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국어 품사 조사
Ⅱ. 국어 품사 주격조사
Ⅲ. 국어 품사 접속사의 오용 사례
Ⅳ. 일본어 품사 접속사
1. 부조사 か
2. 격조사 が
3. ~かどうか
4. から
5. たって(접속조사)
6. だって(부조사)
7. で
8. と
9. なんて
10. に
11. は
12. も
Ⅴ. 일본어 품사 병립조사
1. 「と」의 의미․용법과 세트결합방식
1) 「と」의 의미․용법
2) 「と」의 세트결합방식
2. 「か」의 의미․용법과 세트결합방식
1) 「か」의 의미․용법
2) 「か」의 세트결합방식
참고문헌
Ⅱ. 국어 품사 주격조사
Ⅲ. 국어 품사 접속사의 오용 사례
Ⅳ. 일본어 품사 접속사
1. 부조사 か
2. 격조사 が
3. ~かどうか
4. から
5. たって(접속조사)
6. だって(부조사)
7. で
8. と
9. なんて
10. に
11. は
12. も
Ⅴ. 일본어 품사 병립조사
1. 「と」의 의미․용법과 세트결합방식
1) 「と」의 의미․용법
2) 「と」의 세트결합방식
2. 「か」의 의미․용법과 세트결합방식
1) 「か」의 의미․용법
2) 「か」의 세트결합방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종류에 속하는 것을 열거하여, 전부가 한 그룹이 되어, 어떤 사항(또는 자격) 에 해당하며, 해당하는 同類의 것이 그것뿐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겠는데, 다음 예문을 보자.
(1)集まっている七人の管理職――二人の部長と五人の課長は、じっと腕組みをしながら、押しっている。(女社長に乾杯34)
(2) 法律規則と、かねと、習慣とで、何もかも無事におさまって行く。(春の蹉跌22)
(3)「あんたには番札と台帳を取りに來てもらう」(死者の奢り20)
(4)「僕の小校と中さ。僕のうちから小校までの距離と、中までの距離とさ。ほんとに五十くらいしか違わないんだからさ」(太物語10)
예문(1)에서、「七人の管理職」에 해당하는 것은 문중에 열거되어 있는 「二人の部長」과「五人の課長」밖에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문(3)에서 상대방에게 가지러 오라고 하는 물건은 문중에 열거되어 있는 「番札」와 「台帳」외에는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と」의 의미용법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전부열거전부선택]이라고 할 수 있겠다.
2) 「と」의 세트결합방식
「と」의 세트결합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위의 예문을 재인용하기로 한다.
(1)集まっている七人の管理職――二人の部長と五人の課長は、じっと腕組みをしながら、 押しっている。(女社長に乾杯34)
(2) 法律規則と、かねと、習慣とで、何もかも無事におさまって行く。(春の蹉跌22)
(3)「あんたには番札と台帳を取りに來てもらう」(死者の奢り20)
(4)「僕の小校と中さ。僕のうちから小校までの距離と、中までの距離とさ。ほんとに五十くらいしか違わないんだからさ」(太物語10)
예문(1)과 (2)는 문장체(かたり)이고 (3)과 (4)는 회화체(はなしあい)이다. 화자가 주관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세트결합의 최후의 멤버에 「と」를 취하는 것(예문(2))과 취하지 않는 것(예문(1)(3)(4))이 있는데, 문장체에서는 「と」의 부가가 임의적인 것 같으나, 회화체에서는 「と」의 부가가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단, 같은 문장체라도 「と」가 있는 쪽이 보다 딱딱한 느낌을 준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확실히 해 두고 싶은 것이 있다. 일본어의 조사「と」에는 병립조사로서의 기능 외에도 접속조사, 격조사로서의 기능이 있어 종종 혼동하기 쉬운데, 아래의 예문(5)의 「花子と」의 「と」는 주어인 「太」가 「晋州へ行った」라는 동작을 할 때 동작을 같이한 파트너로 보아 (상대)격조사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예문(5)와 같이 명사구전체(여기서는 「次と花子」를 가리킨다.)에 격조사 「と」가 이어지는 경우(상대격조사「と」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세트의 최후의 멤버 뒤에 병립조사「と」는 나타나지 않는다.
(5) 太は次と花子0と晋州へ行った。(小林(1995))
(6)*太は次と花子とと晋州へ行った。
이상으로 「と」의 세트결합방식을 알아보았는데, 간단히 정리하면 [N1とN2, N1とN2と]의 형태로 문장체에서는 임의적으로 「と」를 부가할 수 있으나 회화체에서는 부가해서는 안 된다. 또, 술어가 상호동사인 경우에는 병립조사「と」는 상대격조사에 밀려 나타나지 않는 것 같다.
2. 「か」의 의미용법과 세트결합방식
1) 「か」의 의미용법
「か」는 대략 「같은 類에 속한다고 생각되는 것을 몇 가지 열거하여、考慮해야할 同類의 것이 그것뿐이며、그 중에서 한가지만이 該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데, 다음 예문을 보기로 하자.
(7)落ちつきのない娘だった。十七か十八の若さで、子持ち女のような豊なからだつきをして、に愛想がよくて、後略。(春の蹉跌27)
(8)ただ第二中の卒業生の一人で北支に出征していた軍人が、慰問袋のことで矢須子に鄭重すぎるをよこし、それから暫くたって和歌を五首か六首か書いてよこしたことがある。(い雨6)
(9)島の第二中校奉仕隊は、あの八月六日の朝、新大橋西詰かどこか島市中心部の或る橋の上で訓を受けているとき被爆した。(い雨5)
(10)ニキビか何かみたいである。(女社長に乾杯45)
예문(7)에서는 「十七」과 「十八」 둘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며, 예문(8)에서는 五首와 六首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며, 예문(9)와 (10)에서는 「新大橋西詰」와 「どこ」, 「ニキビ」와 「何」 중에서 각각 하나가 선택된다. 위의 예문에서는 전부 두 가지밖에 열거되어 있지 않지만 다음의 예문(11)에서 보듯이 2가지 이상인 경우도 있다.
(11)きのう、彼は東京か京都か大阪へ行った。(作例)
그런데, 열거되는 것이 두 가지이든 그 이상이든 열거된 것 전체에서 한 가지를 택하는 것에 「か」의 용법상의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か」의 의미용법상의 특징을 간단히 말하면, [전부열거한 가지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2) 「か」의 세트결합방식
「か」의 세트결합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위의 예문을 재인용하여 고찰하기로 한다.
(7)落ちつきのない娘だった。十七か十八の若さで、子持ち女のような豊なからだつきをして、に愛想がよくて、後略。(春の蹉跌27)
(8)ただ第二中の卒業生の一人で北支に出征していた軍人が、慰問袋のことで矢須子に鄭重すぎるをよこし、それから暫くたって和歌を五首か六首か書いてよこしたことがある。(い雨6)
(9)島の第二中校奉仕隊は、あの八月六日の朝、新大橋西詰かどこか島市中心部の或る橋の上で訓を受けているとき被爆した。(い雨5)
(10)ニキビか何かみたいである。(女社長に乾杯45)
위의 예문에서 알 수 있듯이 세트 최후의 멤버에 か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는 것으로 보아 か를 취하고 아니하고는 임의인 것 같다. 단지 예문(9)와 (10)에서 알 수 있듯이 세트 최후의 멤버에 의문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か는 의무적인 것 같다.
이상으로 「か」의 세트결합방식을 알아보았는데, 간단히 정리하면 [N1かN2(か), N1かWHか]의 형태로 세트 최후의 멤버가 의문사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か」의 부가는 임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김태엽(2001) : 주격조사 -이가에 대하여, 우리말글 21, 우리말글학회
권응호(1989) : 기본영어문법I, 학일출판사
성광수(1999) : 격기능과 격표지, 국어의 격과 조사, 한국어학회, 서울 : 월인
이동석(1999) : ‘-와/-과’의 성격과 기능분화에 대하여, 국어의 격과 조사, 한국어학회
임동훈(1992) : 격조사는 핵인가, 주시경학보 8
지경래(1995) : 일본어 문법 개설, 태학사
(1)集まっている七人の管理職――二人の部長と五人の課長は、じっと腕組みをしながら、押しっている。(女社長に乾杯34)
(2) 法律規則と、かねと、習慣とで、何もかも無事におさまって行く。(春の蹉跌22)
(3)「あんたには番札と台帳を取りに來てもらう」(死者の奢り20)
(4)「僕の小校と中さ。僕のうちから小校までの距離と、中までの距離とさ。ほんとに五十くらいしか違わないんだからさ」(太物語10)
예문(1)에서、「七人の管理職」에 해당하는 것은 문중에 열거되어 있는 「二人の部長」과「五人の課長」밖에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문(3)에서 상대방에게 가지러 오라고 하는 물건은 문중에 열거되어 있는 「番札」와 「台帳」외에는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と」의 의미용법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전부열거전부선택]이라고 할 수 있겠다.
2) 「と」의 세트결합방식
「と」의 세트결합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위의 예문을 재인용하기로 한다.
(1)集まっている七人の管理職――二人の部長と五人の課長は、じっと腕組みをしながら、 押しっている。(女社長に乾杯34)
(2) 法律規則と、かねと、習慣とで、何もかも無事におさまって行く。(春の蹉跌22)
(3)「あんたには番札と台帳を取りに來てもらう」(死者の奢り20)
(4)「僕の小校と中さ。僕のうちから小校までの距離と、中までの距離とさ。ほんとに五十くらいしか違わないんだからさ」(太物語10)
예문(1)과 (2)는 문장체(かたり)이고 (3)과 (4)는 회화체(はなしあい)이다. 화자가 주관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세트결합의 최후의 멤버에 「と」를 취하는 것(예문(2))과 취하지 않는 것(예문(1)(3)(4))이 있는데, 문장체에서는 「と」의 부가가 임의적인 것 같으나, 회화체에서는 「と」의 부가가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단, 같은 문장체라도 「と」가 있는 쪽이 보다 딱딱한 느낌을 준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확실히 해 두고 싶은 것이 있다. 일본어의 조사「と」에는 병립조사로서의 기능 외에도 접속조사, 격조사로서의 기능이 있어 종종 혼동하기 쉬운데, 아래의 예문(5)의 「花子と」의 「と」는 주어인 「太」가 「晋州へ行った」라는 동작을 할 때 동작을 같이한 파트너로 보아 (상대)격조사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예문(5)와 같이 명사구전체(여기서는 「次と花子」를 가리킨다.)에 격조사 「と」가 이어지는 경우(상대격조사「と」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세트의 최후의 멤버 뒤에 병립조사「と」는 나타나지 않는다.
(5) 太は次と花子0と晋州へ行った。(小林(1995))
(6)*太は次と花子とと晋州へ行った。
이상으로 「と」의 세트결합방식을 알아보았는데, 간단히 정리하면 [N1とN2, N1とN2と]의 형태로 문장체에서는 임의적으로 「と」를 부가할 수 있으나 회화체에서는 부가해서는 안 된다. 또, 술어가 상호동사인 경우에는 병립조사「と」는 상대격조사에 밀려 나타나지 않는 것 같다.
2. 「か」의 의미용법과 세트결합방식
1) 「か」의 의미용법
「か」는 대략 「같은 類에 속한다고 생각되는 것을 몇 가지 열거하여、考慮해야할 同類의 것이 그것뿐이며、그 중에서 한가지만이 該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데, 다음 예문을 보기로 하자.
(7)落ちつきのない娘だった。十七か十八の若さで、子持ち女のような豊なからだつきをして、に愛想がよくて、後略。(春の蹉跌27)
(8)ただ第二中の卒業生の一人で北支に出征していた軍人が、慰問袋のことで矢須子に鄭重すぎるをよこし、それから暫くたって和歌を五首か六首か書いてよこしたことがある。(い雨6)
(9)島の第二中校奉仕隊は、あの八月六日の朝、新大橋西詰かどこか島市中心部の或る橋の上で訓を受けているとき被爆した。(い雨5)
(10)ニキビか何かみたいである。(女社長に乾杯45)
예문(7)에서는 「十七」과 「十八」 둘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며, 예문(8)에서는 五首와 六首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며, 예문(9)와 (10)에서는 「新大橋西詰」와 「どこ」, 「ニキビ」와 「何」 중에서 각각 하나가 선택된다. 위의 예문에서는 전부 두 가지밖에 열거되어 있지 않지만 다음의 예문(11)에서 보듯이 2가지 이상인 경우도 있다.
(11)きのう、彼は東京か京都か大阪へ行った。(作例)
그런데, 열거되는 것이 두 가지이든 그 이상이든 열거된 것 전체에서 한 가지를 택하는 것에 「か」의 용법상의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か」의 의미용법상의 특징을 간단히 말하면, [전부열거한 가지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2) 「か」의 세트결합방식
「か」의 세트결합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위의 예문을 재인용하여 고찰하기로 한다.
(7)落ちつきのない娘だった。十七か十八の若さで、子持ち女のような豊なからだつきをして、に愛想がよくて、後略。(春の蹉跌27)
(8)ただ第二中の卒業生の一人で北支に出征していた軍人が、慰問袋のことで矢須子に鄭重すぎるをよこし、それから暫くたって和歌を五首か六首か書いてよこしたことがある。(い雨6)
(9)島の第二中校奉仕隊は、あの八月六日の朝、新大橋西詰かどこか島市中心部の或る橋の上で訓を受けているとき被爆した。(い雨5)
(10)ニキビか何かみたいである。(女社長に乾杯45)
위의 예문에서 알 수 있듯이 세트 최후의 멤버에 か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는 것으로 보아 か를 취하고 아니하고는 임의인 것 같다. 단지 예문(9)와 (10)에서 알 수 있듯이 세트 최후의 멤버에 의문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か는 의무적인 것 같다.
이상으로 「か」의 세트결합방식을 알아보았는데, 간단히 정리하면 [N1かN2(か), N1かWHか]의 형태로 세트 최후의 멤버가 의문사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か」의 부가는 임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김태엽(2001) : 주격조사 -이가에 대하여, 우리말글 21, 우리말글학회
권응호(1989) : 기본영어문법I, 학일출판사
성광수(1999) : 격기능과 격표지, 국어의 격과 조사, 한국어학회, 서울 : 월인
이동석(1999) : ‘-와/-과’의 성격과 기능분화에 대하여, 국어의 격과 조사, 한국어학회
임동훈(1992) : 격조사는 핵인가, 주시경학보 8
지경래(1995) : 일본어 문법 개설, 태학사
추천자료
학위논문 또는 학술지 1편을 택하여 읽은 후 연구목적, 조사방법, 조사설계유형, 조사결과를 ...
하나의 가설을 설정하여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조사설계를 작성하여 제출 - 조...
[표본설계, 표본설계와 표본조사, 건설업 표본설계, 농업 표본설계, 어업 표본설계, 표본조사...
[추적, 추적과 추적활동, 추적과 추적조사, 추적과 추적권, 추적과 위치추적시스템(GPS), 추...
인터넷 활용의 다양화로 인해서 시장조사도 인터넷을 통한 서베이 조사가 인기를 끌고 있다. ...
① 표본추출(표집)방법의 종류와 ②사회복지조사절차(과정)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표본 추출 개...
시간적 차원에 따른 조사연구 유형인 종단적 조사로 실시된 연구사례를 찾아 연구목적, 연구...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주제를 가지고 과학적 조사과정에 따라 어떻게 조사를 진행해...
[주제: 연구의 절차의 이해]연구조사의 절차를 약술하고 연구조사의 절차에 따라 의문에서 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적용 가능한 사례(탐색적조사, 기술적조사, 설명적조사).
최근 인터넷 발달로 인터넷조사법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인데 그러나 다른 조사법과 비교...
사회과학 연구는 연구대상을 체계적, 경험적,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것으로 사회조사 방법에는...
[2017 사회복지조사론 3공통]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
방통대 중간과제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