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신의 성욕구나 느낌을 설명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사용할 때 효과적인 반응이 나온다고 했다.
Gary 나 Robert, (1982) Michell 과 Butter (1978) 의 연구 역시 성적인 행동에 대해서 지도자가 더 자유스러운 태도를 지닐 때 아동의 성욕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 성교육 교수에 효과적이라고 했다.
Goodman, Budner, Lesh (1971) 는 그들의 연구에서 IQ 는 55 - 70 이며 연령은 15-19 세인 소년소녀의 부모 15 명(8 명은 소년의 부모, 7 명은 소녀의 부모)을 면접하여 부모의 태도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가. 부모는 최소한의 성적 교육을 제공할 뿐이다.
나. 부모는 이 분야에서 그들 정신지체인이 위험한 사람으로 보여질까봐 두려워 한다.
다. 부모는 성적 기능의 지식을 제한하고 그들 자녀가 주는 성적 정보를 부적절하게 느낀다.
라. 부모는 성교육에 큰 관심이 있고 정상아보다 정신지체인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더 많은 준비를 한다.
마. 부모는 정신지체인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에 대한 강력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지지한다.
Hardin (1979)은 교육 가능급 정신지체인 성교육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태도연구에서 교사와 부모는 교육가능급 정신지체인의 성교육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고 했다. 이때 교사의 태도가 부모보다 더 우호적이라고 한다.
그외 부모보다는 교사에 의해서 성교육이 제공되어야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지지하는 연구가 있다.(Meyen, Retish, 1971)
Ⅲ. 정신지체인의 결혼
결혼과 친자관계의 논쟁점은 성욕과 함께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정신지체인의 권리로 인정된다는 것이다. 이 문제는 그들 당사자보다 부모에게 예민한 문제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정신지체인은 결혼의 책임과 양육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했고 이와 같은 규칙을 어떻게 시작하고 유지하는가를 교육 받지 못했다. 그러나 좋은 아내, 남편, 부모로서의 정신지체인 능력은 지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연구(Richard, 1967)가 있으며 IQ 50 이상이면 결혼을 시도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Rosen, 1970) 경도의 정신지체인의 결혼비율은 단지 국민 평균에 밑돌 뿐이다라는 평가가 있기도 하다.(Ingalls,1978) 그들은 그들보다 높은 지능을 가진 사람과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의 이해와 다른 사람들의 동료의식과 지지에 의존한다고 한다.(Rosen, 1970)
결혼의 문제가 정신지체소녀의 부모에게 있어서 더 관심의 대상임(Sengstock, 1967)을 반영하듯이 정신지체 여자의 경우가 남자보다 결혼비율이 높다. 또한 수용 시설의 사람들보다 특별한 프로그램과 수업을 통한 후 점차 사회에 통합된 사람의 결혼 비율이 높다는 주장이 있다.(Rosen, 1970)
정신지체인 부부에게 있어서 그들의 낮은 수입, 돈을 관리하는데의 어려움, 낮은 지위, 일용직 고용, 제한된 사회적 기술, 미래의 설계에 대한 어려움 등이 문제로 떠오른다. 장기적으로 볼 때 결혼한 정신지체인은 적절한 준비, 끊임없는 도움과 훈련 등이 제공되어 정상인과 같은 사회경제적 환경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Katz, 1987) 적절한 성교육이 결혼 이전에 제공되어야 한다.
많은 정신지체인의 결혼은 소유와 나눔의 의미로 정상과 수용의 상징처럼 삶에 있어서 받아들여져야 하며 또한 그들도 결혼을 열망하고 소수의 정신지체인은 아이를 원하기도 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출산 조절 교육은 정신지체인 부모에게 매일의 책임과 자각의 요구가 뒤따르거나 방법의 복잡성과 관계되기 때문에 어려운 영역이다. 따라서 완전한 방법이다라고 말 할 수 있는 것은 없으나 lup 나 필 그리고 콘돔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Rosen at all, 1977)
미국의 경우 과거 정신지체인에 대한 불임의 주장은 정상화의 원칙 이후 어느 정도 일소된 것으로 보여지며(Meyen, 1970) 그것은 이미 학자간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 개인의 문제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정신지체인의 결혼과 친자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점차 확산되고 있으나 아직도 정신지체인의 친자관계에 있어서 금기와 두려움과 논쟁의 대상으로 두가지 중요한 점이 대두되고 있다.(James, Smith, 1986)
첫째, 그들이 정신지체인로서 지니는 조건을 극복해 낼 수 있는가? 이며 둘째, 그들이 적절한 부모가 될 수 있는가? 이다.
첫번째 생각에 대한 답은 단지 15 % 의 정신지체인이 알려진 발생학적 요인과 직접적인 유전에 의한 것이라는 데 있다. 대부분의 지체자의 경우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기인한다. 부모는(정신지체이든 아니든) 낮은 경제적 지위로 인해 지체자가 될 수 있는 아이를 출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유아는 정상 발달을 위해서 많은 자극과 적절한 식이요법이 요구되는데 정신지체인이 부모인 경우 경제적 능력에서 뿐만 아니라 필요한 육아의 종류를 제공할 능력에서 지장을 초래하며 이것을 훈련하는데는 어려움이 따른다(Vockell, Mattick, 1972)는 지적이 있다.
정신지체인이 적절한 부고가 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없다. 소수의 연구에서 정신지체인이 훈련을 통해서 적절한 부모의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했다. 아마도 정신지체인 부모는 그들 자신의 실망과 좌절로 인대 그들 자녀를 학대할 것으로 추측된다고 하며(James, Smith, 1986) 또한 그들이 정상아를 출산했을때 어떻게 키울지도 의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책은 대부분의 정신지체인 부모에게 경제적인 구속을 주는 것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아동을 돌보는 사람을 고용하는 것이며 한편으로 그들의 관리자가 도움을 줄 수도 있다고 한다.(Rosen at all, 1977)
정신지체인이 그들 자신의 성욕을 표현하고, 결혼하고, 출산하는 권리는 정신지체인의 고립, 법적신체적 금지나 불임을 통한 논쟁은 이미 아니며 일반적으로 개인적인 것과 사회로부터 받은 불이익과 정상화의 신념에 반대되는 것, 인간성을 빼앗는 것, 비효과적인 것을 제공하는 것들을 우리들이 해결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Gary 나 Robert, (1982) Michell 과 Butter (1978) 의 연구 역시 성적인 행동에 대해서 지도자가 더 자유스러운 태도를 지닐 때 아동의 성욕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 성교육 교수에 효과적이라고 했다.
Goodman, Budner, Lesh (1971) 는 그들의 연구에서 IQ 는 55 - 70 이며 연령은 15-19 세인 소년소녀의 부모 15 명(8 명은 소년의 부모, 7 명은 소녀의 부모)을 면접하여 부모의 태도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가. 부모는 최소한의 성적 교육을 제공할 뿐이다.
나. 부모는 이 분야에서 그들 정신지체인이 위험한 사람으로 보여질까봐 두려워 한다.
다. 부모는 성적 기능의 지식을 제한하고 그들 자녀가 주는 성적 정보를 부적절하게 느낀다.
라. 부모는 성교육에 큰 관심이 있고 정상아보다 정신지체인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더 많은 준비를 한다.
마. 부모는 정신지체인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에 대한 강력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지지한다.
Hardin (1979)은 교육 가능급 정신지체인 성교육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태도연구에서 교사와 부모는 교육가능급 정신지체인의 성교육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고 했다. 이때 교사의 태도가 부모보다 더 우호적이라고 한다.
그외 부모보다는 교사에 의해서 성교육이 제공되어야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지지하는 연구가 있다.(Meyen, Retish, 1971)
Ⅲ. 정신지체인의 결혼
결혼과 친자관계의 논쟁점은 성욕과 함께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정신지체인의 권리로 인정된다는 것이다. 이 문제는 그들 당사자보다 부모에게 예민한 문제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정신지체인은 결혼의 책임과 양육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했고 이와 같은 규칙을 어떻게 시작하고 유지하는가를 교육 받지 못했다. 그러나 좋은 아내, 남편, 부모로서의 정신지체인 능력은 지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연구(Richard, 1967)가 있으며 IQ 50 이상이면 결혼을 시도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Rosen, 1970) 경도의 정신지체인의 결혼비율은 단지 국민 평균에 밑돌 뿐이다라는 평가가 있기도 하다.(Ingalls,1978) 그들은 그들보다 높은 지능을 가진 사람과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의 이해와 다른 사람들의 동료의식과 지지에 의존한다고 한다.(Rosen, 1970)
결혼의 문제가 정신지체소녀의 부모에게 있어서 더 관심의 대상임(Sengstock, 1967)을 반영하듯이 정신지체 여자의 경우가 남자보다 결혼비율이 높다. 또한 수용 시설의 사람들보다 특별한 프로그램과 수업을 통한 후 점차 사회에 통합된 사람의 결혼 비율이 높다는 주장이 있다.(Rosen, 1970)
정신지체인 부부에게 있어서 그들의 낮은 수입, 돈을 관리하는데의 어려움, 낮은 지위, 일용직 고용, 제한된 사회적 기술, 미래의 설계에 대한 어려움 등이 문제로 떠오른다. 장기적으로 볼 때 결혼한 정신지체인은 적절한 준비, 끊임없는 도움과 훈련 등이 제공되어 정상인과 같은 사회경제적 환경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Katz, 1987) 적절한 성교육이 결혼 이전에 제공되어야 한다.
많은 정신지체인의 결혼은 소유와 나눔의 의미로 정상과 수용의 상징처럼 삶에 있어서 받아들여져야 하며 또한 그들도 결혼을 열망하고 소수의 정신지체인은 아이를 원하기도 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출산 조절 교육은 정신지체인 부모에게 매일의 책임과 자각의 요구가 뒤따르거나 방법의 복잡성과 관계되기 때문에 어려운 영역이다. 따라서 완전한 방법이다라고 말 할 수 있는 것은 없으나 lup 나 필 그리고 콘돔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Rosen at all, 1977)
미국의 경우 과거 정신지체인에 대한 불임의 주장은 정상화의 원칙 이후 어느 정도 일소된 것으로 보여지며(Meyen, 1970) 그것은 이미 학자간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 개인의 문제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정신지체인의 결혼과 친자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점차 확산되고 있으나 아직도 정신지체인의 친자관계에 있어서 금기와 두려움과 논쟁의 대상으로 두가지 중요한 점이 대두되고 있다.(James, Smith, 1986)
첫째, 그들이 정신지체인로서 지니는 조건을 극복해 낼 수 있는가? 이며 둘째, 그들이 적절한 부모가 될 수 있는가? 이다.
첫번째 생각에 대한 답은 단지 15 % 의 정신지체인이 알려진 발생학적 요인과 직접적인 유전에 의한 것이라는 데 있다. 대부분의 지체자의 경우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기인한다. 부모는(정신지체이든 아니든) 낮은 경제적 지위로 인해 지체자가 될 수 있는 아이를 출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유아는 정상 발달을 위해서 많은 자극과 적절한 식이요법이 요구되는데 정신지체인이 부모인 경우 경제적 능력에서 뿐만 아니라 필요한 육아의 종류를 제공할 능력에서 지장을 초래하며 이것을 훈련하는데는 어려움이 따른다(Vockell, Mattick, 1972)는 지적이 있다.
정신지체인이 적절한 부고가 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없다. 소수의 연구에서 정신지체인이 훈련을 통해서 적절한 부모의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했다. 아마도 정신지체인 부모는 그들 자신의 실망과 좌절로 인대 그들 자녀를 학대할 것으로 추측된다고 하며(James, Smith, 1986) 또한 그들이 정상아를 출산했을때 어떻게 키울지도 의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책은 대부분의 정신지체인 부모에게 경제적인 구속을 주는 것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아동을 돌보는 사람을 고용하는 것이며 한편으로 그들의 관리자가 도움을 줄 수도 있다고 한다.(Rosen at all, 1977)
정신지체인이 그들 자신의 성욕을 표현하고, 결혼하고, 출산하는 권리는 정신지체인의 고립, 법적신체적 금지나 불임을 통한 논쟁은 이미 아니며 일반적으로 개인적인 것과 사회로부터 받은 불이익과 정상화의 신념에 반대되는 것, 인간성을 빼앗는 것, 비효과적인 것을 제공하는 것들을 우리들이 해결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