는 능력. 은유와 이론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
5. 검사방법
(1) 속담풀이
(2) 유사점 및 차이점
(3) 7-serial: 100에서 7씩 빼기. 집중력 검사.
(4) 대통령이름, 수도, 최근 top news
판단(Judgement)
☞ 상황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그 상황 내에서 적절히 행동하는 능력
1. 검사판단력 (testing judgement)
길에서 주민등록증을 주우면?
우표가 붙여진 봉투를 주우면?
2. 정신사회 판단력(psychosocial judgement)
병식 (Insight)
① 질병의 완전한 부정
② 아프고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지만 동시에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③ 아픈 것을 인정하지만 그 원인을 타인, 외부의 요인, 기질적 요인들 탓으로 돌린다.
④ 병이 환자 내부의 알 수 없는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⑤ 지적병식(Intellectual insight) : 환자가 아프고 사회적 적응의 실패나 증상이 자신의 비합리적인 정서와 심리적 장애 때문이라는 것을 알지만 행동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⑥ 진정한 정서적 병식(True emotional insight) : 자신의 동기와 느낌, 인생에서 중요한 사람들에 대한 정서를 알고 행동으로 옮겨져 행동의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추천자료
[의학,심리학]정신분열병(Schizophrenia)
스포츠 의학에 관한 조사 자료들 ( MET , 서키트 트레이닝, 자가진단법, 근력근지구력)
[의학]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의 성 교육
정신간호학 PBL(문제중심학습) - 알코올 (Alcohol) 관련 장애 (환자 간호력, 문제의 분석, 공...
[정신건강론] 기분장애 - 기분장애의 개념과 기분과 관련된 용어, 역학과 원인, 임상양상(조...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영유아의 건강 - 건강의 개념, 영유아의 건강관찰 및 진단, ...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2001』영화보고 정신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폐렴 환자 사례 보고서 - 의학적 진단...
영화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소감 및 사례공부 [정신 건강 간호학] {뷰티풀 ...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틱장애(Tic disorder)의 이해 - 틱장애의 정의와 특성, 틱장애의 원...
[이상심리학] 이상행동을 설명하는 제 이론 - 생물의학적 모형, 정신분석학적 모형, 행동주의...
영화 ‘뷰티풀 마인드(Beautiful Mind)’를 보고, 영화 속에의 정신질환에 대하여 진단분류, 발...
간호,정신 간호, 의학 용어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