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디지털 및 정보화의 개요
▶ 도구적 측면에서의 정보화와 건축
▶ 건축적 패러다임과 결론
▶ 도구적 측면에서의 정보화와 건축
▶ 건축적 패러다임과 결론
본문내용
거나 확장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하며, 더 이상 직사각형의 상자와 기둥에 의한 제한은 없다고도 할 수 있다. 정적인 요소로 가득 찬 공간은 정적인 어떤 것에 의해서도 동요되지 않고 디지털 정보에 의해 탈구조화된 개념은 완전히 동적인 변화를 통해 기존의 건축 개념을 재구성하고 변화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998년 이후에 나타난 피터아이젠만, 그렉린, 노박, 스테판 페렐라, 어심토트, UN studio, 우스터휘스 등의 건축가들은 이상의 사회적 특성에 따른 가변적, 복합성, 다이어그램적 접근법, 액상화, 시간기반 건축, 유리체적 건축과 같은 개념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4>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의 3D지오메트릭 모델
<그림5> Frank Gehry의 Fish
<그림6> 버추얼 구겐하임 미술관
1998년 이후에 나타난 피터아이젠만, 그렉린, 노박, 스테판 페렐라, 어심토트, UN studio, 우스터휘스 등의 건축가들은 이상의 사회적 특성에 따른 가변적, 복합성, 다이어그램적 접근법, 액상화, 시간기반 건축, 유리체적 건축과 같은 개념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4>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의 3D지오메트릭 모델
<그림5> Frank Gehry의 Fish
<그림6> 버추얼 구겐하임 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