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품사 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어 품사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따라 이어지도록 하는 구실을 한다. 여기에 속하는 접속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だから、すると 등
예)
彼は怠け者だ。だから、いつも貧乏だ。
今日は月曜日だ。それで、圖書館は休みだ。
彼女はお酒を一氣に飮んだ。すると、顔が眞っ赤になった。
(5) 역접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
앞의 일과 뒤의 일이 조건이나 결과로 보아 어긋나는 결과가 되도록 하는 구실을 한다. 여기에 속하는 접속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けれども、 しかし、ところが 등
예)
彼はよくはたらいだ。しかし、運が惡かった。
おなかがすいた。でも、食べ物は何もなかった。
ジョンソンさんはアメリカ人である。それなのに、日本語がペラペラだ。
(6) 설명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
앞의 일에 대해서 뒤에서 다시 설명해 주도록 하는 구실을 한다. 여기에 속하는 접속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すなわち、つまり、ところで 등
예)
ああ、疲れた。ところで、いま何時。
(7) 전화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
앞의 일과는 다른 다음 말을 시작할 수 있도록, 즉 화제를 바꾸어 주는 구실을 한다. 여기에 속하는 접속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さて でわ 등
8) 감동사 感動詞(かんどうし)
감동사는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놀라움, 두려움 같은 것을 주관적으로 나타내는 품사이다, 감도사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느낌을 나타내는 감동사
あ、あら、ああ、いや、ええ 등
 예)
 ああ,うれしい !
 あら,ひどい傷!
あれ,何か間違えちゃったみたい。
(2) 남을 부르는데 쓰는 감동사
おい、もしもし、 やあ、さあ 등
예)
おい,何をやってるんだ。
ちょっと,中村,待ってよ !
あのね,田中さん,いまちょっといいですか。
(3) 응답의 의미를 나타내는 감동사
はい、いいえ、うん、ええ 등
예)
うん,わかったよ。
いや,それはちがいます。
なに,彼が死んだって。
(4) 인사의 의미를 나타내는 감동사
 おはよう、さよなら 등
9) 조동사 助動詞(じょどうし)
조동사는 형태상 부속어로 활용이 있으나 독립하여 쓰지 못한다. 따라서 다른 말인 용언 또는 체언과 결합하여 문절을 이룬다. 의미상으로는 주로 용언에 붙어 거기에 여러 가지 의미를 더하여 서술을 돕는다. 조동사는 의미, 저속, 활용 등 세 가지 관점에서 고찰해야 한다.
(1) 의미에 의한 분류
① 사역 : せる、させる ② 존경수동가능자발 : れる、られる ③ 정중 : ます、です ④ 부정추측 : まい ⑤ 추정 : らしい ⑥ 과거완료 : た ⑦ 희망 : たい ⑧ 단정 : だ  ⑨ 비유 : ようだ ⑩ 전문 : そうだ ⑪ 양태 : そうだ
(2) 접속에 의한 분류
① 용언 또는 조동사에 접속하는 조동사
ⓐ 미연형에 접속하는 것 : せる、させる、れる、られる、ない、うよい、まい
   ⓑ 연용형에 접속하는 것 : そうだ(양태)、たい、 ます、 た
ⓒ 종지형에 접속하는 것 : そうだ(전문)、 まい、 らしい
ⓓ 연체형에 접속하는 것 : ようだ
② 체언에 접속하는 조동사
だ、 です、らしい、ようだ
  ③ 조사에 접속하는 조동사
だ、です、らしい、ようだ
(3) 활용에 의한 분류
① 동사처럼 활용하는 조동사
せる、させる、れる、られる
② 형용사처럼 활용하는 조동사
   たい、ない、らしい
③ 형용동사처럼 활용하는 조동사
   ようえあ、そうだ、だ
④ 특별한 활용을 하는 조동사
   です、ます、た、ぬ
⑤ 어형 변화가 없는 조동사
   う、よう、まい
10) 조사 助詞(じょし)
일본어의 조사는 조동사와 함께 무의 골격을 이루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품사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 조사는 조동사와 함께 형태상 부속어이며 활용이 없다.
② 직능상 단독으로 문절을 만들지 못하고 단어와 단어 사이에서 서로의 관계를 나타내기도 하고, 또 일정한 의미를 덧붙이기도 한다.
(1) 조사의 분류
조사의 분류는 학자에 따라 각양각색이다. 그러나 가장 일반적인 분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① 격조사
주로 명사에 붙어서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조사로 다음과 같은 것이 여기에 속한다.
が、を、に、へ、で、の、と、から、や、より 등
② 접속 조사
용언이나 조동사에 붙어서 전후의 부분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조사로 다음과 같은 것이 여기에 속한다.
が、 けれども、のに、から、ても、ば、と、ながら、つつ、し、たり、て、なり、ものの、 ものを 등
③ 부조사
여러 가지의 말에 붙어서 어떤 의미를 더해 주거나, 뒤의 용언과 같은 말에 관계를 이어 주는 조사로 다음과 같은 것이 여기에 속한다.
は、も、こそ、だって、さえ、でも、しか、か、まで、ばかり、ほど、くらい、だけ、など、ずつ、なり、やら 등
④ 종조사
종조사는 문장의 끝이나 문절의 끝에 붙어서 의문, 느낌, 강조, 금지 등의 뜻을 덧붙여 주는 조사로 다음과 같은 것이 여기에 속한다.
か、かしら、や、の、よ、ぞ、ぜ、とも、な、さ 등
▣ 일본어 품사의 분류표.
제1분류
제2분류
제 3 분 류
품 사 명






활용이 있다.
용언(用言) : 술어가
된다.
「う단」로 끝난다.
동사(動詞:どうし)
「い」로 끝난다.
형용사(形容詞:けいようし)
「だ」로 끝난다.
형용동사(形容動詞:けいようどうし)
활용이 없다.
주어가 된다.(言)
명사(名詞:めいし) *대명사, 수사포함.
체언(言)을 수식한다.
연체사(連詞:れんたいし)
용언(用言)을 수식한다.
부사(副詞:ふくし)
감동, 응답을 나타낸다.
감동사(感動詞:かんどうし)
문절이나, 문장을 잇는다.
접속사(接詞:せつぞくし)



활용이 있다.
조동사(助動詞:じょどうし)
활용이 없다.
조사(助詞:じょし)
▣ 활용형의 종류
1)미연형(未然形:みぜんけい) : 부정, 추측을 나타내는 말이 연결된다.
2)연용형(連用形:れんようけい) : 용언(술어)가 연결된다.
3)종지형(終止形:しゅうしけい) : 말(문장)이 끝난다.
4)연체형(連形:れんたいけい) : 체언이 연결된다.
5)가정형(定形:かていけい) : 가정(~면)의 말이 연결된다.
6)명령형(命令形:めいれいけい) : 명령의 뜻으로 끝난다.
▣ 참고문헌
강영부, 『日本語學 要說』, 博而精, 1999
加藤彰彦 佐治圭三,『日本語學의 理解』,法文社, 1992
우찬삼, 『일본어 교육학 개론』, 계명, 2000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8.2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