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성애의 정의
2. 심리학에서 바라 본 동성애의 원인
3. 동성애를 나타내는 용어들
4. 동성애가 대중문화로 들어온 시기와 역사
5. 동성애가 대중문화로 들어오게 된 사회적 배경과 인식 변화
6. 현대 대중문화에서 그려지는 동성애를 바라보는 동성애자들의 생각

Ⅲ. 결론

본문내용

서 이렇게 동성애에 대한 인식이 급속도로 바뀌게 된 것일까.
나는 그것을 급격한 세계화와 유학에서 찾아보았다. 북미나 유럽으로 유학을 떠난 수많은 젊은이들이 그곳에서 바꾸어 가져온 가치관이야 말로 큰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요즘 일부의 젊은 세대를 보고 ‘정신적 혼혈아’라고 지칭하고는 한다. 불과 20여년 차이의 부모 세대와 그만큼 가치관이 다르다는 이야기다. 비록 한국인이라는 몸을 입고 있지만 내면은 개방적이기 그지없는 외국인과 흡사한 모양새를 하고 있는 이 젊은이들이야 말로 동성애에 대한 인식 변화의 선두주자 일 것이다. 엘리트로 여겨지는 이 유학파 젊은이들을 비롯한 외국 대중매체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아, 이제는 동성애를 혐오하는 이가 촌스럽게 여겨지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6. 현대 대중문화에서 그려지는 동성애를 바라보는 동성애자들의 생각
-2006년03월02일 ⓒ민중의 소리
동성애 진영은 최근 개봉한 동성애 소재 영화인 '왕의 남자' '타임 투 리브' '메종 드 히미코' '브로크백 마운틴' 등에 대해 "진정한 동성애 영화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동성애 인권단체인 친구사이는 1일 오후 4시부터 광화문 일민미술관 5층 영상미디어센터에서 '긴급진단-극장가를 장악한 퀴어 웨이브'라는 주제로 동성애 영화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토론자들은 '왕의 남자'에 대해 "고전적인 흥행코드에 동성애를 녹여놓았을 뿐 동성애의 본질을 보여준 영화로는 보기 어렵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박진형 환경영화제 프로그래머는 "'왕의 남자'에는 정치적 풍자와 성(性)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조선시대 왕(연산), 궁중 광대 등 동성애 이외 사람들의 관심을 끌 만한 소재가 많았다"면서 "'왕의 남자'의 관객 1천만 돌파는 다양한 흥행코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함께 언급된 '메종 드 히미코' '타임 투 리브' '브로크백 마운틴'에 대해서도 "이들 영화도 동성애라는 통로를 통해 노년문제, 죽음, 사랑 등 인간의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이들 영화가 국내에서 흥행에 성공하지 않았나 생각 한다"고 말했다. 한채윤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대표는 이들 영화에 대해 "동성애에 초점을 맞췄다기보다 거리를 두고 동성애를 관조하는 영화라는 느낌을 받았다"면서 "이들 영화는 국내에서 제작된 '로드무비'나 '번지점프를 하다' 등 동성애가 중심이 된 영화와는 다르다"고 평가했다. 그렇지만 그는 "'왕의 남자'가 1천만 관객을 동원하는 등 흥행에 성공하면서 동성애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가 자연스럽게 늘어났다"면서 "동성애자의 인권을 논하는 자리를 확대시켜 주는 긍정적인 작용을 한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최승우 문화연대 부설 문화사회연구소 활동가는 '왕의 남자'를 동성애 영화로 볼 것인가에 대해 "동성애는 새롭고 신선하고 낯선 것이기 때문에 상업적인 가치가 있다"면서 "그렇지만 '왕의 남자'에서 동성애는 영화 구성요소의 일부일 뿐 주요소재는 아니다"라며 동성애 영화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박진형 프로그래머는 이준기 신드롬에 대해 "동성애자 커뮤니티에서는 이준기로 인해 동성애자가 '예쁜 남자'로 이미지화하는 것에 거부감이 크다"면서 "동성애자들이 이준기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현실의 동성애자들과 차이가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박기호 퀴어문화축제 기획위원은 "동성애자 커뮤니티에서는 '왕의 남자'보다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에서 선보인 동성애 에피소드에 더 주목한다."면서 "'왕의 남자'가 사극이기 때문에 동성애자들에게도 영화 속 동성애가 현실로 다가오지 않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날 토론회는 '친구사이' 회원 이민철 씨의 사회로 2시간 여 동안 진행됐다.
Ⅲ. 결론
동성애는 이미 하나의 트렌드다. 한국의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동성애자, 혹은 양성애자라고 커밍아웃 하는 예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요즘 젊은이라면 주위에 한명정도 아는 동성애자가 있을 정도다. 젊은 여성들은 게이남성을 친구로 두고 싶어 하며, 심지어는 스스로 게이남성친구를 찾아 나서기도 한다. 동성애친목 사이트에 들어 가보면 게이친구를 찾는다는 글을 올린 이성애자 여성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런 여성들의 말은 대체로 비슷하다. 시대에 맞지 않은 마초적인 남성이 아닌, 배려심있고 섬세하며 스스로를 꾸미는 것을 즐기는 게이남성이야 말로 친구로서 이상적이라는 것이다. 심지어는 인기스타 A양이 게이남성을 친구로 소개하며 자랑삼아 데리고 다닌다는 믿을만한 루머가 떠돌기도 했다. 이제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혐오감을 보이거나 거부감을 보이는 이들이 ‘촌스럽고 시대에 뒤떨어지는’ 불리는 때다. 심지어 동성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동성애자인 척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고 하니 그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 동성애 열풍을 한걸음 물러서서 냉정하게 볼 필요가 있다. 대중문화에 넘쳐나고 있는 수많은 동성애 속에 정작 진짜 동성애는 없다. 그것들은 대중에게 팔 상품답게 미화되고 각색되었다. 아름답고, 특이하고, 극적인 요소만을 극대화시켜 대중들의 관심을 끄는데 치중되어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대중문화 속 동성애코드를 동성애라 생각하는 이들은 일반 대중들뿐이다. 진짜 동성애자들은 그것에 크게 공감하지 않는다. 동성애 열풍이 대중들의 인식을 바꾸어, 사회 속 동성애의 지위를 향상시키고 이해를 돕는다는 장점은 분명 있다. 그러나 대중문화의 상품화라는 단계를 거쳤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성적 정체성이 정착되지 않은 청소년 시기에 미화된 동성애를 보고 그것을 모방하는 등의 부작용이 분명 존재하기 때문이다. 현재의 이 동성애 열풍의 대부분은 대중문화의 철저한 상업수단인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문화인으로서 문화를 향유하되 무작정 휩쓸리지 않을 정도의 의연함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성애의 정의
2. 심리학에서 바라 본 동성애의 원인
3. 동성애를 나타내는 용어들
4. 동성애가 대중문화로 들어온 시기와 역사
5. 동성애가 대중문화로 들어오게 된 사회적 배경과 인식 변화
6. 현대 대중문화에서 그려지는 동성애를 바라보는 동성애자들의 생각
Ⅲ. 결론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9.02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0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