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건조지역에 목양,목우지역이 확대된 이유는?
2.선상지는 왜 건조지역에서 잘 나타나는가?
3.지하수를 끌어올리는 카나트!
4.건조지역 사막화의 원인
-한발(drought)
-지나친 방목(overgrazing)
-지나친 경작(overcultivation)
-삼림의 제거(deforestation)
-염류화(salinisation)
2.선상지는 왜 건조지역에서 잘 나타나는가?
3.지하수를 끌어올리는 카나트!
4.건조지역 사막화의 원인
-한발(drought)
-지나친 방목(overgrazing)
-지나친 경작(overcultivation)
-삼림의 제거(deforestation)
-염류화(salinisation)
본문내용
적인 국가 사업도 중요한 삼림 파괴의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산업화된 지역에서는 공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의한 산성비 때문에 삼림이 고사 당하는 경우가 세계 도처에서 보고되고 있다. 앞에서 논의된 것들이 주로 후진국의 문제라고 한다면, 뒤의 경우는 우리 나라를 포함한 개발도상국가나 선진국 등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다. 현재 전지구 상의 삼림 면적은 연간 한반도 정도의 면적이 줄고 있다. 삼림 면적의 변화를 보면, 농경 시작 이전에 6,200만 km2에서 현재는 1/3정도가 감소한 4,200만 km2에 불과하다. 따라서 1950년대에는 육지의 1/4이 삼림으로 덮여 있었으나, 2000년대에는 육지의 1/6정도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염류화(salinisation)
건조지역에서 관개 체계의 부적절한 관리는 수많은 환경 파괴를 야기한다. 결국, 이는 농업에 feed back되어 생산량의 감소를 초래한다. 건조지역의 문제는 물의 지나친 이용에 의해서 야기된다.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것 이상의 많은 물에 의해서, 부적절한 선형의 배수로에서의 물의 누수를 통하여, 부적절한 배수 체계 등 때문에 야기된다. 결과적으로 지하 수위의 상승, 침수(waterlogging), 염류화와 알칼리의 생성 등을 가져온다.
대부분 재배작물의 염분에 대한 내성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염류화는 급속하게 생산성의 감소를 야기한다. 그런 문제들은 전세계를 통하여 건조지역의 관개 체계에서 발견되고 있다. Abrol 등(1988)은 세계의 건조와 반건조지역에서 일부 지역이 자연적인 염류가 있다고는 하지만, 관개지의 50% 정도가 토양의 염류화 문제를 겪고 있다고 하였다. 각 국가별로 염류화 문제의 심각성 정도를 보여준다. 모든 경작지의 80%가 관개지로 이용되고 있는 Pakistan에서는 관개 지역의 35%가 염류화 문제를 겪고 있고, 매년 관개 지역의 40,000ha를 침수와 염류화로 잃고 있다(Pakistan, 1990). 또한 관개 용수의 지나친 이용은 아랄해의 비극에서 볼 수 있듯이 토지의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재정적인 압박, 유지 보수 문제, 무경험적인 관리와 농부들의 무지가 그와 같은 관개 문제의 일반적인 실패 요인들이다. 적절한 지도와 기술의 결핍, 농부들을 위한 신용과 marketing 설비의 부족 등이 1950년대에 이라크의 Greater Mussayeb Project에서 경험했던 것처럼 다시 되돌아 올 것이다.
염류화(salinisation)
건조지역에서 관개 체계의 부적절한 관리는 수많은 환경 파괴를 야기한다. 결국, 이는 농업에 feed back되어 생산량의 감소를 초래한다. 건조지역의 문제는 물의 지나친 이용에 의해서 야기된다.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것 이상의 많은 물에 의해서, 부적절한 선형의 배수로에서의 물의 누수를 통하여, 부적절한 배수 체계 등 때문에 야기된다. 결과적으로 지하 수위의 상승, 침수(waterlogging), 염류화와 알칼리의 생성 등을 가져온다.
대부분 재배작물의 염분에 대한 내성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염류화는 급속하게 생산성의 감소를 야기한다. 그런 문제들은 전세계를 통하여 건조지역의 관개 체계에서 발견되고 있다. Abrol 등(1988)은 세계의 건조와 반건조지역에서 일부 지역이 자연적인 염류가 있다고는 하지만, 관개지의 50% 정도가 토양의 염류화 문제를 겪고 있다고 하였다. 각 국가별로 염류화 문제의 심각성 정도를 보여준다. 모든 경작지의 80%가 관개지로 이용되고 있는 Pakistan에서는 관개 지역의 35%가 염류화 문제를 겪고 있고, 매년 관개 지역의 40,000ha를 침수와 염류화로 잃고 있다(Pakistan, 1990). 또한 관개 용수의 지나친 이용은 아랄해의 비극에서 볼 수 있듯이 토지의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재정적인 압박, 유지 보수 문제, 무경험적인 관리와 농부들의 무지가 그와 같은 관개 문제의 일반적인 실패 요인들이다. 적절한 지도와 기술의 결핍, 농부들을 위한 신용과 marketing 설비의 부족 등이 1950년대에 이라크의 Greater Mussayeb Project에서 경험했던 것처럼 다시 되돌아 올 것이다.