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아동학대의 개념 및 현황
II. 아동성학대 행위
III. 아동성학대가 발생하는 장소
IV. 아동성학대의 단계
V. 성학대 피해아동에 대한 치료
VI. 성학대 예방
II. 아동성학대 행위
III. 아동성학대가 발생하는 장소
IV. 아동성학대의 단계
V. 성학대 피해아동에 대한 치료
VI. 성학대 예방
본문내용
- 언어로 설명할 수 없기 때문
- 가해자로부터 매수당했기 때문
- 호의 혹은 사랑과 성학대를 혼돈하기 때문
- 자신의 이야기를 믿어 주리라 생각하기 때문
- 자신의 탓으로 돌리거나 벌받은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
- 지나친 수치심과 당혹감 때문
- 자신이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라는 걱정 때문
4. 성폭력 피해아동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치료자(clinician)가 알아 두어야 할 사항
① 즉각적인 개입(Immediate Intervention): 위험한 환경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해야 한다.
② 신뢰 형성(Establishment of trust): 학대당했을 때 공포와 불안, 불신감과 적대감을 유발한다. 신뢰를 쌓고 아동이 안전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지해 주고 침착하게 이야기를 들어 주어야 한다.
③ 낙인(Stigmatization): 아동에게는 책임을 강조하고 성폭력을 행한 사람이 잘못된 행위를 한 것이라고 지적해 주어야 한다.
④ 역할혼동(Role Confusion): 부모와 아동간의 역할 전환은 아동의 정상적인 사회발달과 독립적 기능을 저해한다. 따라서 치료자는 연령에 적절한 놀이와 또래관계 피해아동에게 권장해야 한다.
⑤ 역전이 반응(Countertransference Reaction)
5. 치료자가 피해아동을 원조하는 데 있어 인식해야 할 사항
- 신중하게 사정한 후 제대로 표현할 것
- 피해아동이 "기억나지 않는다", "생각나지 않는다"라고 말할 때 반복해서 질문하거나 비난적으로 반응하지 말 것
- 미리 단정하거나 낙담하고 속상해하지 말것
- 도움절차나 과정에 대해 사전에 설명하고 아동의 동의를 구할 것
- 어떤 상황에서도 치료와 상담의 피해아동의 회복에 중심을 둘 것
- 성학대 피해에 대한 충격적이며 외상적인 경험을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도록 도울 것
VI. 성학대 예방
1. 성학대 예방의 목적과 내용
- 성학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교육
- 잠정적인 가해자의 특징(identity)에 대해 아동이 인식하도록 돕는다.
- 타인이 신체적으로 접근해 올 때 권리가 있다는 것을 교육한다.
- 학대 상황에 대처하는 벙법을 구체적으로 가르친다.
- 좋거나, 나쁘거나, 혼동되는 느낌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접촉에 대해 아동에게 설명해 준다.
- 상황에 따라 지키지 말아야 할 비밀이 있음을 가르치고 성폭력은 아동의 잘못이 아님을 강조한다.
-믿을 수 있는 어른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 가해자로부터 매수당했기 때문
- 호의 혹은 사랑과 성학대를 혼돈하기 때문
- 자신의 이야기를 믿어 주리라 생각하기 때문
- 자신의 탓으로 돌리거나 벌받은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
- 지나친 수치심과 당혹감 때문
- 자신이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라는 걱정 때문
4. 성폭력 피해아동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치료자(clinician)가 알아 두어야 할 사항
① 즉각적인 개입(Immediate Intervention): 위험한 환경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해야 한다.
② 신뢰 형성(Establishment of trust): 학대당했을 때 공포와 불안, 불신감과 적대감을 유발한다. 신뢰를 쌓고 아동이 안전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지해 주고 침착하게 이야기를 들어 주어야 한다.
③ 낙인(Stigmatization): 아동에게는 책임을 강조하고 성폭력을 행한 사람이 잘못된 행위를 한 것이라고 지적해 주어야 한다.
④ 역할혼동(Role Confusion): 부모와 아동간의 역할 전환은 아동의 정상적인 사회발달과 독립적 기능을 저해한다. 따라서 치료자는 연령에 적절한 놀이와 또래관계 피해아동에게 권장해야 한다.
⑤ 역전이 반응(Countertransference Reaction)
5. 치료자가 피해아동을 원조하는 데 있어 인식해야 할 사항
- 신중하게 사정한 후 제대로 표현할 것
- 피해아동이 "기억나지 않는다", "생각나지 않는다"라고 말할 때 반복해서 질문하거나 비난적으로 반응하지 말 것
- 미리 단정하거나 낙담하고 속상해하지 말것
- 도움절차나 과정에 대해 사전에 설명하고 아동의 동의를 구할 것
- 어떤 상황에서도 치료와 상담의 피해아동의 회복에 중심을 둘 것
- 성학대 피해에 대한 충격적이며 외상적인 경험을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도록 도울 것
VI. 성학대 예방
1. 성학대 예방의 목적과 내용
- 성학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교육
- 잠정적인 가해자의 특징(identity)에 대해 아동이 인식하도록 돕는다.
- 타인이 신체적으로 접근해 올 때 권리가 있다는 것을 교육한다.
- 학대 상황에 대처하는 벙법을 구체적으로 가르친다.
- 좋거나, 나쁘거나, 혼동되는 느낌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접촉에 대해 아동에게 설명해 준다.
- 상황에 따라 지키지 말아야 할 비밀이 있음을 가르치고 성폭력은 아동의 잘못이 아님을 강조한다.
-믿을 수 있는 어른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추천자료
아동학대에 대해서
학대받는 아동을 위한 아동보호서비스(A+레포트)
아동학대 예방과 신고활성화를 위한 대책
[아동복지론]아동학대[1]
[아동복지론]아동학대 보고서
성 학대 아동의 개입을 위한 아동놀이치료 사례- 슈퍼비전을 중심으로
학대받은 아동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아동복지서비스에 대해서 논의
[아동복지론] 아동문제에 관해서
[아동복지론] 아동학대보호서비스 문제점에 대한 과제 및 개선방안
학대받는 아동을 위한 아동보호서비스
[보육교사론] 보육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동학대 형태와 원인을 설명하고 정부, 보육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전문직의 가치 4가지에 의거하여 아동성폭력문제를 사회복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