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아서 밀러(Arthur Miller)의 시련(The Crucible)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물의 목표 찾기

2. 인물의 가정적 배경

3. 인물의 내면세계

4. 인물의 외적조건

#. 첫인상 정리
1. 첫인상
2. 이야기 줄거리 내용

#. 아서밀러에 대해서..

본문내용

모를 통하여 자기인식에 이른 뒤 자신과 화해하는 것과 극작을 통하여 밀러가 자신과 화해하는 것 사이에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밀러의 비극관이 가장 그래픽하게 실현된 작품은 1953년에 발표한 <시련>이다. 권력의 위선과 횡포에 맞서서 자기모멸의 희생을 감수하면서 결연히 투쟁하는 한 소박한 농부의 영웅적 삶을 17세기초에 있었던 실화를 바탕으로 그린 이 작품은 현대적 비극의 전형을 이룩한다. 주인공 프락터는 청교도적 시대에 치명적인 자신의 불륜을 공개적으로 고백하면서까지 진실에 헌신하고 목숨을 바치면서까지 자신의 깨끗한 이름을 지키기 때문에 비록 신분은 하찮은 농부에 지나지 않지만 이디푸스와 햄릿에 못지않은 고통과 고뇌와 인식과 용기로 ‘인간의 완벽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밀러의 위대함은 그가 사회와 시대의 변화를 날카롭게 관찰하면서 가치의 변화를 작품 속에 정확하게 반영하는 데서도 나타난다. <시련>이 발표된 전후의 시점은 분명한 가치관과 영웅이 가능한 시대였다. 시대의 정신과 그 변화의 흐름을 정확하게 포착해서 연극적으로 반영하는 밀러의 창작태도는 극작의 전범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다.
참고자료
1 김정수, “밀러의 극작품 『시련』에 나타난 마녀사냥의 집단적 광기”, 외대어문논 집 Vol.15, 2000.
2. 윤여복,, “현대 비극의 개념”, 동아영어영문학 Vol.2, 1986.
3. 김정수, “현대 비극으로서의 The Crucible연구”, 외대어문논집 Vol.4, 1988.
4. 황순향, “『시련』(The Crucible)에 나타난 권력과 주체의 양상”, 신영어영문학13 집, 2000.
5. 김정수, “Suicide in The Crucible and After the Fall” , 외대어문논집 Vol 11. No.1, 1993
6. 이태주, 『교수의 연극론』, 새문사, 1998
7. 이홍우, 『연극의 이해』, 월인, 1999
8. 김일영, 『연극 총론』, 중문사, 1997
9. 김우택. "영미희극개론"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1983.
10. 허 종. "아서 밀러의 사회극" 한국학술정보. 2001
11. 예영수. "영미희곡사상사" 형설출판사, 1985
12. 이형식. "현대 미국 희곡론" 신아사, 1995
13. 하해성/한국 드라마 학회 "영미희곡과 극예술" 푸른사상, 2000
14. 김우탁 외 공저. "영미극작가론" 문학세계사.1987. 307-327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9.17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