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적접근(왓슨,반두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주의적접근(왓슨,반두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해 준다.
또한 가정 내에서 폭력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란 아들은 논쟁이나 좌절이 있을 때 폭력을 사용하는 행동을 배우며, 폭력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란 딸은 폭력을 더 잘 수용하여 결혼 후에 발생하는 배우자 폭력에 훨씬 수용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연구결과(Stewart & Robinson, 1995)는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결과를 잘 설명해 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7. 학습된 무기력
셀리그만(Seligman, 1975)과 그 동료들이 발전시킨 학습된 무기력(Iearned helplessness)이론은 인지행동의 특수한 영역에 대한 사회학습 이론의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셀리그만은 무기력에 대한 경험과 임상적인 문제를 연관시켰다. 즉, 동기의 결핍과 인지적정서적 결핍들이 무력감을 낳는다는 이론을 제안하였다. 인간에 대한 초기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가상적인 상황이나 실험실 상황에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생활사건이나 외상사건(traumatic event)으로 확대되어 적용되고 있다.
외상사건으로는 자연재해, 범죄, 폭력, 돌발적인 사고, 심각한 질병, 강간, 가까운 사람의 이별 또는 죽음, 상실, 학대와 방임 등이 있다.
이러한 외상사건은 대부분 갑작스럽고 충격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그 피해도 매우 심각하게 나타난다. 외상사건의 피해자들은 무감동과 수동성, 공포감을 나타내며, 심하면 심리적 후유증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이 심각하게 방해받는다(박미은, 1988).
사람들은 자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통제할 수 없는 사건에 직면하여 자신의 반응으로 미래의 결과를 통제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 즉, 반응과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에서 무기력이 발생한다는 것이 이 이론의 핵심이다.
Ⅳ. 맺 음 말
반두라의 이론은 인지가 행동의 원인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행동주의자들에 의해서 비판을 받거나, 정신역동 이론에 비해서 인간의 행동을 잘 예견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사회학습 이론은 단지 인간의 공포증(phobia)과 같이 단순한 행동적인 문제만 다룰 수 있을 뿐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사회학습이론은 오늘날 인간을 돕는 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인간을 더욱 낙관적으로 바라보며, 과거보다는 여기 그리고 지금‘, 또는 미래에 대하여 강조점을 두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두라는 사회학습 이론을 자극―반응―모델의 파라다임 그 이상의 것으로 전개시키면서 학습을 매개하는 중요한 요소인 인지과정을 강조하였으며, 이상 행동(abnormal behavior)에 초점을 두는 정신역동 이론을 근본적으로 거부하면서 성격이론의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분기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사회학습 이론은 원조 전략의 발전뿐 아니라 장래의 사회심리적 사고의 발달을 위해서 큰 공헌을 하였다.
【 참 고 문 헌 】
1. 최옥채 외 3인 공저(200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 양서원
2. 이인정최해경 저(200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 나남출판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4.24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8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