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II. 본론
III. 결론
본문내용
세로의 전환이 우선적인 관건이다. 노인자신의 성 욕구에 있어서 적당한 표현과 적절한 해소가 노년기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또한 노부모를 부양하고 있는 가족들은 노인에 대한 이해와 열린 시각으로 이들이 느끼는 인생의 무료함과 고독감, 성적인 욕구를 감소시키고자하는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넷째, 노인들의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노인들의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TV나 비디오를 통한 시청각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며 언론과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성문화를 확립하기 위한 홍보와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오늘날 신문, TV 등의 대중매체에 모든 연령대의 가족구성원이 그 영향력에 노출되므로 노인들 스스로에게 삶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노인들의 전문 TV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여 많은 노인들의 노후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노인들의 성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다섯째, 전문상담기관과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성문제는 단순히 노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장차 노인이 되면 누구에게나 다가올 우리 모두의 문제이므로 노인의 성문제에 보다 큰 관심을 갖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 관해서는 언제라도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상담하고 의논할 수 있는 전문적인 상담기관의 활성화나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 노인들의 성에 관련한 지식이나 태도, 욕구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노인들의 성적 부분에 있어서 삶의 질을 좀 더 향상시키며, 노년 시기에 삶의 의욕을 불러 일으키는데 있어 긍정적인 기능을 할 것이다. 또한 노인들이 성에 대해 갖고 있는 욕구에 근거하여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으므로 노인의 성에 대한 부분에 관련하여 프로그램 마련 시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참고문헌>
고정자, “노인복지학개론”. 형설출판사, 2003.
권명숙, “노인의 성(sexuality)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권육상,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5.
김광태,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행정대학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김광태곽현근,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현대 사회와 행정 제13권 제2호 83-110, 2003.
김기연송희영박소미, “노인의 성 지식, 태도 및 중요성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1권 제4호 pp.324-332, 2005.
김기영, “노인의 성생활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김기영, “다시 찾은 성의 Renaissance". 선미디어, 2005.
김주희이창은, “유배우자 노인의 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 2000.
김지현, “노인의 성생활 실태, 성인식 및 성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모선희, “현대노인복지론”. 학지사, 2005.
문장부, “노인의 성적 권리에 관한 역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9.
문장합, “노인의 성적 권리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박명화, “노인의 성, Ⅰ: 노년기의 성에 대한 이해”. Nursezine 통권제16호 pp. 53-57, 2004.
배현정, “성욕엔 정년이 없다; 이성교제로 소외감고독감 해소, 노인의 성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주간한국. 통권 2091호 pp.24-26, 2005.
성경원, “노인 성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인의 성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안재순,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지식과 태도 비교연구 : 충북 옥천군의 노년층과 중년층을 대상으로.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윈 논문, 2004.
양해림유성선김철운, “성과 사랑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1.
여순자, “노인 복지시설 종사자들의 노인의 성에 대한 교육 요구도 및 인식도.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유영란, “노인의 성적 욕구와 인식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2.
이연자, “고령화 사회 노인의 성적 권리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이창은,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정동철, “노년의 성과 윤리”. 아산사회복지 사업재단(편). 제8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자료집 : 현대사회와 성윤리, 1996.
정효정, “노인의 성 표현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4.
한혜자김남초지성애, “노인의 성 지식과 태도 및 교육요구”. 성인간호학회지, Vol.15 N01, 2003.
Adams, M. A, Rojas-Camero, C., and Clayton, K, "A small-group sex education/intervention model for the well elderly : A challenge for educators". Educational Gerontology. 16(6). 601-608, 1990.
Adams, S. G. Jr., Chupurdia, K. M., and Loftland, K. R, "Assessment of sexual beliefs and information in aging couples with sexual dysfunction". 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 25. No. 3. 249-260, 1996.
Archibald, C. "Sexuality, dementia and residential care : managers report and response".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6(2), pp. 95-101, 1998.
넷째, 노인들의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노인들의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TV나 비디오를 통한 시청각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며 언론과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성문화를 확립하기 위한 홍보와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오늘날 신문, TV 등의 대중매체에 모든 연령대의 가족구성원이 그 영향력에 노출되므로 노인들 스스로에게 삶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노인들의 전문 TV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여 많은 노인들의 노후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노인들의 성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다섯째, 전문상담기관과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성문제는 단순히 노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장차 노인이 되면 누구에게나 다가올 우리 모두의 문제이므로 노인의 성문제에 보다 큰 관심을 갖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 관해서는 언제라도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상담하고 의논할 수 있는 전문적인 상담기관의 활성화나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 노인들의 성에 관련한 지식이나 태도, 욕구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노인들의 성적 부분에 있어서 삶의 질을 좀 더 향상시키며, 노년 시기에 삶의 의욕을 불러 일으키는데 있어 긍정적인 기능을 할 것이다. 또한 노인들이 성에 대해 갖고 있는 욕구에 근거하여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으므로 노인의 성에 대한 부분에 관련하여 프로그램 마련 시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참고문헌>
고정자, “노인복지학개론”. 형설출판사, 2003.
권명숙, “노인의 성(sexuality)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권육상,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5.
김광태,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행정대학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김광태곽현근,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현대 사회와 행정 제13권 제2호 83-110, 2003.
김기연송희영박소미, “노인의 성 지식, 태도 및 중요성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1권 제4호 pp.324-332, 2005.
김기영, “노인의 성생활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김기영, “다시 찾은 성의 Renaissance". 선미디어, 2005.
김주희이창은, “유배우자 노인의 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 2000.
김지현, “노인의 성생활 실태, 성인식 및 성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모선희, “현대노인복지론”. 학지사, 2005.
문장부, “노인의 성적 권리에 관한 역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9.
문장합, “노인의 성적 권리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박명화, “노인의 성, Ⅰ: 노년기의 성에 대한 이해”. Nursezine 통권제16호 pp. 53-57, 2004.
배현정, “성욕엔 정년이 없다; 이성교제로 소외감고독감 해소, 노인의 성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주간한국. 통권 2091호 pp.24-26, 2005.
성경원, “노인 성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인의 성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안재순,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지식과 태도 비교연구 : 충북 옥천군의 노년층과 중년층을 대상으로.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윈 논문, 2004.
양해림유성선김철운, “성과 사랑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1.
여순자, “노인 복지시설 종사자들의 노인의 성에 대한 교육 요구도 및 인식도.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유영란, “노인의 성적 욕구와 인식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2.
이연자, “고령화 사회 노인의 성적 권리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이창은,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정동철, “노년의 성과 윤리”. 아산사회복지 사업재단(편). 제8회 사회윤리 심포지엄 자료집 : 현대사회와 성윤리, 1996.
정효정, “노인의 성 표현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4.
한혜자김남초지성애, “노인의 성 지식과 태도 및 교육요구”. 성인간호학회지, Vol.15 N01, 2003.
Adams, M. A, Rojas-Camero, C., and Clayton, K, "A small-group sex education/intervention model for the well elderly : A challenge for educators". Educational Gerontology. 16(6). 601-608, 1990.
Adams, S. G. Jr., Chupurdia, K. M., and Loftland, K. R, "Assessment of sexual beliefs and information in aging couples with sexual dysfunction". 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 25. No. 3. 249-260, 1996.
Archibald, C. "Sexuality, dementia and residential care : managers report and response".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6(2), pp. 95-101,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