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전후 일본사회
II. 전쟁 후 일본인의 생각
1. 민심의 동향
III. 전후 일본의 극복 과정과 일본의 만화
1. 전후 일본을 조종하는 미국
2. 한국전쟁의 발발과 일본의 부흥
3. 일본 만화의 발전
IV. 아톰의 등장
V. 아톰의 현대적 의미 - 일본의 로봇산업
*참고자료
II. 전쟁 후 일본인의 생각
1. 민심의 동향
III. 전후 일본의 극복 과정과 일본의 만화
1. 전후 일본을 조종하는 미국
2. 한국전쟁의 발발과 일본의 부흥
3. 일본 만화의 발전
IV. 아톰의 등장
V. 아톰의 현대적 의미 - 일본의 로봇산업
*참고자료
본문내용
그것이 천황의 문제와 닿아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아톰이 전후 일본 국민의 은유라면, 그리고 만일 그가 자신을 버린 아버지에게 복수를 하려 했다면, 그 아버지란 결국 천황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복수극은 허용될 수 없는 것이었다. 참고로 당시 데즈카 오사무 스스로도 아버지가 된 지 2년째였다. 어쨌든 아톰은 언제까지나 착한 아들로만 남는다. 그러나 그를 버린 아버지는 모습을 감추었을 뿐 여전히 살아있다. 천황이 그런 것처럼.
아톰은 네 가지 측면에서 자신의 역사와 단절한다. 자신의 원본인 인간 소년 도비오의 죽음과의 단절, 아들을 버린 아버지와의 단절, 로봇을 노예로 삼았던 제도와의 단절, 로봇을 착취한 서커스 단장 및 그런 인간들에 대한 적대 감벙과의 단절이다. 아톰이 ‘마음을 가진 로봇’ 으로서 가졌어야 하는 르상티망, 즉 원한 감정의 원천이지만 바로 그 때문에 아톰과 단절되어 모두 지워져 버리는 이 네가지의 역사는 일본 국민과 단절되었다고 제시한 네 가지 역사와 놀라울 정도로 일치한다. 그 네가지는 전사자와의 단절, 천황과의 단절, 헌법과의 단절, 그리고 마지막으로 앞의 세가지 단절을 모두 가능하게 만든 경험과의 단절, 즉 미국에 대한 전면 굴복이라는 경험과의 단절이다. 이 네 번째의 치욕적인 경험의 은폐를 통해 전후 일본 국민은 근대화(미국화)의 프로젝트를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
< 우주소년 아톰 >의 국민적 영웅 서사도 그와 동일한 은폐 위에서 전개될 수 있었다. 아톰의 기계 신체는 단절과 은폐에 아주 효과적인 장치였다. 아마 로봇과 인간 어느 쪽에도 감정적으로 치우치지 않는 아톰의 초연한 태도는. 평화 헌법에 기초하여 일본이 국제적으로 중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는 데즈카 오사무의 평화주의적 신념과 전혀 무관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일본 국민은 이미 < 우주소년 아톰 >의 로봇 노예처럼 아시아인을 차별하고 착취했던 역사 또한 동시에 갖고 있었다. 이 다섯 번째의 역사 은폐야말로 일본 시청자가 < 우주소년 아톰 >을 보며 마음껏 로봇 노예와 자기 동일시를 할 수 있었던 근거였다. 텔레비전도 일본의 신민주의 역사가 남아있는 아시아의 현실을 은폐하면서 늘 일본보다 덜 근대화된 전근대적 아시아의 낭만적 이미지를 재생산하는 데 분주 했다.
그 당시 생각으로 로봇은 단지 무기일 뿐 그 이상의 것이 될 수 없었다. 하지만 데즈카 오사무는 로봇을 친구로 만들었다. 또한 거기에 등장하는 인간보다 순수하고 정의로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 로봇과 인간의 불평등. 그리고 인간성 실종. 인간의 존재.. 대단히 심오하고 어려운 주제를 어린아이의 모습을 한 아톰으로서 표현해 냈다.
V. 아톰의 현대적 의미 - 일본의 로봇산업
지금까지 살펴본 ‘아톰’ 이라는 캐릭터의 존재의미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잘 알다시피 일본은 세계적인 로봇강국이다. 일본은 집요하리만치 인간과 닮은 로봇을 만들기 위해 혼신을 다해 왔다. 일본에서 개발된 인간형 로봇들은 모두 귀엽고 친숙한 이미지에 인간을 즐겁고 편하게 해준다. 이처럼 인간에 협조적인 착한 로봇의 이미지는 바로 아톰에서 시작되었다. 비록 아톰은 만화 속의 캐릭터였지만, 아톰이 일본 로봇산업에 미친 영향은 실로 크다. 혼다의 아시모를 비롯해 이미 출시된 인간형 로봇들의 모델이 된 것이 바로 아톰이라는데 이견이 별로 없다. 지금 일본의 로봇산업을 이끌어 가는 사람 중 상당수는 어릴 적 아톰을 보면서 로봇 과학자의 꿈을 키웠던 것이다.
일본은 미국보다 로봇 개발에서는 뒤졌지만 이를 상업화하는 데는 한발 앞서 성공했다. 지난 1970년대와 80년대 산업용 로봇 보급시대에 일본은 전 세계 산업용 로봇시장을 주도했다. 자동차·전자·반도체 등에서 세계적인 기술을 자랑하는 일본은 이를 토대로 정교한 산업용 로봇을 개발, 국내외 시장에 출시해 큰 수익을 올렸다.
현재 전 세계에 보급된 산업용 로봇 중 절반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본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최근 로봇기술(RT)을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등과 함께 미래형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하고 로봇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 2,000년 5,000억 엔 수준에 불과했던 RT시장이 오는 2025년까지 약 8조 엔 (80조원)에 이르는 선도 산업 (leading Industry)으로 부상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로봇산업 발전을 위해 작년부터 ‘21세기 로봇 챌린지 이니셔티브’라는 이름으로 산학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377억 달러 규모의 ‘휴먼로봇 프로젝트 (HRP)’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이런 일본 정부와 업체, 관련 연구기관들의 노력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분야에서 쓰일 수 있는 로봇, 그 중에서도 휴머노이드 개발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일본의 로봇산업은 國-産-學이 혼연일체가 돼 현재 산업용 중심에서 애완용 오락로봇, 환자간호 로봇, 대화 상대용 로봇 등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인간형 로봇시대로 빠르게 발전해가고 있다. 새로 등장하는 로봇의 디자인과 기능은 이전에 상상하기 어려웠을 정도로 다양하고 정교하게 변화하고 있다. 아직은 영화 ‘I, Robot’에 등장하는 로봇에 비하면 극히 초보단계라고 할 수 있지만 일본인들은 자신들이 어린 시절 즐겨 보았던 ‘철완 아톰’과 ‘마징가 제트’의 실체를 서서히 현실 속에서 만나고 있는 중이다.
*참고자료
이혜숙 <일본현대사의 이해 -전후 일본사회와 미국의 점령정책-> 경상대학교 해외지역연구센터 2003
아키라 외 3인, 노필호 역<우리가 알아야 할 일본의 현대역사> 명진출판 1991.
오픈백과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패전극복」
타케우치 오사무 <일본 만화 전후 50년사> (http://cafe.naver.com/comic3/76
)
*목 차
I. 전후 일본사회
II. 전쟁 후 일본인의 생각
1. 민심의 동향
III. 전후 일본의 극복 과정과 일본의 만화
1. 전후 일본을 조종하는 미국
2. 한국전쟁의 발발과 일본의 부흥
3. 일본 만화의 발전
IV. 아톰의 등장
V. 아톰의 현대적 의미 - 일본의 로봇산업
*참고자료
아톰은 네 가지 측면에서 자신의 역사와 단절한다. 자신의 원본인 인간 소년 도비오의 죽음과의 단절, 아들을 버린 아버지와의 단절, 로봇을 노예로 삼았던 제도와의 단절, 로봇을 착취한 서커스 단장 및 그런 인간들에 대한 적대 감벙과의 단절이다. 아톰이 ‘마음을 가진 로봇’ 으로서 가졌어야 하는 르상티망, 즉 원한 감정의 원천이지만 바로 그 때문에 아톰과 단절되어 모두 지워져 버리는 이 네가지의 역사는 일본 국민과 단절되었다고 제시한 네 가지 역사와 놀라울 정도로 일치한다. 그 네가지는 전사자와의 단절, 천황과의 단절, 헌법과의 단절, 그리고 마지막으로 앞의 세가지 단절을 모두 가능하게 만든 경험과의 단절, 즉 미국에 대한 전면 굴복이라는 경험과의 단절이다. 이 네 번째의 치욕적인 경험의 은폐를 통해 전후 일본 국민은 근대화(미국화)의 프로젝트를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
< 우주소년 아톰 >의 국민적 영웅 서사도 그와 동일한 은폐 위에서 전개될 수 있었다. 아톰의 기계 신체는 단절과 은폐에 아주 효과적인 장치였다. 아마 로봇과 인간 어느 쪽에도 감정적으로 치우치지 않는 아톰의 초연한 태도는. 평화 헌법에 기초하여 일본이 국제적으로 중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는 데즈카 오사무의 평화주의적 신념과 전혀 무관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일본 국민은 이미 < 우주소년 아톰 >의 로봇 노예처럼 아시아인을 차별하고 착취했던 역사 또한 동시에 갖고 있었다. 이 다섯 번째의 역사 은폐야말로 일본 시청자가 < 우주소년 아톰 >을 보며 마음껏 로봇 노예와 자기 동일시를 할 수 있었던 근거였다. 텔레비전도 일본의 신민주의 역사가 남아있는 아시아의 현실을 은폐하면서 늘 일본보다 덜 근대화된 전근대적 아시아의 낭만적 이미지를 재생산하는 데 분주 했다.
그 당시 생각으로 로봇은 단지 무기일 뿐 그 이상의 것이 될 수 없었다. 하지만 데즈카 오사무는 로봇을 친구로 만들었다. 또한 거기에 등장하는 인간보다 순수하고 정의로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 로봇과 인간의 불평등. 그리고 인간성 실종. 인간의 존재.. 대단히 심오하고 어려운 주제를 어린아이의 모습을 한 아톰으로서 표현해 냈다.
V. 아톰의 현대적 의미 - 일본의 로봇산업
지금까지 살펴본 ‘아톰’ 이라는 캐릭터의 존재의미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잘 알다시피 일본은 세계적인 로봇강국이다. 일본은 집요하리만치 인간과 닮은 로봇을 만들기 위해 혼신을 다해 왔다. 일본에서 개발된 인간형 로봇들은 모두 귀엽고 친숙한 이미지에 인간을 즐겁고 편하게 해준다. 이처럼 인간에 협조적인 착한 로봇의 이미지는 바로 아톰에서 시작되었다. 비록 아톰은 만화 속의 캐릭터였지만, 아톰이 일본 로봇산업에 미친 영향은 실로 크다. 혼다의 아시모를 비롯해 이미 출시된 인간형 로봇들의 모델이 된 것이 바로 아톰이라는데 이견이 별로 없다. 지금 일본의 로봇산업을 이끌어 가는 사람 중 상당수는 어릴 적 아톰을 보면서 로봇 과학자의 꿈을 키웠던 것이다.
일본은 미국보다 로봇 개발에서는 뒤졌지만 이를 상업화하는 데는 한발 앞서 성공했다. 지난 1970년대와 80년대 산업용 로봇 보급시대에 일본은 전 세계 산업용 로봇시장을 주도했다. 자동차·전자·반도체 등에서 세계적인 기술을 자랑하는 일본은 이를 토대로 정교한 산업용 로봇을 개발, 국내외 시장에 출시해 큰 수익을 올렸다.
현재 전 세계에 보급된 산업용 로봇 중 절반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본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최근 로봇기술(RT)을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등과 함께 미래형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하고 로봇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 2,000년 5,000억 엔 수준에 불과했던 RT시장이 오는 2025년까지 약 8조 엔 (80조원)에 이르는 선도 산업 (leading Industry)으로 부상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로봇산업 발전을 위해 작년부터 ‘21세기 로봇 챌린지 이니셔티브’라는 이름으로 산학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377억 달러 규모의 ‘휴먼로봇 프로젝트 (HRP)’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이런 일본 정부와 업체, 관련 연구기관들의 노력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분야에서 쓰일 수 있는 로봇, 그 중에서도 휴머노이드 개발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일본의 로봇산업은 國-産-學이 혼연일체가 돼 현재 산업용 중심에서 애완용 오락로봇, 환자간호 로봇, 대화 상대용 로봇 등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인간형 로봇시대로 빠르게 발전해가고 있다. 새로 등장하는 로봇의 디자인과 기능은 이전에 상상하기 어려웠을 정도로 다양하고 정교하게 변화하고 있다. 아직은 영화 ‘I, Robot’에 등장하는 로봇에 비하면 극히 초보단계라고 할 수 있지만 일본인들은 자신들이 어린 시절 즐겨 보았던 ‘철완 아톰’과 ‘마징가 제트’의 실체를 서서히 현실 속에서 만나고 있는 중이다.
*참고자료
이혜숙 <일본현대사의 이해 -전후 일본사회와 미국의 점령정책-> 경상대학교 해외지역연구센터 2003
아키라 외 3인, 노필호 역<우리가 알아야 할 일본의 현대역사> 명진출판 1991.
오픈백과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패전극복」
타케우치 오사무 <일본 만화 전후 50년사> (http://cafe.naver.com/comic3/76
)
*목 차
I. 전후 일본사회
II. 전쟁 후 일본인의 생각
1. 민심의 동향
III. 전후 일본의 극복 과정과 일본의 만화
1. 전후 일본을 조종하는 미국
2. 한국전쟁의 발발과 일본의 부흥
3. 일본 만화의 발전
IV. 아톰의 등장
V. 아톰의 현대적 의미 - 일본의 로봇산업
*참고자료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교육의 자료
일본의 문화와 사회
일본의 역사적인 관점에서 산업분석
[사회복지] 일본과 미국의 사회복지제도에 관한 연구....
[일본경제사] 전후부흥기
근대 일본의 천황제
일본의 역사
(일본문학의흐름)일본근대문학의 각 주제에 따른 정리-낭만주의문학, 자연주의문학, 시라카바...
베트남전쟁이 한국경제에 미친 영향
[유아교육사와 보육] 아시아의 유아교육(중국과 일본) - 중국의 유아교육과 일본의 유아교육 ...
한국사회문제4C)한국전쟁이나 냉전, 분단이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나, 사회에서 일어나...
사회학 - 일본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제국주의와 고속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