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항의 종류와 특성
1 저항의 개요
1-1) 저항이란?
1-2) 저항의 종류 및 특성
1-3) 저항의 단위와 유래
1-4) 저항의 읽는 방법
1-5) 저항값의 종류(저항값의 계열 분류)
2 저항기의 정의
2-1)저항기의 종류 및 특성
2-2) 저항기 선택시 주의사항
2-3)저항의 종류
2-4)고정값 저항기의 종류
3 가변저항기의 정의 및 특성
3-1) 가변 저항기의 종류
3-2) 재료의 분류에 따른 가변 저항기
3-3) 형태에 따른 가변 저항기의 종류
1 저항의 개요
1-1) 저항이란?
1-2) 저항의 종류 및 특성
1-3) 저항의 단위와 유래
1-4) 저항의 읽는 방법
1-5) 저항값의 종류(저항값의 계열 분류)
2 저항기의 정의
2-1)저항기의 종류 및 특성
2-2) 저항기 선택시 주의사항
2-3)저항의 종류
2-4)고정값 저항기의 종류
3 가변저항기의 정의 및 특성
3-1) 가변 저항기의 종류
3-2) 재료의 분류에 따른 가변 저항기
3-3) 형태에 따른 가변 저항기의 종류
본문내용
물론 이부품은 저항이지만 외형은 기존의 다른 저항기와 달리 단자가 여러 개 나와 있으며 칩 형태의 칩 네트워크 저항기와 다리를 갖는 일반형 어레이 저항기가 있다. 장점은 직접화에 의해 조립공수를 줄이고 자동 조립이 용이하며 고밀도 실장으로 실장 면적이 감소한다. 하지만 후막칩 저항기와 마찬가지로 고가이며 납땜 조건의 관리가 필요하고 기판 Parrern배선에 주의가 필요하다.
9. 솔리드 저항기
3.가변저항기의 정의 및 특성
가변저항기는 일반적으로 볼륨(Variable ohm)이라 부르는 경우도 많다. 라디오의 음향조정과 같이 용이하게 저항값을 바꿀수 있는 것과, 전자회로에서 부품의 오차에 의한 동작상태를 저정해야 하는 경우 등에 사용하는 통상 저항값을 바꾸지 않는 반 고정 저항기가 있다. 통상적인 가변 저항기,반고정 저항기는 회전할수 있는 각도가 300도 정도이지만 저항값을 세밀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기어를 조합하여 다회전 시킬수 있는 퍼텐셔미터라는 것도 있다. 사진의 우측에 있는 것은 음향조정과 같이 저항값을 용이하게 바꿀수 있는 가변저항기 이다. 중앙에 있는 4개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는데 프린트 기판등에 실장하는 반고정 가변 저항기이다.
3-1. 가변 저항기의 종류
가변 저항기의 종류는 저항체의 재료에 따른 가변저항과 형태에 따른 가변 저항의 종류 두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로 저항에의 재료에 따른 가변저항은 1.탄소피막 가변저항기 2. 서미트형 가변저항기 3.권선형 가변 저항기 4.전도성 플라스틱 가변저항기가 있고
둘째로 형태에 따른 가변 저항은 1. 볼륨형 가변 저항기 2.슬라이드 가변저항기 3.반고정 저항ㄱ\기 4. 정밀형 가변 저항기로 나누어 진다.
3-2 재료의 분류에 따른 가변 저항기
1) 탄소피막형 가변저항기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가변저항기로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절연기판 소재에 탄소 피막을 입혀 저항 값을 조절하고 저항기의 한쪽 전극을 탄소피막 위를 이동시켜 저항값을 조절한다. 저항체의 특성은 일반적인 탄소피막 저항기와 거의 같으며 전극의 이동에 회전축을 이용하는 형태와 좌우로 이동하는 형태가 있다. 특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용도에는 오디오용 볼륨이나 Balancer 등이 있으며 흔히 볼륨이라고 할 때는 탄소피막형 회전축 가변저항을 의미한다.
------ [탄소피막형 가변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
>> 성능이 안정되어있다.
>> 저항온도계수가 크다.
2) 서미트형 가변저항기
세라믹을 절연체로 cermet(ceramic과 metal을 혼합한 저항체) 저항체를 이용한 정밀 가변저항이다. Cermet은 탄소피막에 비하여 내구성이 강하고 정밀한 저항값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온도계수가 낮고, 내습성이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므로 주로 아날로그 회로의 바이어스 조정, 레벨 미조정 회로와 같이 세밀한 조정이 필요한 곳에 사용한다.
------
[세미트형 가변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저항온도계수가 낮다.(±100 ∼ ±300ppm/℃)
>> 소형이다
>>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 가격이 비싸다.
3) 권선형 가변저항기
권선형 고정 저항기와 마찬가지로 절연체 권심에 저항선을 감아 만듭니다. 권선형이므로 대전력형을 만들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주로 전류, 전력 조절용 가변저항부에 많이 사용하지만 크기가 크고 높은 저항값을 얻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유도성분이 발생하기 쉬워 고주파 회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 [권선형 가변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온도특성이 우수하다.(±50ppm/℃이하)
>> 고정밀 저항기가 가능하고 안정적이다.
>> 대전력형이 가능하다.
>> 절연체에 의해 보호되므로 내전압이 양호.
>>고가이다.
>> 고저항값을 얻기가 매우 어렵다. (수Ω∼수㏀)
>> 대전력형인 경우 발열이 크다.
>> 주파수가 높은 교류에 사용이 어렵다.
3-3 형태에 따른 가변 저항기의 종류
1)볼륨형 가변저항기
볼륨형이라는 단어는 오디오의 볼륨에 주로 사용된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오디오 볼륨과 같은 형태 즉, 기기의 외부에 손잡이를 두고 항상 조절 가능한 형태의 가변 저항을 볼륨이라는 단어로 사용한다.그러나, 해외에서는 Volume이라는 단어 대신에 Potentiometer 또는 Attenuator라고 부르기도 한다.
볼륨형 가변 저항은 대부분 탄소피막 저항체를 사용하며 사용 용도에 따라 밀폐형과 개방형이 있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극이 움직이는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좌우로 전극이 움직이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이라고 부fms다.
2) 반고정 저항기
반고정 저항은 볼륨형 저항과 달리 대부분 회로 기판에 직접 장착되며 회로의 동작점을 미세조정할 때 사용된다.
그러므로,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가 없는 대신 일자 혹은 십자 드라이버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반고정 가변저항은 영문으로 trimmer potentiometer라고 부fms다.
3) 정밀형 저항기
정밀 가변저항(Precision Potentiometer)은 일반형 가변 저항이 1회전 또는 270°의 회전각을 갖는데 비하여 2회전 이상의 회전으로 저항값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저항을 말한다. 정밀 가변저항에는 볼륨형과 반고정형이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형태는 반고정형이다. 정밀 가변저항은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회로에 사용되기 때문에 Cermet 저항체 또는 권선형 저항체가 사용된다.
정밀한 저항 필요한 경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저항기로 특히 고주파 특성이 좋으므로 디지털 회로에도 널리 사용된다. 제조 방법은 세라믹 로드에 니크롬 ,TIN, TaN,니켈, 크롬 등의 합금을 진공 증착, 스퍼터링등의 방법으로 필름 형태로 부착 시킨 후 홈을 파서 저항값을 조절 하는 방법으로 만든다. 대량생산에도 적합하고 온도특성, 전류 잡음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재료의 특성상 탄소피막 저항기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한 덩어리의 저항체로 이루어진 저항이기 때문에 정확한 정밀도가 높은 저항을 만들기는 어렵지만 소형으로 고내압, 고저항의 제품을 만들어 내기가 용이하다. 또한, 생산가격이 저렴하고 고주파
9. 솔리드 저항기
3.가변저항기의 정의 및 특성
가변저항기는 일반적으로 볼륨(Variable ohm)이라 부르는 경우도 많다. 라디오의 음향조정과 같이 용이하게 저항값을 바꿀수 있는 것과, 전자회로에서 부품의 오차에 의한 동작상태를 저정해야 하는 경우 등에 사용하는 통상 저항값을 바꾸지 않는 반 고정 저항기가 있다. 통상적인 가변 저항기,반고정 저항기는 회전할수 있는 각도가 300도 정도이지만 저항값을 세밀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기어를 조합하여 다회전 시킬수 있는 퍼텐셔미터라는 것도 있다. 사진의 우측에 있는 것은 음향조정과 같이 저항값을 용이하게 바꿀수 있는 가변저항기 이다. 중앙에 있는 4개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는데 프린트 기판등에 실장하는 반고정 가변 저항기이다.
3-1. 가변 저항기의 종류
가변 저항기의 종류는 저항체의 재료에 따른 가변저항과 형태에 따른 가변 저항의 종류 두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로 저항에의 재료에 따른 가변저항은 1.탄소피막 가변저항기 2. 서미트형 가변저항기 3.권선형 가변 저항기 4.전도성 플라스틱 가변저항기가 있고
둘째로 형태에 따른 가변 저항은 1. 볼륨형 가변 저항기 2.슬라이드 가변저항기 3.반고정 저항ㄱ\기 4. 정밀형 가변 저항기로 나누어 진다.
3-2 재료의 분류에 따른 가변 저항기
1) 탄소피막형 가변저항기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가변저항기로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절연기판 소재에 탄소 피막을 입혀 저항 값을 조절하고 저항기의 한쪽 전극을 탄소피막 위를 이동시켜 저항값을 조절한다. 저항체의 특성은 일반적인 탄소피막 저항기와 거의 같으며 전극의 이동에 회전축을 이용하는 형태와 좌우로 이동하는 형태가 있다. 특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용도에는 오디오용 볼륨이나 Balancer 등이 있으며 흔히 볼륨이라고 할 때는 탄소피막형 회전축 가변저항을 의미한다.
------ [탄소피막형 가변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
>> 성능이 안정되어있다.
>> 저항온도계수가 크다.
2) 서미트형 가변저항기
세라믹을 절연체로 cermet(ceramic과 metal을 혼합한 저항체) 저항체를 이용한 정밀 가변저항이다. Cermet은 탄소피막에 비하여 내구성이 강하고 정밀한 저항값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온도계수가 낮고, 내습성이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므로 주로 아날로그 회로의 바이어스 조정, 레벨 미조정 회로와 같이 세밀한 조정이 필요한 곳에 사용한다.
------
[세미트형 가변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저항온도계수가 낮다.(±100 ∼ ±300ppm/℃)
>> 소형이다
>>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 가격이 비싸다.
3) 권선형 가변저항기
권선형 고정 저항기와 마찬가지로 절연체 권심에 저항선을 감아 만듭니다. 권선형이므로 대전력형을 만들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주로 전류, 전력 조절용 가변저항부에 많이 사용하지만 크기가 크고 높은 저항값을 얻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유도성분이 발생하기 쉬워 고주파 회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 [권선형 가변저항기의 특징]
장점
단점
>> 온도특성이 우수하다.(±50ppm/℃이하)
>> 고정밀 저항기가 가능하고 안정적이다.
>> 대전력형이 가능하다.
>> 절연체에 의해 보호되므로 내전압이 양호.
>>고가이다.
>> 고저항값을 얻기가 매우 어렵다. (수Ω∼수㏀)
>> 대전력형인 경우 발열이 크다.
>> 주파수가 높은 교류에 사용이 어렵다.
3-3 형태에 따른 가변 저항기의 종류
1)볼륨형 가변저항기
볼륨형이라는 단어는 오디오의 볼륨에 주로 사용된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오디오 볼륨과 같은 형태 즉, 기기의 외부에 손잡이를 두고 항상 조절 가능한 형태의 가변 저항을 볼륨이라는 단어로 사용한다.그러나, 해외에서는 Volume이라는 단어 대신에 Potentiometer 또는 Attenuator라고 부르기도 한다.
볼륨형 가변 저항은 대부분 탄소피막 저항체를 사용하며 사용 용도에 따라 밀폐형과 개방형이 있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극이 움직이는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좌우로 전극이 움직이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이라고 부fms다.
2) 반고정 저항기
반고정 저항은 볼륨형 저항과 달리 대부분 회로 기판에 직접 장착되며 회로의 동작점을 미세조정할 때 사용된다.
그러므로,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가 없는 대신 일자 혹은 십자 드라이버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반고정 가변저항은 영문으로 trimmer potentiometer라고 부fms다.
3) 정밀형 저항기
정밀 가변저항(Precision Potentiometer)은 일반형 가변 저항이 1회전 또는 270°의 회전각을 갖는데 비하여 2회전 이상의 회전으로 저항값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저항을 말한다. 정밀 가변저항에는 볼륨형과 반고정형이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형태는 반고정형이다. 정밀 가변저항은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회로에 사용되기 때문에 Cermet 저항체 또는 권선형 저항체가 사용된다.
정밀한 저항 필요한 경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저항기로 특히 고주파 특성이 좋으므로 디지털 회로에도 널리 사용된다. 제조 방법은 세라믹 로드에 니크롬 ,TIN, TaN,니켈, 크롬 등의 합금을 진공 증착, 스퍼터링등의 방법으로 필름 형태로 부착 시킨 후 홈을 파서 저항값을 조절 하는 방법으로 만든다. 대량생산에도 적합하고 온도특성, 전류 잡음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재료의 특성상 탄소피막 저항기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한 덩어리의 저항체로 이루어진 저항이기 때문에 정확한 정밀도가 높은 저항을 만들기는 어렵지만 소형으로 고내압, 고저항의 제품을 만들어 내기가 용이하다. 또한, 생산가격이 저렴하고 고주파
추천자료
옴의 법칙과 키르히호프의 법칙
망로전류를 이용한 회로해석
기초전기회로실험 (예비 & 결과) 2장부터 55장까지 (몇개는 제외)
일반물리실험 캐패시터결과
RLC 회로 - 전압센서 레포트 - 일반물리학실험
직렬회로의 전압전류 측정, 전압분배 및 KVL 레포트(예비+결과)
부하를갖는전압분할회로의 결과보고서
망전류를 이용한 회로해석 결과레포트
전기전자기초실습_선로회로
콘덴서 유도전동기 사전보고서 (콘덴서 기동 유도 전동기의 기동 및 운전, 콘덴서 운전 유도 ...
[예비] 전기전자실험 인덕터의 직병렬 연결
[결과] 전기전자실험 직렬연결
기초회로실험 - 중첩의 정리와 가역정리
[전기전자 실험] 옴의 법칙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