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작하면서 손가락을 입에 대었거나 떼는 행동을 자주 보였으며, 동시에 침을 흘리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또한 입안에 손가락을 넣은 상태에서 색연필을 바꾸거나, 몸을 구부려 종이를 잡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손가락 빨기 행동은 총 8회, 35분 동안 나타났다.
기초선2 - 4월 17일
지난 시간과 동일하게 색칠하기 과제가 주어졌다. 손가락을 입에 넣는 동안 침을 많이 흘려 침을 닦기 위해 손가락을 빼기 위해 3회 정도 손가락을 뺄 수 있었으나 즉시 다시 손가락 빨기 행동이 관찰되었다. 또한 습관적으로 손을 입에 대는 행동이 3초~5초 짧게 나타났다. 기초선1과 달리 손가락 빨기 행동이 17회로 증가하였으나 오히려 그 지속시간이 짧아져서 총 20분의 지속시간을 보였다.
기초선3 - 4월 20일
특별히 관찰자에게 친근한 관심을 보이면서 과제에 집중하지 않고 처음에는 관찰자에게 자주 말을 시키거나 색칠할 과제를 보여주는 등 관찰자의 관심을 끌려는 행동을 보였다. 차츰 아동은 색칠하기에 집중하면서 손가락 빨기 행동이 자주 나타났으며 수업시간 동안 손가락 빨기 행동은 20회. 총 15분 동안 나타났다.
(2) 중재
<1회기> 4월 26일
중재 전, 아동과 두 교사가 식당에서 비디오 자기관찰을 시도하였다. 비디오 자기관찰이란 자신의 모습이 담긴 비디오 테잎을 보며 자신의 손가락 빨기 행동에 대해 관찰하고 이야기 나누며, 목표행동이 나오지 않았을 때에는 칭찬으로 강화하는 방법이다.
이 때에 아동의 반응은 기계조작, 비디오 장면 속 친구에 대해 관심을 보였으며, 잘 집중하지 않았고, "언제 끝나요?" 등의 질문으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였다.
중재 - 미술과제는 색칠하기였고, 익숙하고 자유롭게 색칠과제를 해 가면서도, 두 교사를 많이 의식하였고, 수업 전반에서 산만한 모습을 보였다.
아동의 손가락 빨기 행동은 색칠하기 과제수행 중 1회 나타났으며, 중재자는 즉각 중재하였다.
중재방법 : 종이잡자, 허리 펴자, 색칠해 (3가지 연속적인 단계를 언어와 행동으로 모방하게 함)
아동은 행동중재시에 교사의 Self-talk modeling를 잘 따라하였다.
<2회기> 5월 1일
중재 전, 아동에게 제시할 Self-talk 3문장을 언급해 주었다. Self-talk이 적힌 카드를 아동의 책상에 붙여 놓았다. 아동은 수업시간 동안 옆 친구에게 주로 관심을 보이며 친구의 행동에 대해 말하려고 했다.
중재 - 미술과제는 카네이션 만들기였고, 아동은 주로 가위로 자르는 활동을 하였다.
아동의 손가락 빨기 행동은 짧게 2회의 빈도수로 나타났고, 그 때마다 카드를 보면서 즉각 중재하였다.
그 이후엔 가위를 입에 대는 행동을 보였으나, 수업 전반에서 가위질에 흥미를 보이며 잘 따라했다.
<3회기> 5월 3일
미술과제는 어버이날을 위한 "카네이션 만들기"였고, 아동은 주로 가위로 주름종이를 2/3쯤 자르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아동은 수업 시작 약 10분 후 오른 손의 손가락을 가위에 끼운 채 가위의 손잡이 부분을 이로 잠시(약 5초 정도) 물고 있다가 빼었고, 수업시작 후 약 25분 경에는 왼쪽 새끼손가락을 약 2초 정도 물었다가 빼었다. 중재는 새끼손가락을 물었다가 뺀 후에 "손가락을 입에 물면 어떻게 해야지" 하고 물었으며, 아동은 "종이잡자, 허리 펴자, 가위로 자르자."라고 대답을 하였다.
<4회기> 5월 17일
미술시간에 색종이 접기를 하였다. 아동은 색종이 접기에 집중을 하고있었으며 교사의 눈치를 자주 보았다. 교사를 의식하고 있어, 자주 눈치를 보다가 눈길이 마주치면 싱긋이 웃고 있었다. 아마 교사가 무슨 말을 할 지 알고 있는 듯하다.
미술시간 동안 양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손가락 빨기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5회기> 5월 22일
미술시간에 찰흙으로 그릇 만들기를 하였다. 주요활동은 찰흙을 손바닥으로 비벼서 길게 만들어 말아서 그릇을 만드는 것이다. 아동은 설명을 잘 듣고 처음에는 엉뚱하게 흙만 주물럭거리고 있어, 다시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니 지시에 따라 작품을 완성하였다. 칭찬을 한 후에 다시 한번 만들게 하였더니 엉성하게 작품을 완성하였다. 찰흙으로 그릇 만들기를 하는 동안 아동은 손가락 빨기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6회기> 5월 24일
미술시간에 색칠하기를 하였다. 학생들 모두 과제에 열중하였으며 아동도 자신이 맡은 색칠하기 과제에 집중을 하여 잘하였다. 과제 수행 중 손가락 빨기 행동은 없었으나, 교사의 눈치를 보는 행동은 여러 번 눈에 띠었다. 과제 수행 행동은 지난번에 지시한 대로 종이를 손에 잡고 허리를 펴고 색칠하기를 하였다. 색칠하기 한 장을 끝낸 후 공백시간에도 손가락 빨기 행동을 하지 않았으며, 교사의 눈치를 자주 보고 있었다. 교사와 눈길이 마주치면 다 알고 있다는 듯 미소를 지었다.
Ⅳ. 결 과
손가락 빨기 행동을 보이는 아동에게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손가락 빨기 행동을 감소시키게 하였다. 인지적 개념화를 위해 아동과 함께 비디오를 보며 자기관찰을 하려고 했으나 낯선 사람과 함께 있는 것에 대해 아동은 많이 불안해하여 자기관찰이 어려워졌다. 하지만 아동은 자신의 손가락 빠는 행동이 부적절 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손가락 빨기 행동이 나타나면 인지적 과정을 통해 행동변화를 유도하려고 했다. 1, 2, 3회기에는 아동이 Self-talk을 잘 따라하며, 행동변화가 나타났지만 4, 5, 6회기에는 담당교사를 의식하여 손가락 빨기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다른 수업시간에는 여전히 손가락 빨기 행동이 보이고 있으며 복도에서도 손가락 빨기 행동이 관찰된다고 한다. 이것은 아마도 “호손효과”라 여겨진다.
손가락 빨기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예능시간에만 인지적 행동치료를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수업시간과 가정에서도 일관성 있는 24시간 중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사회복지실천론, 형설출판사, 전재일외 5인
사회복지실천분야론, 학지사, 조흥식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동인, 윤현숙 외6인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엄명용외 4인
사회복지실천, 고헌출판, 신성자외 3인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김기태외 3인
기초선2 - 4월 17일
지난 시간과 동일하게 색칠하기 과제가 주어졌다. 손가락을 입에 넣는 동안 침을 많이 흘려 침을 닦기 위해 손가락을 빼기 위해 3회 정도 손가락을 뺄 수 있었으나 즉시 다시 손가락 빨기 행동이 관찰되었다. 또한 습관적으로 손을 입에 대는 행동이 3초~5초 짧게 나타났다. 기초선1과 달리 손가락 빨기 행동이 17회로 증가하였으나 오히려 그 지속시간이 짧아져서 총 20분의 지속시간을 보였다.
기초선3 - 4월 20일
특별히 관찰자에게 친근한 관심을 보이면서 과제에 집중하지 않고 처음에는 관찰자에게 자주 말을 시키거나 색칠할 과제를 보여주는 등 관찰자의 관심을 끌려는 행동을 보였다. 차츰 아동은 색칠하기에 집중하면서 손가락 빨기 행동이 자주 나타났으며 수업시간 동안 손가락 빨기 행동은 20회. 총 15분 동안 나타났다.
(2) 중재
<1회기> 4월 26일
중재 전, 아동과 두 교사가 식당에서 비디오 자기관찰을 시도하였다. 비디오 자기관찰이란 자신의 모습이 담긴 비디오 테잎을 보며 자신의 손가락 빨기 행동에 대해 관찰하고 이야기 나누며, 목표행동이 나오지 않았을 때에는 칭찬으로 강화하는 방법이다.
이 때에 아동의 반응은 기계조작, 비디오 장면 속 친구에 대해 관심을 보였으며, 잘 집중하지 않았고, "언제 끝나요?" 등의 질문으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였다.
중재 - 미술과제는 색칠하기였고, 익숙하고 자유롭게 색칠과제를 해 가면서도, 두 교사를 많이 의식하였고, 수업 전반에서 산만한 모습을 보였다.
아동의 손가락 빨기 행동은 색칠하기 과제수행 중 1회 나타났으며, 중재자는 즉각 중재하였다.
중재방법 : 종이잡자, 허리 펴자, 색칠해 (3가지 연속적인 단계를 언어와 행동으로 모방하게 함)
아동은 행동중재시에 교사의 Self-talk modeling를 잘 따라하였다.
<2회기> 5월 1일
중재 전, 아동에게 제시할 Self-talk 3문장을 언급해 주었다. Self-talk이 적힌 카드를 아동의 책상에 붙여 놓았다. 아동은 수업시간 동안 옆 친구에게 주로 관심을 보이며 친구의 행동에 대해 말하려고 했다.
중재 - 미술과제는 카네이션 만들기였고, 아동은 주로 가위로 자르는 활동을 하였다.
아동의 손가락 빨기 행동은 짧게 2회의 빈도수로 나타났고, 그 때마다 카드를 보면서 즉각 중재하였다.
그 이후엔 가위를 입에 대는 행동을 보였으나, 수업 전반에서 가위질에 흥미를 보이며 잘 따라했다.
<3회기> 5월 3일
미술과제는 어버이날을 위한 "카네이션 만들기"였고, 아동은 주로 가위로 주름종이를 2/3쯤 자르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아동은 수업 시작 약 10분 후 오른 손의 손가락을 가위에 끼운 채 가위의 손잡이 부분을 이로 잠시(약 5초 정도) 물고 있다가 빼었고, 수업시작 후 약 25분 경에는 왼쪽 새끼손가락을 약 2초 정도 물었다가 빼었다. 중재는 새끼손가락을 물었다가 뺀 후에 "손가락을 입에 물면 어떻게 해야지" 하고 물었으며, 아동은 "종이잡자, 허리 펴자, 가위로 자르자."라고 대답을 하였다.
<4회기> 5월 17일
미술시간에 색종이 접기를 하였다. 아동은 색종이 접기에 집중을 하고있었으며 교사의 눈치를 자주 보았다. 교사를 의식하고 있어, 자주 눈치를 보다가 눈길이 마주치면 싱긋이 웃고 있었다. 아마 교사가 무슨 말을 할 지 알고 있는 듯하다.
미술시간 동안 양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손가락 빨기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5회기> 5월 22일
미술시간에 찰흙으로 그릇 만들기를 하였다. 주요활동은 찰흙을 손바닥으로 비벼서 길게 만들어 말아서 그릇을 만드는 것이다. 아동은 설명을 잘 듣고 처음에는 엉뚱하게 흙만 주물럭거리고 있어, 다시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니 지시에 따라 작품을 완성하였다. 칭찬을 한 후에 다시 한번 만들게 하였더니 엉성하게 작품을 완성하였다. 찰흙으로 그릇 만들기를 하는 동안 아동은 손가락 빨기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6회기> 5월 24일
미술시간에 색칠하기를 하였다. 학생들 모두 과제에 열중하였으며 아동도 자신이 맡은 색칠하기 과제에 집중을 하여 잘하였다. 과제 수행 중 손가락 빨기 행동은 없었으나, 교사의 눈치를 보는 행동은 여러 번 눈에 띠었다. 과제 수행 행동은 지난번에 지시한 대로 종이를 손에 잡고 허리를 펴고 색칠하기를 하였다. 색칠하기 한 장을 끝낸 후 공백시간에도 손가락 빨기 행동을 하지 않았으며, 교사의 눈치를 자주 보고 있었다. 교사와 눈길이 마주치면 다 알고 있다는 듯 미소를 지었다.
Ⅳ. 결 과
손가락 빨기 행동을 보이는 아동에게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손가락 빨기 행동을 감소시키게 하였다. 인지적 개념화를 위해 아동과 함께 비디오를 보며 자기관찰을 하려고 했으나 낯선 사람과 함께 있는 것에 대해 아동은 많이 불안해하여 자기관찰이 어려워졌다. 하지만 아동은 자신의 손가락 빠는 행동이 부적절 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손가락 빨기 행동이 나타나면 인지적 과정을 통해 행동변화를 유도하려고 했다. 1, 2, 3회기에는 아동이 Self-talk을 잘 따라하며, 행동변화가 나타났지만 4, 5, 6회기에는 담당교사를 의식하여 손가락 빨기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다른 수업시간에는 여전히 손가락 빨기 행동이 보이고 있으며 복도에서도 손가락 빨기 행동이 관찰된다고 한다. 이것은 아마도 “호손효과”라 여겨진다.
손가락 빨기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예능시간에만 인지적 행동치료를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수업시간과 가정에서도 일관성 있는 24시간 중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사회복지실천론, 형설출판사, 전재일외 5인
사회복지실천분야론, 학지사, 조흥식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동인, 윤현숙 외6인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엄명용외 4인
사회복지실천, 고헌출판, 신성자외 3인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김기태외 3인
추천자료
행동주의 심리학적 모델
행동주의적접근(왓슨,반두라)
행동주의 이론
행동주의적 가족치료
행동주의 이론 분석
환경속의 인간이라는 사회복지실천의 주요관점에서 기존에 배웠던 이론(정신분석이론, 심리사...
[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회학습이론 - Bandura의 생애와 사회학습이론의 기본원리, 관찰학습의...
환경속의 인간이라는 사회복지실천의 관점에서(정신분석,심리사회,행동주의,인지,인본주의,사...
인간과 심리 : 심리학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인간人間과 심리(공통) 심리학의 주요 이론(정신분석, 행동주의, 인본주의)의 이상행동 비교,...
[인간과심리 2015] 1. 심리학 주요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어린이집 교실에서 고립되어 있으며 타인에게 공격성을 보이는 5세 유아의 사례에서 유아의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D형) 교재에 있는 ‘고전적 조건화 이론의 주요 개념’들을 사례를 들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