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복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청소년이란?
①신체 생리적 특성
②인지적 특성
③정서적 특성
④사회적 특성

2.청소년 복지의 개념

3.청소년 복지의 특성

4.청소년 복지의 발달 과정
①맹아기
②도입기
③전개기

5.청소년관련법과 행정체계
청소년관련법
청소년정책
3청소년행정

6.청소년복지의 과제와 전망

7.청소년 문제점과 해결방안

본문내용

내용
가출동기
Homer
탈출형: 개인이나 가족문제로부터 도망치는 청소년
추구형: 모험, 쾌락, 새로운경험을 찾고자 하는 청소년
Green과Esselstyn
떠도는 가출소녀: 순간의 즐거움을 찾는 형
불안한 가출소녀: 복잡한 가정문제로 인해 가출한 형
놀란 가출소녀: 부나 계부로부터 성적 피해자들이 많음
집을 떠난 기간
English
뜨내기: 집을 떠나는 것을 즐기지만 48시간 내에 복귀
반복가출자: 가족으로부터 관심을 끌거나 문제 상황에서 도피하기 위해 가출함
분열자: 사소한 좌절로 영구히 집을 떠나고자 함
심각한 거리족: 집과의 관계를 일절 끊고 방랑생활을 함
집단규모
박부일
개인적 가출: 단독가출
집단가울: 여러 명이 함께 가출
줄줄이 가출: 가출한 청소년이 비가출 청소년을 끌어내는 것
문제정도
Stierlin
미수성: 가족과의 심리적 결속이 강해 몇 시간 내에 귀가함
분열성: 정신장애로 안한 가출
우발성: 충동적 가출
위기성: 위기로 인한 탈출형 가출
Bulter&
Reador
탐구적: 쾌락이나 호기심에 의한 가출
일차성: 자신 및 가정의 문제로 가출함
반사회성: 가출 후 반사회적 행동을 자행함
정신장애성: 정신 장애로 인해 가출함
행동 및 태도 요인
Dunford
자만심이 강하고 제멋대로의 가출청소년
잘 적응하는 가출 청소년
비행에 심하게 개입된 청소년
달아난 청소년
부모요인과 아동요인에 의해
Miller
부모요인에 의한 가출: 희생자, 추방자, 반항자
아동요인에 의한 가출: 도망자, 피난자, 이민자
가출행위의 내면화 정도
Orten과Soll
1급가출 청소년: 한두 번 가출을 시도하지만 심리적인 면에서 가정으로부터 독립하지 못함
2급가출 청소년: 이전에 가출 경력이 있어 좀더 내면화된 개출행동을 하는 경우
3급가출 청소년: 1년이상 길거리 생활을 하고 있는 청소년
기타
형사정책 연구원
가출결과: 시위성, 도피성, 추출성 가출
가출준비: 충동적, 계획된 가출
가출횟수: 일과성, 습관적 가출
이용교
단순탈출, 만성탈출, 만성가출, 단순가출
③가출의 원인
㉠개인적 차원: 가출의 원인을 가출청소년이 일반청소년들과 구분되는 정서적행동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라는 점에 근거
㉡환경적 차원
-가정적요인
-학교적요인
-사회적요인
③가출청소년의 당면문제
㉠정서적 문제
㉡교용 및 주거문제
㉢교육문제
㉣성문제 및 건강문제
㉤약물남용문제
㉥비행문제
㉦가정 및 학대문제
④해결방안
㉠제도적 차원
㉡실천적 차원
⑶학교폭력문제
-법적으로는 사람의 신체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로 정의하여 단지 신체적인 것에 한정 하여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신체적물리적 이외에도 정신적심리적 폭력도 포함한다.
①학교폭력의 원인
㉠개별적요인: 열등의식, 무력감과 단절의식, 누적된 공격성, 자기통제력 결여, 그리고 좌절 공격 이론이며 정신적 장애도 언급되기도 한다.
㉡사회적요인
-가정환경: 가정적 요인으로는 가정 내에서 공공연히 자행되는 가정폭력과 결손가정 을 문제로 들 수 있다.
-학교환경: 입시위주의 교육과 학교에서 행해지는 교사의 폭행, 학교사회복지사의 부재 등을 둘 수 있다.
-사회적 환경: 불량 만화, 비디오방, 전화방, 오락실, 유흥업소 등이 학교 주변에 까 지 침범하여 민감한 학생들을 쉽게 유혹하고 있다.
②학교폭력의 실태
-2003년 한 해 동안 소년범죄는 전체범죄의 4.3%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 소년 범죄의 유형별 분포상황을 보면 폭력범이 30.3% 재산범이 34.6% 교통사범이 25.0% 살인강 간강도 등 강력범이 2.8%를 차지하고 있다.
연도

폭력범
절도범
강력범
기타
인원
인원
점유율
인원
점유율
인원
점유율
인원
점유율
1999
2000
2001
2002
2003
91,942
97,056
85,040
76,489
68,549
36,811
38,706
34,003
25,977
22,528
40.0
39.9
40.0
34.0
32.9
18,743
20,219
14,631
15,987
15,294
20.4
20.8
17.2
20.9
22.3
2,296
2,083
1,742
1,092
1,364
2.5
2.2
2.0
1.4
2.0
34,092
36,048
34,664
33,433
29,363
37.1
37.1
40.8
43.7
42.8
③해결방안
㉠학교폭력에 대한 시각 전환
-청소년들의 인권존중
-가해-피해라는 이분법적 사고 탈피
-징벌 위주에서 치료적예방적 차원으로의 전환이 필요
-가정학교정부사회적 차원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환경 조정 방안
-가정적 측면
-학교적 측면
-사회적 측면
㉢학교 폭력 청소년 당사자를 위한 원조 방안
⑷집단따돌림 문제
-집단 괴롭힘은 어떤 학생이 고의적으로 반복해서 일정한 기간 동안에 다른 사람의 신 체, 감정 또는 소유물들에 신체적정서적 상해 또는 불쾌함을 가하거나 가하겠다고 위협 할 때 일어난 다고 정의.
①집단따돌림의 원인
㉠개인적 요인: 청소년들은 환경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본능이 있는데 그것을 공격성 을 표출하는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안겨 준 직접적인 대상을 찾아 그것을 직접 극복하려 고 하기보다는 손쉬운 상대를 찾아 화풀이를 하는 것으로 일시적 만족감을 얻는 경우.
㉡사회 환경적 요인
-비정상적인 양육방식을 사용하는 가정교육
-지나친 경쟁을 조장하는 학교의 억압적 교육풍토
-영상매체로 인한 자기중심성과, 소비지상주의, 자극적 영상 표현에 대한 체험지향
②집단따돌림의 실태
서울시내 중고등학교 학생 2,565명을 조사한 결과 11%가 따돌림을 당한다고 응답
전국 57개 초중고교생 6,893명을 조사한 한국교육개발원의 보고에 따르면 집단따돌림을 당한 학생의 비율은24.2%였고 그 중 왕따 피해가 가장 큰 학년이중학교2학년(29.2%)였다.
③해결방안
㉠상담치료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개별상담과 집단상담을 병행실시
-가해학생을 대상으로 가해자의 심리적 저변에 깔려 있는 분노, 적대감, 가학성을 조사하여 스스로 통제 할 수 있도록 상담 실시
-예비 피해자, 가해자 예방을 위한 또래상담 프로그램실시
㉡교육 및 훈련의 기회 제공
㉢환경 조정
㉣학교에 대한 지원
㉤부모에 대한 교육정보 제공
㉥지역사회에 대한 개입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9.12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8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